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近代史 : 네이버 知識百科

  • 日帝强占期 훙커우公園 投炭義擧와 關聯된 獨立運動家. 醫師. [要約] 尹奉吉은 日帝强占期 훙커우公園 投炭義擧와 關聯된 獨立運動家이다. 1908年에 태어나 1932年에 死亡했다. 3.1運動 後 植民地 奴隸敎育을 拒否하고 德山普通學校를 自退, 農民啓蒙·復興 運動에 專力했다. 1930年 本格的으로 獨立運動에 投身하기 위해 滿洲로 亡命했으며, 이듬해 上海로 옮긴 後 金九를 찾아가 獨立運動에 身命을 바칠 覺悟를 呼訴했다. 1932年 韓人愛國團에 入團, 金九의 主管 下에 全勝祝賀記念式에 爆彈을 投擲하기로 計劃하고 實行에 옮겼다. 擧事 直後 現場에서 逮捕되어 死刑을 宣告받고 日本으로 移送 後 銃殺刑으로 殉國했다. [開設] 本貫은 파평(坡平). 本名은 允友의(尹禹儀). 號는 매헌(梅軒). 忠淸南道 禮山 出身. 아버지는 尹煌(尹璜)이며, 어머니는 慶州金氏로 김원상(金元祥)이다. [生涯 및 活動事項] 1918年 德山普通學校(德山普通學校)에 入學했으나 다음 해에 3 · 1運動이 일어나자 이에...

  • 1884年(高宗 21) 急進開化派가 淸나라로부터의 獨立과 朝鮮의 開化를 目標로 일으킨 政變. [要約] 甲申政變(甲申政變)은 1884年(高宗 21) 急進開化派가 淸나라의 內政 干涉으로부터 자유로운 政治外交卷 確保와 朝鮮의 開化를 目標로 일으킨 政變이다. 1884年 12月 4日(陽曆) 金玉均, 朴泳孝, 洪英植, 徐光範, 徐載弼 等 急進開化派가 淸나라로부터의 獨立과 朝鮮의 開化를 目標로 일으킨 政變이었으나, 淸나라의 軍事 介入과 民衆의 支持를 얻지 못함으로써 3日만에 失敗로 돌아갔다. [發端] 1876年 開港 後 衛正斥邪派의 反對에도 不拘하고 開化思想은 擴散되었다. 甲申政變 主導 勢力은 壬午軍亂 後 開化 政策 推進과 半晴 外交의 展開 過程에서 成長, 結集되었다. 壬午軍亂 後 淸國은 興宣大院君을 拉致하였고 朝鮮에 3千餘 名의 軍隊를 駐屯시켰으며, 軍制 改編 等 朝鮮의 內政에 깊숙히 關與하였다. 淸國 長壽 吳長慶(吳長慶)과 위안스카이〔袁世凱〕는 兵權을 掌握하고, 財政...

  • 日帝强占期 아우내 3·1萬歲運動을 主導한 獨立運動家. [要約] 柳寬順은 日帝强占期 아우내 3·1萬歲運動을 主導한 獨立運動家이다. 1902年에 태어나 1920年에 死亡했다. 改新敎 집안에서 태어나 1916年 宣敎師의 推薦으로 梨花學堂에 編入했다. 乙巳勒約 以後 祖國獨立을 위한 祈禱會와 時局討論會·講演會 等에 積極 參與했다. 3·1萬歲運動에 參與하여 붙잡혔으나 곧 釋放되었다. 全國的으로 休校令이 내리자 故鄕으로 돌아와 서울 消息을 傳한 後 4月 1日 병천市場에서 아우내 獨立萬歲運動을 主導했다. 檢擧되어 投獄 中에도 獄中萬歲運動을 벌였고, 오랫동안 繼續된 拷問과 營養失調로 18歲의 나이로 殉國했다. [開設] 1902年 12月 16日, 忠淸南道 목千軍 李東勉 指令리(只今의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서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어머니 이소제(李少悌) 사이의 3男 2女 中 둘째 딸로 태어났다. 柳寬順의 집안은 改新敎 信者였던 할아버지 유윤기(柳閏基)와 叔父 유중무(柳重武)로 因해...

  • 日本軍의 性慾 解決을 위하여 日本軍과 日本政府가 中日戰爭 및 아시아太平洋戰爭 當時 日本軍 占領地나 駐屯地 等의 慰安所에 配置한 女性. 挺身隊·軍慰安婦·從軍慰安婦·性奴隸. [要約] 日本軍 ‘慰安婦’는 日本軍의 性慾 解決을 위하여 日本軍과 日本政府가 中日戰爭 및 아시아太平洋戰爭 當時 日本軍 占領地나 駐屯地 等의 慰安所에 配置한 女性이다. 挺身隊·軍慰安婦·從軍慰安婦라고도 한다. 日本軍이 있었던 거의 全 空間에 配置되었던 朝鮮人 女性은 就業詐欺·誘拐·公權力 等에 依한 脅迫·人身賣買와 같은 다양한 方法으로 動員되었다. 日帝에 依해 徹底하게 企劃된 일로서 수많은 犧牲을 낳았지만 서둘러 縫合하려고만 하는 日本의 姿勢 때문에 그 實體的 眞實을 밝히기 위한 運動이 繼續되고 있다. [用語] 日本軍이 性慾 解決과 性病 豫防 等을 目的으로 女性들을 動員하여 設置한 施設物을 ‘慰安所’라고 부른 것은 傷害(上海)事變이 있었던 1932年 前後였다. 當時 慰安所에 收容된...

  • 우리나라 開化運動의 代表的 人物이자 甲申政變의 主謀者. [要約] 金玉均은 우리나라 開化運動의 代表的 人物이자 甲申政變의 主謀者이다. 1870年代 開化思想을 受容하였고 開化黨을 組織하였다. 1884年 12月 郵政局 竣工 祝賀宴 날에 甲申政變을 斷行하였다. 淸國으로부터의 獨立과 兩班 支配體制 淸算 等의 精靈을 頒布하는 改革을 進行하였지만, 46時間 만에 失敗로 끝났다. 以後 日本으로 亡命하였다가 1894年 다시 상하이로 亡命하였으나 刺客 洪鍾宇에게 암살당하였다. 甲午改革 時期에 赦免 復權되었고, 1910年에 충달공이라는 諡號를 받았다. [人的事項]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은 忠淸南道 牙山 出生으로 本貫은 安東(安東), 字는 백온(伯溫), 號는 古筠(古筠) 또는 고우(古愚)이다. 1851年에 김병태(金炳台)의 長男으로 태어나 7歲 때 堂叔 金炳基(金炳基)에게 入養되어 漢城(只今의 서울特別市)에서 成長하였다. 11歲 때인 1861年 養아버지 金炳冀가 江陵府使에 任命되어...

  • 興宣大院君 執權期에 門戶를 닫고 西洋과 通商하지 않았던 對外政策. [要約] 鎖國政策은 興宣大院君 執權期에 門戶를 닫고 西洋과 通商하지 않았던 對外政策이다. 다른 나라와 關係를 맺지 않고 門戶를 닫아 서로 通商하지 않는 政策을 말한다. 主로 興宣大院君 執權 時期의 對外政策을 表現하는 槪念으로 使用하였으나, 最近에는 通商 修交 拒否 政策 또는 通商 拒否 政策으로 고쳐서 表現하고 있다. ['鎖國'의 槪念] 興宣大院君 執權期에 門戶를 닫고 西洋과 通商하지 않았던 對外政策을 말한다. 나라의 門戶를 걸어 잠근다는 意味인 ‘鎖國’이라는 用語는 나가사키[長崎]의 蘭學者(蘭學者)이며 統社(通詞)인 시즈키 다다오[志筑忠雄]가 1801年에 만든 造語(造語)이다. 獨逸人 엥겔베르트 캠퍼(Engelbert Kaempfer)는 네덜란드 東印度會社 上官(商館)의 醫師로 나가사키에 1690年 9月에서 1692年 8月까지 2年間 滯留하였는데, 『일본지(日本誌)』 卷末 附錄 가운데 ?只今 일본국에서...

  • 1894年(高宗 31) 7月부터 1896年 2月까지 推進되었던 一連의 改革運動. [開設] 甲午更張(甲午更張)이라고도 한다. [歷史的 背景] 1894年 봄 湖南에서 東學農民運動이 일어났다. 農民들은 閉廷改革(弊政改革)을 條件으로 내세워 全羅道를 휩쓸고 全州城(全州城)을 占據하였다. 이어 東學農民軍과 政府軍과의 强化가 成立되었으나 민씨政權이 6月 初에 淸나라에 派兵을 要請한 것이 發端이 되어, 日本도 朝鮮에 軍隊를 派遣하게 되었다. 淸日 두 나라 軍隊가 牙山과 仁川에 몰려오는 가운데 서울에서 日本公使 오토里(大鳥圭介)는 內定改革案을 提示하고, 또 7月 23日에는 日本軍이 宮中에 亂入하여, 親淸(親淸) 민씨政權을 打倒하고 興宣大院君을 迎入하여 新政權을 樹立하였다. 그 뒤 7月 27日 改革推進機構로서 軍國機務處(軍國機務處)가 設置되고, 領議政 김홍집(金弘集)李 회의總裁(會議總裁)에, 그리고 박정양(朴定陽)·김윤식(金允植)·曺喜昖(趙羲淵)·김가진(金嘉鎭)·안경수(安?壽)...

  • 1907年 高宗이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開催된 第2回 萬國平和會議에 特使를 派遣해 日帝에 依해 强制 締結된 乙巳條約의 不法性을 暴露하고 韓國의 主權 回復을 列强에게 呼訴한 外交 活動. [歷史的 背景] 日帝는 1904年 2月 러일戰爭 挑發 以後 韓國을 ‘倂合’하기 위한 外交活動을 벌였다. 美國·英國·獨逸·프랑스 等 龜尾 列强이 日帝의 韓國 侵略을 默認하도록 措處한 뒤, 1905年 11月 高宗과 大臣들을 威脅, 外交權과 統治權을 剝奪해 ‘保護國’으로 삼는 乙巳條約을 强制 締結하였다. 그러나 高宗은 이 條約을 認准하지 않았다. 그리고 機會만 있으면 乙巳條約에 反對하는 親書를 國外로 내보냈다. 美國의 헐버트(Hulbert, H. B.) 博士에게 電報를 보내 그 곳에서 條約 反對運動을 벌이게 한 것도 이 즈음의 일이었으나, 별다른 成果를 거두지 못하였다. [經過] 이러한 狀況에서 1906年 6月 平和會議의 主唱者인 러시아 皇帝 니콜라스 2歲(Nicholas Ⅱ)가 極祕裡에 高宗에게 제2회...

  • 北路군정서를 이끌고 靑山裏 大捷을 勝利로 이끈 獨立運動家. [要約] 金佐鎭은 北路군정서를 이끌고 靑山裏 大捷을 勝利로 이끈 獨立運動家이다. 大韓帝國期에 新民會와 大韓協會 等의 啓蒙運動 團體에서 活動하였다. 大韓帝國이 滅亡한 後에는 大韓光復會 創設에 參與하였으며, 北間島에서 北路군정서를 이끌고 靑山裏 大捷을 勝利로 이끌었다. 그 後 新民府를 組織하였으며, 民族唯一黨運動의 一環으로 革新議會와 한족總聯合會를 結成하였다. [人的事項] 김좌진(金佐鎭, 1889~1930)은 忠淸南道 홍주군(只今의 洪城郡) 出身으로 本貫은 安東(安東), 자는 명여(明汝), 號는 白夜(白冶)이다. 어릴 적에는 漢學을 修學하고 1904年에 上京하여 1905年 陸軍武官學校에 入學하였다. 1907年에 卒業하고 大韓帝國 陸軍 將校에 任官되었다. [主要 活動] 大韓帝國 軍隊가 日本에 依해 强制 解散된 後 啓蒙運動(啓蒙運動)에 積極 나섰다. 新民會에 加入하였고 靑年學友會에서도 活動하였다. 大韓協會와...

  • 日帝强占期 內部大臣, 侯爵, 日本帝國議會 貴族院 勅宣議員 等을 歷任한 官僚. 政治人, 親日反民族行爲者. [開設] 1861年 6月 12日 京畿道 水原에서 出生했다. 本貫은 潘南(潘南), 初名은 박무량(朴無量), 字는 자순(子純), 號는 춘고(春皐), 筆名은 玄玄居士(玄玄居士)이다. 日本에 亡命했을 때 야마자키 에이하루[山崎永春]라는 이름을 使用했다. 아버지는 判書를 지낸 박원양(朴元陽)이며, 어머니는 全州李氏이고, 큰兄은 박영교(朴泳敎), 작은兄은 박영호(朴泳好)이다. 1872年(高宗 9) 2月 哲宗의 딸 영혜翁主와 結婚하여 駙馬가 되었으나 3個月 만에 死別하였다. 金陵위(錦陵尉) 情1品 上輔國崇祿大夫(上輔國崇祿大夫)에 封해졌다. 朝鮮 末期에 漢城判尹, 內部大臣, 宮內府 特進官, 神宮封境回(神宮奉敬會) 總裁 等을 歷任하였다. 日帝强占期에는 侯爵의 爵位를 받았으며, 朝鮮貴族會 會長·朝鮮殖産銀行 理事·中樞院 副議長·日本帝國議會 貴族院 勅宣議員 等으로 活動하였다. 1939年 9月 21日...

  • 1882年(高宗 19) 8月 30日(陰曆으로 7月 17日) 壬午軍亂으로 빚어진 兩國 間의 問題를 處理하기 위해 朝鮮과 日本 사이에 맺어진 條約. [開設] 6個組의 本조약과 2個組의 修好條規속藥(修好條規續約)으로 되어 있다. [歷史的 背景] 壬午軍亂 以後 淸日 兩軍의 漢城晉州와 興宣大院君의 淸國 拉致 問題 等이 민씨政權의 再執權에 따라 一段落되었다. 以後 軍亂 뒤處理를 위한 組ㆍ청ㆍ日 3國의 折衷 協議가 多角度로 벌어지게 되었다. 日本은 軍亂 때 日本勢力의 朝鮮 浸透에 民族的 義憤을 품고 있던 兵士들과 市民들에 依해 公使館이 襲擊당했고, 別技軍(別技軍) 敎官 狐貍모토(堀本禮造)等 數 名이 살해당하는 被害를 입었다.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이끄는 靑軍 3,000名이 漢城에 進駐하면서 淸國의 政治的 影響은 커졌다. 이로 인해 朝鮮에서의 日本勢力은 一時에 後退를 강요당하게 되는 地境에 몰리게 되었다. 이에 日本은 被害 補償과 居留民 保護를 내세우면서 武力을 背景으로 交涉을...

  • 大韓帝國期 第2代(在位: 1907∼1910) 皇帝. [要約] 純宗은 大韓帝國期 第2代(在位: 1907∼1910) 皇帝이다. 1874年 2月 高宗과 明成皇后(明成皇后)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1875年 世子로 冊封되었다. 1882年 뒤에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가 된 閔氏를 世子嬪으로 맞았고, 1904年에는 尹氏를 皇太子妃로 새로 맞이하였다. 1907年 高宗이 日帝의 强要에 依해 王位에서 물러나자 大韓帝國의 皇帝로 卽位하여 年號를 隆熙(隆熙)로 고쳤다. 大韓帝國 崩壞 後 純宗은 王으로 降等되어 昌德宮에서 居處하다가 1926年에 死亡하였다. [人的 事項] 1874年 2月 高宗과 明成皇后(明成皇后)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척(?), 字는 군방(君邦), 號는 정헌(正軒)이다. 出生 다음해 2月에 王世子로 冊封되었고, 1882年에 閔氏를 世子嬪으로 맞았다. 1897年 大韓帝國의 樹立에 따라 皇太子로 冊封되었다. [內容] 1907年 7月에 日帝가 强制로 高宗을 退位시키면서 大韓帝國의 皇帝로 卽位하였다....

  • 1866年(高宗 3) 7月 美國 商船 제너럴셔먼호가 平壤에서 郡民의 畫工으로 불타버린 일. [歷史的 背景] 1866年은 朝鮮의 對外交涉社에 있어 重要한 한 해였다. 그해 初 大院君은 天主敎 禁壓政策(禁壓政策)에 따라 프랑스 神父 9名과 天主敎徒 數千 名을 죽이는 이른바 丙寅邪獄(丙寅邪獄)을 일으켰다. 이를 契機로 朝鮮의 排外 鑑定은 最高潮에 達하였다. [經過] 프랑스 宣敎師를 處刑한 것에 對한 報復으로 프랑스 艦隊가 쳐들어오리라는 所聞이 播多한 가운데, 그해 8月 正體 不明의 異樣船(異樣船) 1隻이 大同江을 거슬러 平壤까지 올라왔다. 이것이 바로 제너럴셔먼호였다. 셔먼호는 元來 美國人 프레스턴(Preston,W.B)의 배였다. 그런데 프레스턴이 톈진(天津)에 寄港하고 있던 中 그곳에 主宰하던 英國 메도즈上司(Meadows and Company)와 傭船契約을 締結해, 契約期間 中 셔먼호는 英國 商社에 委託되어 있었다. 셔먼호는 80級 蒸氣船으로 12파운드의 大砲 2門을 갖추고 船員은 完全...

  • 1855(哲宗 6)∼1895(高宗 32). 朝鮮 末期 東學農民運動 指導者. [開設] 本貫은 天安(天安). 者는 瞑坐(明佐). 初名은 電鐵로(全鐵爐). 別名은 전영준(全永準). 號는 解夢(海夢)이다. 몸이 矮小하였기 때문에 흔히 綠豆(綠豆)라 불렸고, 뒷날 綠豆將軍이란 別名이 생겼다. 出生地에 對해서는 여러 說이 있으나, 高敞郡 죽림리 黨村이 有力하다. 아버지는 고부군 鄕校의 醬의(掌議)를 지낸 전창혁(全彰爀)이며 어머니는 광산金氏이다. [生涯 및 活動事項] 아버지 전창혁은 고부 郡守 趙秉甲(趙秉甲)의 貪虐에 抵抗하다가 모진 棍杖을 맞고 한 달 만에 죽음을 當하였다. 뒷날 全琫準이 社會改革의 큰 뜻을 품게 된 것은 아버지의 影響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 집안이 가난하여 安定된 生業이 없이 藥을 팔아서 生計를 維持하였고 方術(方術)을 배웠다. 恒常 말하기를 “크게 되지 않으면 차라리 滅族(滅族)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고 한다. 態인 山隈里 童曲(山外里 東谷) 마을에 옮겨 자리잡았을...

  • 1866年(高宗 3) 11月에 鑄造되어 6個月餘 동안 流通되었던 貨幣. [開設] 模樣과 重量은 當時 通用되던 常平通寶의 5·6倍에 지나지 않았으나, 常平通寶보다 100倍의 名目 價値로 通用시키기 爲해 鑄造되었다. [內容] 當百錢을 鑄造하게 된 가장 큰 理由는 當時 朝鮮 政府의 財政 惡化에 있었다. 興宣大院君은 勢道 政治 下에서 失墜된 王室의 權威를 回復하기 위해 많은 財源이 必要한 景福宮 重建 事業을 無理하게 强行하였다. 또, 1860年代에 접어들면서 西歐 列强의 朝鮮에 對한 門戶開放 要求가 漸增瑕疵, 軍隊를 增强하고 軍備를 擴張하는 等의 國防 政策의 强化에도 많은 財源이 必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財源 確保를 위해 願納錢(願納錢)·戶布制(戶布制) 等의 制度를 新設하기도 하였으나, 勢道 政治以來 繼續되어 온 三政의 紊亂은 朝鮮 政府로 하여금 慢性的인 財政難에 시달리게 하였다. 그래서 非常 對策으로 當百錢 主潮를 斷行하게 되었다. 當百錢 主潮의 直接的인 動機는 財政難...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