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양천 허씨(許氏)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양천 허씨(許氏)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양천 허씨(許氏)
陽川許氏
양천 허씨(許氏) 종문
이칭(異稱) 공암(癌) 허씨(許氏)(孔巖許氏)
나라 한국(韓國)
관향(貫鄕)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강서구(江西區)
시조(時調) 허선문(虛線門)(許宣文)
집성촌(集姓村) 경기도(京畿道) 연천군(漣川郡) · 안성시(安城市) · 파주시(坡州市)
개성시(開城市) 장풍군(張豐郡)
함경북도(咸鏡北道) 김책시 · 길주군(吉州郡)
평안북도(平安北道) 구성시(構成時)
충청북도(忠淸北道) 청주시(淸州市)
전라북도(全羅北道) 진안군(鎭安郡)
전라남도(全羅南道) 순천시(順天市) · 담양군(潭陽郡)
주요(主要) 인물(人物) 허재(許載) , 순비 허씨(許氏) , 허백 , 허종(許從) , 허침(許琛) , 허자(許磁) , 허엽(許曄) , 허준(許浚) , 허성(許筬) , 허욱 , 허봉(許篈) , 허교(許交) , 허균(許筠) , 허난설헌(許蘭雪軒) , 허완 , 허후 , 허목(許穆) , 허적 , 허윤 , 허유(許維) , 허헌 , 허백련 , 허건(許楗) , 허웅 , 허근욱 , 허영 , 허재홍 , 허경만 , 허상(虛像)만 , 허명회 , 허영만 , 허정무(許丁茂) , 허태정 , 허재(許載) , 허인환
인구(人口)(2015년(年)) 149,505명(名)
비고(備考) 양천 허씨(許氏) 대종회(大宗會)

양천 허씨(許氏) (陽川許氏)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강서구(江西區) · 양천구(陽川區) 를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韓國)의 성씨(姓氏) 이다. 공암(癌) 허씨(許氏)(孔巖許氏)라고도 한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양천 허씨(許氏)(陽川 許氏)의 시조(始祖) 허선문(虛線門) (許宣文)은 가락국(駕洛國) 수로왕 과 왕비(王妃) 허황옥(許黃玉) 의 후손(後孫)이라고 한다. 허선문(虛線門)(許宣文)은 공암촌(癌村)(孔巖 : 현(現)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강서구(江西區) 가양동)에 살면서 농사(農事)(農事)에 힘써 많은 양곡(糧穀)(糧穀)을 비축(備蓄)(備蓄)하였는데, 고려(高麗) 태조(太祖) (太祖) 왕건(王建)(王建)이(李) 후백제(後百濟)(後百濟) 견훤(甄萱)(甄萱)을 정벌(征伐)할 때 군량(軍糧)이 부족(不足)하여 사기(士氣)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군량(軍糧)(軍糧)을 보급(普及)해 주었다.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백제(後百濟) 군(軍)과의 싸움 중(中) 말과 식량(食糧)을 제공(提供)한 공(功)으로 그를 공암촌주(癌村主)(孔岩村主)로 임명하여 공암촌(癌村)을 식읍(食邑)으로 내렸고, 허선문(虛線文)은 고려(高麗) 건국(建國)에 대(對)한 공으로 삼한공신(功臣)(三韓功臣)이(李) 되었다.

5세손(世孫) 허재(許載) (許載)가 고려(高麗) 인종(仁宗) 때 평장사(平章事)(平章事)에 올랐고, [1] 10세손(世孫) 허공(虛空) (許珙)은 1258년(年)(고려(高麗) 고종(高宗) 45년(年))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여 충렬왕(忠烈王) 때 첨의중찬(僉議中贊)(僉議中贊)에 올랐다. [2] 허공(虛空)의 딸은 충선왕 의 제(第)6비 순비 (順妃)로 책봉(冊封)되었다.

세계(世界) [ 편집(編輯) ]

1 허선문(虛線門)

許宣文

2 허현 許玄
3 허원(許願) 許元
4 허정(許政) 許正
5 허재(許載) 許載
6 허순 許純
7 허이섭

許利涉

8 허경(虛驚) 許京
9 허수(虛數) 許遂
10 허공(虛空) 許珙
┣━━━━━ ━━ ━━━━━━ ━━ ━━━━━━ ━━ ━━━━━━ ━━ ━━┓
11 허정(許政) 許程 허숭 許嵩 허관 許冠 허총 許寵 허부(許否) 許富
동주(東柱)사공파

東州使公派

판도좌랑공파(版圖佐郞公派)

版圖佐郞公派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大提學公派

분파(分派) [ 편집(編輯) ]

10세손(世孫) 허공(虛空) (許珙)의 아들인 11세손(世孫)에서 3파(派)로 나뉜다. 허공(虛空) (許珙) 맏아들 허정(許政)(許程)은 동주(東柱)사공파(東州使公派), 셋째 아들 허관(許冠)은 판도좌랑공파(版圖佐郞公派)(版圖佐郞公派), 다섯째 아들 허부(許否)(許富)는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大提學公派)의 파조(罷朝)다.

본관(本館) [ 편집(編輯) ]

양천은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강서구(江西區) , 양천구(陽川區) 일대(一帶)의 지명(地名)이다. 고구려(高句麗)의 제차파의현(第次派議賢)(齊次巴衣縣)이었는데, 통일신라(統一新羅) 경덕왕(景德王) 때 공암현(孔岩縣)으로 고쳤다. 공암(癌) 허씨(許氏)로 불리다가 1310년(年)(고려(高麗) 충선왕(忠宣王) 2)에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改稱)되어 양천 허씨(許氏)(陽川 許氏)가 되었으며 조선시대(朝鮮時代)에도 이어졌다. 1895년(年)(고종(高宗) 32)에 양천군 (陽川郡)으로 개편(改編)됐다. 1914년(年)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에 통합(統合)돼 양동면, 양서면이 됐다가 1963년(年)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로 편입(編入)되었다.

인물(人物) [ 편집(編輯) ]

판도좌랑공파(版圖佐郞公派)(版圖佐郞公派) 허관(許冠)의 후손(後孫)들이 현달(顯達)하였는데, 20세손(世孫) 허엽(許曄) (許曄)이(李) 동인(同人)의 영수(領袖)가 되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그의 슬하(膝下)에 허성(許筬) (許筬), 허봉(許篈) (許?), 허균(許筠) (許筠), 허난설헌(許蘭雪軒) (許蘭雪軒) 4남매(男妹)가 있다. 20세손(世孫) 허준(許浚) (許浚)은 선조(宣祖) 때 명의(名義)로 동의보감(東醫寶鑑) (東醫寶鑑)을 편찬(編纂)하였으며 양평군(楊平郡)에 봉(封)해졌다. 22세손(世孫) 허적 (許積)이(李) 1671년(年)(현종(玄宗) 12년(年)) 영의정(領議政) (領議政)에 올랐고, 허목(許穆) (許穆)은 숙종(肅宗) 때 우의정(右議政) (右議政)에 올랐다.

항렬자(行列字) [ 편집(編輯) ]

  • 대동항렬(帶同行列)
31세(歲) 32세(歲) 33세(歲) 34세(歲) 35세(歲) 36세(歲) 37세(歲) 38세(歲) 39세(歲) 40세(歲) 41세(歲) 42세(歲) 43세(歲) 44세(歲) 45세(歲) 46세(歲) 47세(歲) 48세(歲) 49세(歲) 50세(歲) 51세(歲) 52세(歲)
만(萬)(萬) 욱(旭) 회(回)(會) 행(行)(行) 무(茂) 범(犯)(範) 강(江)(康) 재(再)(宰) 정(情)(廷) 규(揆) 학(學)(學) 병(病)(秉) 연(年)(演) 경(警)(卿) 진(陳)(振) 용(龍)(龍) 남(南)(南) 수(洙) 창(窓)(暢) 상(上)(商) 국(國)(國) 곤(袞)

왕실(王室)과의 인척(姻戚) 관계(關係) [ 편집(編輯) ]

고려(高麗) [ 편집(編輯) ]

조선(朝鮮)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