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그림冊]낯선 存在에 對한 두려움을 녹이는 時間과 기다림 - 京鄕新聞

낯선 存在에 對한 두려움을 녹이는 時間과 기다림

이영경 記者
[그림책]낯선 존재에 대한 두려움을 녹이는 시간과 기다림

기리네 집에 다리가 왔다
강인송 글·素服이 그림
虜亂想像 | 48쪽 | 1萬4000원

動物을 무서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길에서 비둘기가 다가오면 소스라치는 사람, 길고양이를 마주치면 움찔하는 사람, 散策 中인 개가 짖으면 뒷걸음질치는 사람 等.

<기리네 집에 다리가 왔다>의 主人公은 개를 무서워한다. 어느 날 單짝 親舊 기리가 신이 나서 ‘나’에게 집에 강아지와 함께 살게 됐다고 속닥속닥 消息을 傳해준다. 잔뜩 부푼 기리의 마음과 달리 ‘나’는 벌린 입을 다물 줄 모른다. “世上에! 난 이제 걔네 집은 다 갔다.”

‘나’에게 개는 外界人과 같은 存在다. 왜 짖는지 알 수 없고, 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마음을 알아맞히기도 힘들다. 그런 속마음을 기리에게 率直하게 털어놓기도 어렵다. ‘나’가 개를 무서워한다는 事實을 안다면 기리가 ‘나’와 놀고 싶어 하지 않을까 봐 두렵다.

바쁘다는 핑계로 기리를 避하던 ‘나’의 집에 기리가 찾아온다. 그것도 개와 함께. 기리는 ‘강아지’라고 말하지만 내 눈에는 강아지가 아니다. 작고 귀엽고 복슬복슬한 다른 伴侶犬과 달리 기리네 ‘강아지’는 褐色 털의 듬직한 멍멍이다. 요즘 말로 ‘時고르자브종(시골잡종)’이랄까.

[그림책]낯선 존재에 대한 두려움을 녹이는 시간과 기다림

기리는 딱 한 番만 만져보면 부드럽고 따뜻해 氣分이 좋아질 거라고 했지만, ‘나’는 마치 爬蟲類나 猛獸를 만지는 것과 같이 두렵다. 게다가 개의 혀는 축축하고 뜨겁다! 함께 재미있게 놀 것을 期待했던 기리는 失望한 채 돌아선다. 이대로 둘의 友情은 끝일까? 이제부터 眞짜 友情의 始作이다.

‘나’는 울면서 돌아가는 기리를 불러 세운다. 기리와 距離를 두고 선 ‘나’는 강아지의 이름을 묻고, 기리는 “다리”라고 答한다. “우리 다리는 기다리는 거 잘해!” 이제 기리네 개는 ‘개’도 ‘강아지’도 아닌 ‘다리’가 됐다. 時間과 기다림으로 ‘나’와 기리, 다리 사이의 距離는 徐徐히 좁혀질 것이다.

單純하고 含蓄的인 글, 유머러스하고 따스한 그림이 ‘나’의 마음을 愉快하게 傳한다. 서로 다른 存在가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時間과 기다림이 必要하다는 메시지는 생텍쥐페리의 <어린 王子>의 여우와 王子를 떠올리게 한다.

緋緞 개를 무서워하는 아이에 關한 이야기가 아니다. 個의 자리에 뱀, 獅子, 鰐魚 等 다른 낯선 存在의 이름을 넣어도 無妨할 것이다.

?
Today`s HOT
기름 범벅된 싱가포르 탕종해변 캘리포니아에 발생한 대규모 산불 이드 알 아드하 기도회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50주년 맞은 루빅큐브 호주 국회의사당 밖 친·반중 충돌
이드 알 아드하 앞둔 인도 이슬람 성지 순례지에 몰린 인파
이라크 정유공장 화재 아르헨티나 개혁 법안에 반대 시위 브라질 낙태 금지 법안 반대 시위 유도 대표팀의 구슬땀 단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