•  


고약하게 아름다운 낯설어서 짜릿한|신동아

고약하게 아름다운 낯설어서 짜릿한

小說家 구효서의 홍상수論

  • 入力 2005-04-22 14:4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映畫 밖의 日常과 觀念, 삶에 對한 態度까지 苦悶케 하는 홍상수票 映畫의 强力한 魔力. 왜 성가시고 재미없는 그의 映畫가 내겐 ‘抒情의 關門’인가.
    홍상수 監督을 딱 한 番 만난 적이 있다. 다 알다시피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은 그의 笠峯 作品이다. 그리고 그 映畫의 이른바 原作者가 나 구효서다. 그러니 안 만날 수가 없었다.

    이제까지 내 小說 中 세 篇이 映畫로 만들어졌지만 洪監督의 笠峯作品이 내게도 첫 映像데뷔 作品인 셈이었다. 그래서 비록 짧은 만남이었지만 餘韻은 그럭저럭 길었던 것 같다.

    契約 問題로 내게 電話를 걸어온 사람은 그가 아니라 동아수출공사 분이었다. 내가 願하는 水準에서 原作料를 딱 잘라 一時拂로 支拂하겠다는 말을 듣고 서둘러 江南 東亞劇場 몇 層인가의 事務室로 갔다. 그곳에 홍監督이 있었다. 화이트 브라운의 캡을 거의 콧등까지 푹 눌러쓴, 앳된 얼굴에다 조금은 貴티까지 나는 靑年이었다. 나도 나이가 그다지 많은 便은 아니었지만 그렇게 보였다.

    껄끄러운 映畫, 그런데 왜 재미있지?

    아주 작고 좁은 房이었다. 映畫社 事務室이라면 으레 이런 저런 포스터와 팸플릿 따위로 울긋불긋할 줄 알았던 나에게 그 房은 너무 초라하게 보여 果然 저 사람이 映畫를 만들 줄이나 알까 疑心이 들 程度였다.



    그런데 알고 보니 事務室은 곁에 따로 있었다. 그 널찍한 곳으로 가서 書類에 圖章을 찍고 돈을 받았다. 契約은 監督과 하는 게 아니었다. 홍監督은 마치 그곳에서 일하는 新參 使喚처럼 말없이 기웃거릴 뿐이었다.

    다시 그의 房으로 돌아왔을 때도 그는 如前히 말이 없었다. 已往 내 小說을 映畫로 만들기로 했으니 名色 原作者로서 무슨 말인가를 한마디쯤 해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싶어 쭈뼛거리고 있었다. 적어도 그가 뭐라고 한마디 묻거나 할 機會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아무 말도 없었다. 結局 내가 먼저 말했다.

    “저어, 내 小說은 말입니다…”

    그때 降臨(降臨) 모티프에 對해서 말한 것 같다. 仙女와 나무꾼의 例를 들어가며, 내 小說에 너무 깊이 감추어져 있는 二重構造에 對해 잠깐 說明한 것 같다. 正말이지 그런 따위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냥 불쑥 나와 버리기가 뭣해서 한 말이었는데 이 젊은이는 아주 흐릿하게 두어 番 고개를 끄덕였을 뿐이었다. 나는 그의 그런 態度를 故意的으로 曲解했다. 契約은 끝났으니 이제 더 以上 무슨 말이 必要 있겠습니까, 라는 意味일 거라고.

    그것이 그와의 처음이자 (아직까지는) 마지막 만남이었다. 내 말을 尊重해서였을까. 그는 試寫會에도 나를 招請하지 않았다. 그가 하나도 野俗하지 않았다. 나라는 사람도 그 映畫가 開封된 지 몇 달이 지나서야 洞네 비디오 가게에서 빌려다 본 爲人이니까. 나도 試寫會라는 곳을 種種 다니지만 내가 原作者인 映畫라고 해서 부리나케 或은 일부러 찾아가서 보고 싶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말하자면 그 映畫는 내가 보고 싶거나 봐야 할 여러 映畫 中에 하나였을 뿐이다. 어디까지나 그의 映畫였다는 말이다.

    조금은 엉뚱한 듯한 題目으로 바뀌어 버린 그 映畫는 登場人物들의 이름이 내 小說과 같았을 뿐 完全히 다른 內容이었다. 그 映畫를 보고 느낀 첫 所感은 어째서 나에게 그토록 많은 原作料라는 걸 支拂했는가였다.

    그가 어째서 내게 아무것도 묻지 않고 어서 가라는 듯이 흐릿하게 고개만 두어 番 끄덕였는지를 나는 비로소 알 수 있었다. 그 映畫의 앞뒤에 原作者로서의 내 이름이 뜨는 것을 보고 참 異常하고 괴이쩍고 難堪하다고 생각했다.

    그 사람 고약한 것은 그뿐만이 아니었다. 도무지 시치미만 떼고 아무 말도 하지 않던 버릇은 映畫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났다. 느닷없이 이응경이 죽는 것 하며, 죽은 사람이 房에서 걸어나와 自己 影幀 앞을 천연스레 지나다니는 理由에 對해 그는 說明하지 않았다. 담배를 사러 간다는 사람이 아이스크림이나 사 먹게 만들지를 않나, 보던 新聞을 居室 바닥에 나란히 펼쳐놓고 泰然히 窓門을 여는 것으로 라스트 神을 삼지를 않나… 어쩌자고 映畫를 저토록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를 것 같기도 하게 만든단 말인가 그래.

    그의 두 番째 映畫인 ‘江原道의 힘’을 보고 나서야 첫 映畫에 對한 궁금症을 어느 程度 풀 수 있었다. ‘江原道…’에서도 如前히 山길에 버려진 고기를 끝내 클로즈업해주지 않는다거나, 後進하는 티코 自動車에 女主人公이 한참 동안 가려져 있는 대로 내버려두거나 했지만 갑갑하지는 않았다. 왜 그의 카메라는 그럴 수밖에 없는지를, 나는 그의 첫 映畫를 보고 두 番째 映畫가 나올 때까지 줄곧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映畫는 映畫가 끝나는 瞬間에 뭔가가 다시 始作된다는 느낌을 준다. 映畫館 안에서 一連의 葛藤과 危機와 解消가 다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映畫館을 나와 길을 걷고 밥을 먹으며 사는 동안 비었던, 或은 궁금했던 點들이 하나하나 채워진다는 것이다. 그의 映畫는 映畫 밖의 삶과 日常과 觀念과 意識에까지 介入해 들어온다는 얘기인데, 卽 삶을 바라보는 態度나 方式에 對해서까지 苦悶하게 만든다는 얘기인데, 어찌 그를 두고 고약하다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映畫의 ‘門’李 되는 映畫

    키에슬로프스키의 映畫라면 ‘베로니카의 二重生活’ 程度가 비디오 가게에 어쩌다 나와 있을 때였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運이 좀 좋았는지 그의 ‘10係’ 十部作이라든가 타르코프스키의 ‘鄕愁’, ‘犧牲’ 程度는 본 터여서 지겹게 움직이지 않는 畵面이라든가 周圍의 騷音을 다 담아내는 式의 音響에 對해 큰 拒否感을 느끼지 않았다.

    그랬기 때문에 飛行機를 놓친 두 親舊가 束草 空港 밖 벤치에 앉아 하릴없이 ‘저 山에 사람을 넣으면 몇 名쯤 들어갈까?’ ‘十萬?’ ‘十만은 더 들어가지 않을까?’ ‘착착 쌓아 넣으면 百萬은 들어가겠지?’ ‘그럼 저런 산 五十 個面 우리나라 人口가 다 들어가겠네.’ 따위의 代謝에 남다른 興味를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림같이 아름답고 感動스러운 映畫를 期待하는 大部分의 사람들에게 홍상수는 더 오랫동안 敬而遠之(敬而遠之)의 對象이 될지도 모른다. 前後關係에 對한 親切한 說明도 없고, 時間을 비틀거나 마구 흐뜨리고, 觀客이 궁금해하는 對象物은 아예 비춰주지도 않는데다가, 現實과 別로 다를 게 없는 구질구질한 空間·소리·背景, 그리고 大使와 앵글과 登場人物들의 생김새까지!

    그런데도 누가 第一 괜찮은 監督 같냐고 사람들한테 물으면 斷然 홍상수! 라고 對答한다. 누구 小說을 가장 좋아하느냐고 물으면 大槪 오정희나 김승옥을 꼽는 것처럼. 그러나 오정희와 김승옥은 冊을 팔아 먹고 살지 못한다. 放送改編 時期에 맞추어 거리에 나가 市民들의 輿論을 들어보면 많은 사람들이 ‘드라마나 쇼 같은 거 말고요, 다큐멘터리 같은 敎養프로를 좀 늘려줬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한다. 하지만 視聽率은 예나 只今이나 드라마나 쇼가 斷然 首位를 차지한다.

    산다는 게 一切皆苦(一切皆苦)라고 일찌감치 說破한 분도 계시지만, 사람의 一平生은 아무래도 무언가에 끝없이 휘둘리며 흘러가는 것 같다. 그래서 뭔가에, 어떻게 휘둘리며 살고 있으며 그것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는 길은 무엇이겠느냐고 묻는 文學과 映畫도 存在한다. 그런 文學과 映畫는 나 自身이 영문도 모르고 欲望하는 快樂과 기쁨을 膳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귀찮고 성가시게 만든다. 그러나 그런 聲價審도 存在와 內面에 對한 省察 속에서는 꽃처럼 아름답게 피어날 수 있다.

    나는 얼마 前 콜롬비아의 作家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아들이 만들었다 해서 ‘그女를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것’이라는 映畫를 봤다. 아무리 마르케스의 아들이 만든 것이라 해도 以前에 내가 본 홍상수의 映畫들이 없었다면 내가 마르케스와 그 家族을 이만큼 좋아했을지 어떨지 모르겠다. 이처럼 홍상수의 映畫는 世上의 많고 다양한 映畫를 좀더 愛情있게 볼 수 있는 方式과 情緖를 提供하기도 한다. 나는 그가 오랫동안, 좀더 고약해지길 바란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