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類型 槪念用語
時代 現代

正義

우리 나라 및 우리 民族의 汎稱.

開設

나라를 가리킬 境遇에는 韓國(韓國), 民族을 가리킬 境遇에는 한족(韓族)이라 하였다.

淵源 및 變遷

‘韓’의 語源은 ‘크다·넓다·높다·많다·뭇’의 뜻과, 數의 基本數인 하나에서 나온 ‘韓’, ‘한가운데·한겨울’이라는 말에서처럼 中央·中心이라는 뜻이다.

卽, 이는 施工(時空)과 사람의 性格을 나타내는 最上級 形容詞이며, 基礎이면서도 끝을 包括하고, 또한 편벽되지 않은 中道로서의 意味를 가지고 있다.

近代의 西洋 文化나 日本 文化와 區別하는 意味에서 傳統的인 뜻으로 韓屋·韓服·韓紙 等이 使用되었고, 韓半島라는 用語에서의 ‘韓’이라는 말은 우리나라를 指稱하는 冠形詞로 使用된 말이다. ‘韓’은 낱자이기 때문에 뒤에는 漢字의 名詞가 主로 붙는다.

西洋的인 것, 新式의 것, 外來的인 것에 對해 傳統的인 우리의 것, 在來種을 指稱하는 意味로 使用될 境遇, 固有한 우리말 앞에는 ‘韓’ 代身에 ‘朝鮮’이라는 冠形詞가 붙는다. 例로 朝鮮낫·朝鮮옷·朝鮮쑥·朝鮮뜸부기·朝鮮돌조개·朝鮮호박·朝鮮참외 等을 들 수 있다.

恨이 우리나라를 統稱하는 意味로 널리 使用된 것은 大韓民國이라는 國號가 定해진 1948年 以後부터이지만, 淵源은 대단히 오래된다.

近代에 國號가 朝鮮에서 大韓帝國으로 바뀐 1897年부터 ‘韓’이라는 用語가 많이 쓰였으며, 1919年 上海臨時政府의 國號를 大韓民國으로 定한 以後 朝鮮이라는 用語와 함께 두루 使用되었다.

現代의 自由陣營에 살고 있는 同胞들은 恨이라는 用語를 普遍的으로 使用하고 있는 反面, 過去 共産陣營이었거나 共産陣營人 舊蘇聯, 中國에서는 ‘韓’보다는 朝鮮이 보다 普遍的으로 使用되고 있다.

限이 나라이름 또는 種族名으로 中國人에게 알려진 것은 西紀 1世紀 前半期人 後漢(後漢) 光武帝(光武帝) 때 以前으로 생각된다. 『後漢書』 光武帝本紀에는 “동이(東夷)에 歲 韓國이 있으니 津한·변한·마한이다.”라고 하였다. 이보다 일찍 編纂되었으나 後漢 以後의 歷史를 다룬 『三國志(三國志)』 魏書(魏書) 동이전에도 韓國이라는 用語가 네 番 나오고 있다.

이 境遇의 韓國은 삼한을 總稱해 使用한 말이다. 卽, 삼한이라는 用語는 ‘韓’族이라는 意味로도 使用되었지만, ‘韓’族이 살고 있는 領域을 指稱할 때에 韓國이라 하였다.

이 무렵 한족의 住居地域은 大體로 黃海道 以南이었으나 滿洲一帶로부터 移動해 왔다는 說도 있다. 삼한이라는 用語는 三國統一 以後부터는 遼河(遼河) 東쪽의 地域을 表現하는 말로, 나말여초에는 全國을 指稱하는 用語로 使用되었다.

또한 삼한은 高句麗·백제·新羅의 原三國을 의미하는 用語로도 使用되었다. 이는 삼한에서 三國이 繼承되었다는 歷史認識에 바탕을 둔 것이다. 高麗 太祖가 삼한을 統一했다고 한 境遇 全國을 統一했다는 뜻 以外에, 單純히 後三國의 統一이 아니라 原三國을 統一하였다는 意味를 가지고 썼다.

高麗의 統一功臣을 삼한功臣이라 稱했고, 高麗 後期에 삼한壁上功臣·삼한後壁上功臣이 冊封된 것도 이런 用例에 屬한다. 萬積(萬積)李 亂을 일으킬 때 “삼한의 千人을 없애버리겠다.”고 한 말에서도 삼한이 우리나라의 總稱으로 使用되었음을 알 수 있다.

朝鮮에서는 삼한이라는 用語는 널리 使用되지 않았고, 歷史學에서 다루어졌을 뿐이다. 이는 삼한보다 歷史的인 淵源이 더 오래된 朝鮮이라는 國號를 다시 썼기 때문이다.

近代에 이르러 淸日戰爭에서 淸나라가 敗北하자 淸나라와의 事大關係를 淸算하고 自存意識을 높인다는 뜻으로 國號를 大韓帝國으로 定하면서부터 큰韓國이라는 意味의 大寒이라는 用語가 많이 通用되었다. 例로 『대한매일新聞』, 박은식(朴殷植)의 『한국통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 等이 代表的인 것이다.

以後 日帝强占期에 ‘大寒’은 獨立運動團體나 獨立軍의 名稱으로 ‘朝鮮’과 함께 우리나라를 指稱하는 用語로 使用되었다. 臨時政府의 名稱으로 大韓民國이 定해지자 獨立運動團體의 이름에 大韓을 많이 붙였으나, 路線을 달리한 左翼系統에서는 主로 朝鮮이라는 用語를 썼다.

한便, 光復 以後 南北으로 分斷, 두 個의 政府가 樹立되자, 北에서는 朝鮮이 國號로 使用됨으로써 한 또는 韓國이라는 用語는 거의 使用하지 않고 있다.

남에서도 國號는 大韓民國으로 定해졌지만 團體名이나 署名 等의 固有名詞에서 朝鮮이라는 名稱이 使用되고 있다. 그렇지만 造船보다는 韓國이라는 말이 더 많이 使用되고 있다. 一般名詞에서도 두個의 汎稱이 다 같이 使用되고 있다.

또한, 1980年代 以後에는 哲學者들의 韓思想이라는 硏究를 크게 심화시켜 民族宗敎의 正數를 찾고 이를 體系化하려는 努力이 精力的으로 進行되고 있다.

參考文獻

  • 『고조선사·삼한史硏究(古朝鮮史·三韓史硏究)』(千寬宇, 一周角, 1991)
  • 『韓思想(思想)과 民族宗敎(民族宗敎)』(이을호 外, 일지사, 1990)
  • 『韓思想의 理論과 實際』(김상일 外, 지식산업사, 1990)
  • 『世界哲學과 한』(김상일, 展望社, 1989)
  • 『고대한社(古代韓史)』(김원섭, 도도, 1989)
  • 『韓思想(思想)의 苗脈(苗脈)』(이을호, 社事緣, 1986)
  • 『韓哲學』(최민홍, 성문사, 1984)
  • 『韓國古代史硏究(韓國古代史硏究)』(李丙燾, 박영사, 1976)
  • 「삼한(三韓)에 對한 認識(認識)의 變遷(變遷)」(노태돈, 『韓國史硏究(韓國史硏究)』 38, 1982)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