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웅 (언어학자(言語學者))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허웅 (1918년(年)) 에서 넘어옴)

허웅
출생(出生) 1918년(年) 10월(月) 30일(日) ( 1918-10-30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조선(朝鮮)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군(金海郡) 김해면
사망(死亡) 2004년(年) 1월(月) 26일(日) ( 2004-01-26 ) (85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성별(性別) 남성(男性)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직업(職業) 국어학자, 한글학자(學者), 언어학자(言語學者) , 대학(大學) 교수(敎授)
학문적(學問的) 배경(背景)
학력(學歷) 경성(京城) 연희전문학교 중퇴(中退)
1971년(年)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국어국문학과(國語國文學科) 학사(學事) 명예(名譽) 졸업(卒業)
학문적(學問的) 활동(活動)
분야(分野) 언어학(言語學)

허웅 (許雄, 1918년(年) 10월(月) 30일(日) ~ 2004년(年) 1월(月) 26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국어학자(國語學者), 한글학자(學者), 언어학자(言語學者) 로, 한글학회(한글學會) 회장(會長) 겸(兼) 이사장(理事長)과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언어학과(言語學科) 교수(敎授)(정년(停年) 퇴임(退任) 이후(以後) 명예교수(名譽敎授))를 역임(歷任)하였다.

본관(本貫)은 양천(陽川) (陽川)이고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金海) 출생(出生)이며 호(號)는 눈뫼이다. 그는 국어학자(國語學者) 외솔 최현배(崔鉉培) (崔鉉培)의 애제자(愛弟子)이기도 하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허웅 선생(先生)은 20세기(世紀) 후반(後半) 한국(韓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언어학자(言語學者)이자 국어학자(國語學者)였으며, 한편(한便)으로는 국어(國語) 운동가(運動家)였다. 생전(生前)에 서울대학교(大學校) 언어학과(言語學科) 교수(敎授)와 한글학회(한글學會) 회장(會長)을 오랫동안 지냈다. 1918년(年)에 태어나 2004년(年) 86세(歲)에 사망(死亡)했다.

허웅 선생(先生)의 국어(國語) 연구(硏究)는 민족(民族) 문화(文化)를 잇고 가꾸는 데서 시작(始作)했다. 청년(靑年) 시절(時節) 최현배(崔鉉培) 선생(先生)의 ≪우리말본≫을 처음 대(對)하면서 자신(自身)이 나아가야 할 앞길을 결정(決定)한다. 그래서 ‘한 나라의 말은 그 나라의 정신(精神)이며, 그 겨레의 문화(文化) 창조(創造)의 원동력(原動力)이다’라는 생각을 일찍이 마음에 간직했다. 이러한 생각은 허웅 선생(先生) 학문(學問)의 바탕이 되었으며, 평생(平生)을 일관(一貫)되게 지닌 학문적(學問的) 태도(態度)였다.

그래서 허웅 선생(先生) 학문(學問)의 성격(性格)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연구(硏究)’와 ‘실천(實踐)’, 둘의 조화(調和)라고 하겠다. 선생(先生)의 학문(學問)은 국어(國語) 연구(硏究)를 언어과학(言語科學)으로 승화시켰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國語)를 지키고 가꾸는 실천(實踐) 운동(運動)을 전개(展開)했다는 데에 의의(意義)가 있다.

15세기(世紀) 국어(國語) 형태론(形態論)은 앞에 든 ≪우리 옛말본(本)≫에 집대성(集大成)되어 있다. 15세기(世紀) 국어(國語) 문법(文法)에 대(對)한 공시적 연구(硏究)에 이어, 선생(先生)은 국어(國語) 문법사(文法社) 연구(硏究)에 착수(着手)했다. 우선(于先) 범주별(範疇別) 연구(硏究)에 들어가, 때매김법(法)의 변화(變化)를 추적(追跡)했다. 각(各) 시기별(時期別) 때매김법(法)을 공시적으로 기술(記述)함과 동시(同時)에 시기별(時期別)로 변화(變化)해 움직이는 모습을 연구(硏究)했다. 그 결과(結果)는 15세기(世紀)에서 지금(只今)에 이르는 때매김법사(法師) 연구(硏究)인 ≪국어(國語) 때매김법(法)의 변천사(變遷史)≫(1987)에 정리(整理)되어 있다. 그 이후(以後) 선생(先生)은 국어(國語) 문법사(文法社) 연구(硏究)의 방법(方法)을 수정(修正)하여, 세기별(世紀別)로 공시적으로 기술(記述)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變化)의 모습을 추적(追跡)했는데, 그 첫 결실(結實)은 16세기(世紀) 국어(國語) 문법(文法)의 공시적 기술(技術)과 그 15세기(世紀)로부터의 변화(變化)를 다룬 ≪16세기(世紀) 우리 옛말본(本)≫(1989)과 ≪15·16세기(世紀) 우리 옛말본(本)의 역사(歷史)≫(1991)로 나타났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명예(名譽) 박사(博士) 학위(學位) [ 편집(編輯) ]

약력(略歷) [ 편집(編輯) ]

인간(人間)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국어학자(國語學者) 외솔 최현배(崔鉉培) (崔鉉培)의 애제자(愛弟子)이기도 하다.

주요(主要) 저서(著書) [ 편집(編輯) ]

  • 주해(註解)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1955, 정음사)
  • 국어(國語) 음운론(音韻論)(1958, 정음사)
  • 주해(註解)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1962, 신구(新舊) 문화사(文化史). 이강로 와 공저(共著))
  • 언어학(言語學) 개론(槪論)(1963, 정음사)
  • 우리 옛말본(本) -15세기(世紀) 국어(國語) 형태론(形態論)-(1975, 샘 문화사(文化史))
  •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 -국어(國語) 정책론(政策論)-(1979, 문성 출판사(出版社))
  • 언어학(言語學) -그 대상(對象)과 방법(方法)-(1981, 샘 문화사(文化史))
  • 고친(故親)판 언어학(言語學) 개론(槪論)(1983, 샘 문화사(文化史))
  • 국어학(國語學) -우리말의 오늘 어제-(1983, 샘 문화사(文化史))
  • 국어(國語) 음운학(音韻學) -우리말 소리의 오늘 어제-(1985, 샘 문화사(文化史))
  • 고친(故親)판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1987, 샘 문화사(文化史))
  •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1987, 샘 문화사(文化史))
  • 국어(國語) 때매김법(法)의 변천사(變遷史)(1987, 샘 문화사(文化史))
  • 16세기(世紀) 우리 옛말본(本)(1989, 샘 문화사(文化史))
  • 15-16세기(世紀) 우리 옛말본(本)의 역사(歷史)(1991, 탑(塔) 출판사(出版社): 연세 대학교(大學校) 국학(國學) 연구원(硏究院) 다산(茶山) 기념(記念) 강좌(講座) 3)
  • 최현배(崔鉉培) -우리말 우리 얼에 바친 한평생(限平生)-(1993, 동아(東亞) 일보사(日報社): 근대(近代) 인물(人物) 한국사(韓國史) 408)
  • 20세기(世紀) 우리말의 형태론(形態論)(1995, 샘 문화사(文化史))
  • 20세기(世紀) 우리말의 통어론(統語論)(1999, 샘 문화사(文化史))

상훈(賞勳) [ 편집(編輯) ]

  • 외솔상 수상(受賞)(1973년(年))
  • [국민훈장(國民勳章)] 모란장 수상(受賞)(1984년(年))
  • 성곡(聲曲) 학술문화상(學術文化賞) 수상(受賞)(1986년(年))
  • 세종(世宗) 문화상(文化賞) 수상(受賞)(1990년(年))
  • 주시경 학술상(學術賞) 수상(受賞)(1993년(年))
  • 세종성왕(世宗聖王) 대상(大賞) 수상(受賞)(1998년(年))
  •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서울大引上) 수상(受賞)(2000년(年))
  • [국민훈장(國民勳章)] 무궁화장(無窮花章) 추서(追敍)(2004년(年))

학문적(學問的) 업적(業績) [ 편집(編輯) ]

중세(中世) 한국어(韓國語) 에서 현대(現代) 한국어(韓國語) 에 이르는 넓은 범위(範圍)를 연구(硏究) 대상(對象)으로 하여 음운론(音韻論) , 형태론(形態論) , 통사론(統辭論) 등(等) 언어학(言語學) 의 여러 하위분야(下位分野)에 걸쳐 저서(著書)를 남겼다. 또한 한글학회(한글學會) 이사장(理事長)을 34년(年) 동안 지내며 국어(國語) 문화(文化)를 진흥(振興)하는 데에도 기여(寄與)하였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본 문서(文書)에는 지식을(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배포(配布)한 책(冊) 소개(紹介)글 중(中) "우리 옛말본(本) 천(千)줄읽기" 의 소개(紹介)글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내용(內容)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