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檀君

韓國民族文化大百科

檀君

[ 檀君 ]

異稱別稱 異稱 檀君王儉, 異稱 段웅天王
類型 人物/傳統 人物
出生 鳶島 未詳
死亡 鳶島 未詳
出生地 阿斯達
性別 男性

要約

檀君은 初期國家時代 古朝鮮의 第1代 王이다. 在位 期間은 BCE.2333年부터 BCE.1122年까지이며 檀君王儉·單웅天王이라고도 한다. 천제인 桓因의 孫子이며, 桓雄의 아들로, 西紀前 2333年 阿斯達에 都邑을 定하고 檀君朝鮮을 開國하였다. 以後 나라를 다스리다 1908歲에 神仙이 되었다고 한다. 檀君에 關한 最初의 記錄은 高麗時代의 스님 一然이 쓴 『三國遺事』이다. 朝鮮時代 세종대왕이 檀君을 古朝鮮의 始祖로 理解하여 平壤에 祠堂을 짓고 高句麗 始祖 東明王과 함께 모신 以後로 檀君은 韓民族의 名實相符한 始祖가 되었다.

正義

고조선의 第1代(在位:BCE.2333~BCE.1122) 王.

開設

檀君(壇君) · 檀君王儉(壇君王儉) · 段웅天王(檀雄天王)이라고도 한다. 天帝(天帝)인 桓因(桓因)의 孫子이며, 桓雄(桓雄)의 아들로 西紀前 2333年 阿斯達(阿斯達)에 都邑을 定하고 檀君朝鮮을 開國하였다.

古朝鮮과 檀君에 關한 最初의 記錄은 中國의 『魏書(魏書)』와 우리 나라의 『고기(古記)』를 引用한 『三國遺事』 紀異篇(紀異篇)을 들 수 있다. 反面에 正使인 『三國史記』에는 이와 같은 內容이 記錄되어 있지 않아 對比된다. 한便, 高麗時代의 記錄으로 이승휴(李承休)의 『帝王韻紀(帝王韻紀)』가 있으며, 이와 비슷한 內容이 朝鮮 初期의 記錄인 권람(權擥)의 『應製施主(應製詩註)』와 『世宗實錄』地理誌 等에 나타나고 있다.

生涯 및 活動事項

一般的으로 檀君의 誕生과 古朝鮮 建國에 關한 問題를 論及할 때 一次的으로 引用하는 記錄은 『三國遺事』이다. 먼저 『三國遺事』의 內容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옛날 桓因의 庶子(庶子: 長男이 아닌 次男 以下의 아들) 桓雄이 자주 世上에 내려가 人間 世上을 救하고자 하므로 아버지가 桓雄의 뜻을 헤아려 天符印(天符印) 3個를 주어 世上에 내려가 사람을 다스리게 하였다. 桓雄이 무리 3,000을 거느리고 太白山(太伯山) 꼭대기의 神壇樹(神壇樹) 밑에 내려와 그곳을 新詩(神市)라 이르니 그가 곧 桓雄天王이다. 그는 風伯(風伯) · 尤史(雨師) · 雲師(雲師)를 거느리고 曲(穀) · 名(命) · 丙(病) · 兄(刑) · 선(善) · 惡(惡) 等 무릇 人間의 360餘 가지 일을 맡아서 世上을 다스렸다. 이 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있어 같은 窟 속에 살면서 桓雄에게 사람이 되게 해달라고 빌었다. 桓雄은 이들에게 신령스러운 쑥 한 줌과 마늘 20쪽을 주면서 이것을 먹고 100日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된다고 일렀다. 곰과 범이 이것을 받아서 먹고 謹愼하였는데 3 · 7日(21日) 만에 곰은 女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이것을 못 참아서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熊女(熊女)는 그와 婚姻해주는 이가 없으므로 神壇樹 아래에서 아이를 가지게 해 달라고 祈願하였다. 이에 桓雄이 暫時 變해 婚姻하여 아이를 낳으니 그가 곧 檀君王儉(壇君王儉)이다. 王儉이 당고(唐高 : 中國의 聖君인 三皇五帝 가운데 堯임금을 말함. 當時 高麗의 3代 王인 定宗의 이름이 堯인 까닭에 이를 避하여 비슷한 意味인 高字로 代身 쓴 것임) 卽位 後 50年인 庚寅(庚寅: 唐袴衣 卽位年은 戊辰이므로 50年은 丁巳요 경인이 아니니 틀린 듯함)에 平壤城(平壤城)에 都邑을 定하고 비로소 朝鮮이라 일컬었다. 이어서 都邑을 白岳山(白岳山)의 阿斯達로 옮겼는데 그 곳을 궁홀산(弓忽山: 弓 代身 方字로도 씀) 또는 金未達(今彌達)이라고도 하였다. 檀君은 1,500年 동안 나라를 다스리고 株(周)나라 호왕(虎王: 周나라의 武王을 말함. 高麗 2代王 惠宗의 이름 武를 避한 것임)이 卽位한 기묘년에 記者(箕子)를 朝鮮의 賃金으로 封하였다. 檀君은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阿斯達에 돌아와 숨어서 山神이 되니 나이가 1,908歲였다.”

한便, 『帝王韻紀』에서는 『本紀(本紀)』(本紀는 ‘檀君本紀’인 듯함)를 引用하여 다음과 같은 內容을 보여 주고 있다.

“喪制(上帝)인 桓因에게 庶子인 웅(雄)이 있었다. ……(아버지가) 일러 말하기를 내려가 三危太伯(三危太白)에 이르러 널리 사람에게 도움을 주라 하여 雄이 天符印 3個를 받아 鬼神〔鬼〕 3,000을 이끌고 太白山 꼭대기 神壇樹 아래 내려오니 이가 바로 단웅천왕이다.……손녀로 하여금 藥을 마셔 사람이 되게 하고 單受信(檀樹神)과 婚姻하여 檀君을 낳았다. 朝鮮 地域에 根據하여 王이 되었다. 그런 까닭에 詩라(尸羅: 新羅) · 古禮(高禮: 高句麗) · 南北(南北)沃沮(沃沮) · 東北(東北)附與(扶餘) · 예(濊) · 맥(貊)李 모두 檀君의 後繼이다. 1,038年 동안 다스리다가 阿斯達山(阿斯達山)에 들어가 神이 되었으니 죽지 않은 까닭이다.”

以上에서 볼 수 있듯이, 檀君에 關한 內容을 傳하고 있는 高麗時代의 두 記錄은 基本的인 內容에서는 비슷하나 細部的인 部分에서는 差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檀君을 表現함에 있어 『三國遺事』에서는 ‘祭壇 單(壇)’字로 檀君을 記錄하고 있고 『帝王韻紀』에서는 ‘박달나무 段(檀)’字를 使用하여 그 意味를 各其 다르게 나타내고 있다. 一般的으로 學界에서는 後者로써 檀君을 나타낸다.

한便, 『三國遺事』에서는 古朝鮮朝에서 檀君朝鮮과 箕子朝鮮을 함께 記錄하고 있으나, 『帝王韻紀』에서는 前朝鮮(前朝鮮)이라는 項目에서 檀君에 依한 朝鮮을 記述하고, 後朝鮮(後朝鮮) 項目에서 記者에 依한 朝鮮을 言及하여 後續하는 衛滿朝鮮과 함께 三朝鮮(三朝鮮)으로 區分하여 把握하고 있다.

檀君神話에 關한 見解

檀君神話 關聯 內容은 檀君 硏究에 있어 基本的인 資料로서 活用되었으나, 中心的인 內容은 『三國遺事』의 것을 根幹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見解가 提示되었다.

첫째, 檀君神話는 고조선의 한 種族 神話이던 것인데, 大夢抗爭(對蒙抗爭) 等 民族의 團合이 要求되는 時代에 民族의 始祖로 받들게 되었다고 보는 見解가 있다. 檀君에 關한 記事가 실려 있는 『三國遺事』의 編纂 時期가 위에서 言及한 時代와 거의 같다는 點도 留意할 만하다. 이는 앞서 『帝王韻紀』에서 九月山(九月山)을 阿斯達山으로 보고 거기에 祠堂이 存在한다는 內容과도 連結된다.

한便, 朝鮮時代 세종대왕이 平壤에 祠堂을 지어 檀君과 高句麗 始祖 東明王을 함께 모신 以後로 檀君은 名實相符한 國調(國祖)가 되었다. 또, 九月山에 三聖祠(三聖祠: 桓因 · 桓雄 · 檀君을 背向)가 있고 江東(江東)에는 檀君의 무덤이 있다는 主張까지 登場하였다.

둘째, 檀君과 關聯하여 ‘不咸文化論(不咸文化論)’이라는 見解가 展開되었다. 卽, 中央아시아로부터 韓半島 · 日本 等을 包含하는 地域에 ‘ㅂㆍㄺ史上’ 中心의 信仰과 社會組織을 가지는 民族이 分布하는데, 種族的 關係는 且置하더라도 文化的으로 一連의 關係가 있다는 見解이다. 여기서 白山(白山)은 그 中心이고 이 文化가 우리 歷史에서 具體的 實體로 나타난 것이 檀君과 부루(夫婁)라는 것이다.

셋째, 檀君神話에 對한 考古學的 見解도 提起되었다. 卽, 산둥省〔山東省〕에 있는 무씨祠堂(武氏祠堂) 突放〔石室〕內의 畫像石(畵像石) 그림이 文獻에 보이는 檀君 神話의 內容과 一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檀君神話의 內容은 北方系의 샤머니즘과 關聯되며, 이들 特性은 種族 移動에 依한 것으로 理解되었다. 그러나 最近 이 見解의 根幹이었던 무씨祠堂 畫像石의 內容이 檀君神話의 內容과는 關聯이 없다는 批判도 提起되었다.

넷째, 檀君神話에 關한 文獻 爲主의 解釋이 아닌 歷史的 立場에서 結論을 내린 見解도 있다. 卽, 이 神話가 三神思想의 表現이고, 具體的으로는 太陽神話와 토테미즘이라는 두 系統의 神話가 混在된 것으로 理解하는 것이다. 따라서, 檀君神話는 神話를 달리하는 두 種族이 政治 · 社會的으로 統合되면서 이들 두 種族의 始祖神話가 混在된 것이며, 이것이 古朝鮮의 一部足跡 時調說話였던 것인데 三國統一과 高麗時代에 民族意識이 高調되면서 韓民族의 始祖神話로 變한 것이라고 理解하는 것이다.

다섯째, 檀君神話는 薦新族(天神族)인 桓雄이 支神族(地神族)인 雇馬族의 女性과 婚姻하여 檀君이 出生하였다는 것을 설화화한 것이라고 보고, ‘檀君’이라는 呼稱은 무군(巫君), 卽 濟州적(祭主的) 意義가 많고 ‘王儉’이라는 呼稱은 政治的 軍將(君長)의 意義가 剛하므로, 宗敎的 機能과 政治的 機能이 名稱上에서 區分된다고 把握하는 見解도 提示되었다.

여섯째, 檀君神話를 單純한 神話나 토테미즘이라는 觀點에서 解釋하려는 態度를 벗어나 우리 民族 太古의 意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把握하는 見解도 있다. 이 見解는 原始 部族들의 原始 信仰에 關한 內容을 『三國遺事』의 記錄과 比較하여, 農耕關係 記事를 穀物 栽培 民族의 提議(祭儀)로 把握하고 桓雄과 熊女를 雙墳體制(雙分體制, dual organization)로 看做하며, 곰과 범이 한 窟에서 살았다는 內容을 日光禁忌(日光禁忌)와 脫皮(脫皮) 同期에 焦點을 맞추어 理解한다.

일곱째, 檀君神話의 神話 自體에 나타난 社會相을 强調하고, 또 이를 信奉한 集團이 어떠한 社會集團이었는가를 强調하는 見解도 있다. 이 見解는 古朝鮮의 系譜가 한족(漢族)의 記者傳說이 介入되어 混亂이 있음을 指摘하고, 衛滿朝鮮을 檀君朝鮮에서 交替되는 것으로 理解하여 古朝鮮에 檀君朝鮮과 從來의 箕子朝鮮을 包含시킨다.

以上의 여러 見解들을 勘案할 때 檀君神話에 對한 理解는 文獻과 考古學的 方法을 連結시켜 分析하는 것이 合理的일 것이다. 卽, 檀君神話가 包容하고 있는 歷史의 時代가 果然 考古學的으로 어떠한 文化를 內包한 時代인가에 對한 問題를 提起하는 것이다.

한便, 檀君을 中心으로 볼 때 熊女의 存在는 곰의 子孫이라는 思想이 中心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 神話 內容을 東北아시아 地域과 連結시켜 考慮할 때 고아시아족(古亞細亞族, Paleo Asiatic)의 存在에 注目하게 된다. 이들의 始祖神話에는 곰 崇拜思想이 나타나며 그들은 自身들이 곰의 子孫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고아시아족이 곰 崇拜와 함께 갖고 있는 샤머니즘에서의 宗敎的 要素와 檀君神話를 比較해 보면, 最高의 샤먼을 指稱하는 텡그리(tengri)와 檀君神話의 ‘檀君’, 그 機能과 關聯된 世界목(世界木) 觀念과 檀君神話의 神壇樹 等은 檀君神話의 內容을 고아시아족과 連結시켜 把握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우리의 新石器文化가 시베리아 地域과 關聯되며, 시베리아 新石器文化의 擔當者가 고아시아족이라는 事實에서, 檀君神話의 時代的 性格이 新石器文化와 連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事實은 新石器時代의 代表的인 빗살무늬土器〔櫛文土器〕가 靑銅器時代의 민무늬土器〔無文土器〕로 變化한 것이 種族과 文化 變化의 結果라는 것을 念頭에 둘 때, 우리의 靑銅器文化를 擔當한 種族이 알타이 系統의 예맥족이며, 그 出現 時期는 이른바 記者朝鮮으로의 變化 時期와 符合한다는 것에서 그 轉換點을 注目해야 한다.

이와 함께 檀君의 個國 連帶가 中國의 堯임금과 連結되어 있으나 이 點은 더 硏究를 必要로 한다. 最近 이 時期의 問題와 關聯하여 要領(遼寧)地域의 馮河文化(豊下文化: 夏家店下層文化)가 靑銅器文化로서 檀君의 個國連帶와 連結된다는 見解가 있으나 이 文化와 우리와의 直接的인 關聯性은 弱한 것으로 보인다.

한便, 檀君神話를 時代的 變化를 契機的으로 反映한 것으로 理解하는 見解도 있다. 卽, 첫째 段階에서는 氏族 社會에서의 單純한 氏族 토템이 생겼고, 둘째 段階에서는 ‘軍事 民主主義 段階’로 履行하는 時期에 ‘軍士水葬’으로서의 檀君이 登場한 것이며, 셋째 段階에서는 階級國家 形成 後 古朝鮮 國王으로서의 檀君이 登場한 것으로 보는 것인데, 이에는 보다 徹底한 檢證이 要求된다.

또, 檀君 關係 文獻에 對하여, 『三國遺事』를 不可(佛家) 系統의 司書로, 『帝王韻紀』 等은 油價(儒家) 系統의 司書로, 『閨怨士禍(揆園史話)』 · 『환단고기(桓檀古記)』 等을 道가(道家) 系統의 司書로 보아 檀君朝鮮의 歷史가 47代 마지막 王에 이르기까지 實査(實史)였음을 强調하는 見解가 提示되기도 하였다.

檀君의 民族史的 意義

歷代 檀君 認識의 變化를 時期에 따라 네 段階로 區分해 보기도 한다. 第1段階는 古朝鮮 當時의 檀君 認識으로, 古朝鮮 始祖神으로서의 檀君이며, 第2段階는 古朝鮮 滅亡 以後부터 高麗 中葉(13世紀)까지로, 檀君을 韓半島 西北地域에서 地域神으로 認識되던 時期라고 한다. 第3段階는 高麗 中葉에서 韓末(20世紀 初)까지이며, 이 時期는 檀君이 韓國의 國調, 卽 나라를 처음 있게 한 時調로 崇拜되던 時期이며, 第4段階는 韓末부터 現在까지로 檀君이 民族의 始祖로 認識되는 時期라고 본다.

元來 神話는 歷史的인 事實 바로 그 自體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 속에 內在된 歷史性을 重視해야 하며, 어떤 脈絡에서든 神話의 意味는 풀려야 한다. 그러나 檀君의 開國神話를 그대로 王朝史人 것처럼 解釋하는 것에는 無理가 있다. 어쨌든, 檀君神話는 우리 民族이 受難을 當하고 危機에 處할 때마다 民族이 團合하는 求心體 구실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意味와 價値를 維持할 것이다.

檀君을 信仰의 對象으로 삼아 宗敎로 發展한 것이 大倧敎(大倧敎)다. 開天節은 이 宗敎에서 行하던 儀式이었으나 光復 後에는 政府에서 正式으로 個國에 關한 國慶日로 定하게 되었다. 한동안 우리 나라에서 使用한 短期(檀紀)는 高麗 末 禑王의 師父였던 백문보(白文寶)가 처음 使用했으며, 短期 元年을 西紀前 2333年으로 보는 根據는, 朝鮮時代의 司書인 『東國通鑑』에서 古朝鮮의 建國을 堯임금 卽位 25年 무진으로 본 것에 있다. 短期의 使用은 1962年 1月 1日부터 中止되고 書記로만 쓰게 되었다.

參考文獻

  • 『三國遺事(三國遺事)』
  • 『帝王韻紀(帝王韻紀)』
  • 『古朝鮮에 對한 새로운 解釋』(김정배, 고려대 民族文化硏究院, 2010)
  • 『南北 學者들이 함께 쓴 檀君과 古朝鮮 硏究』(檀君學會 篇, 지식산업사, 2005)
  • 『檀君과 古朝鮮史』(노태돈, 四季節, 2000)
  • 『檀君과 古朝鮮』(이형구 엮음, 살림터, 1999)
  • 『北韓學界의 檀君神話 硏究』(서영대 便, 1995)
  • 『檀君』(윤이흠 外,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檀君實査에 關한 文獻考證』(以上市, 가나出版社, 1987)
  • 『古朝鮮』(劉 엠 不찐, 國史編纂委員會 驛, 1986)
  • 『古朝鮮硏究』(리지린, 學友西方, 1963)
  • 『檀君神話의 神硏究』(金在原, 정음사, 1947)
  • ?檀君 認識의 變遷?(서영대,『고조선사 硏究 100年:古朝鮮史硏究會·東北亞歷史財團 便』, 學緣文化史, 2009)
  • ?韓民族의 起源과 形成?(김정배,『韓國古代史入門』1, 신서원, 2006)
  • ?檀君認識의 變遷?(박광용,『韓國史學史-郵送조동걸先生停年記念論叢-』, 1997)
  • ?古朝鮮의 國家形成?(이기백,『韓國史市民講座』2, 일조각, 1988)
  • ?古朝鮮의 再認識?(김정배,『韓國史론』14, 1985:『韓國古代의 國家起源과 形成』, 고려대학교出版部, 1987)
  • ?阿斯達의 位置問題와 그 名稱의 意義?(李丙燾,『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 ?檀君神話의 問題點?(이기백,『韓國古代史론』, 探究當, 1975)
  • ?古朝鮮의 住民構成과 文化的 複合?(김정배,『白山學報』12, 1972:『韓國民族文化의 起源』, 고려대학교 出版部, 1973)
  • ?檀君神話의 한 硏究?(황패강,『白山學報』3, 1967)
  • ?檀君神話와 民族的 理念?(이홍직,『國史上의 諸問題』1, 國史編纂委員會, 1959)
  • ?檀君神話와 토테미즘?(김정학,『歷史學報』7, 1954)
  • ?檀君考?(今西龍,『朝鮮古史の硏究』, 近澤書店, 1937)
  • ?不咸文化論?(崔南善,『朝鮮及朝鮮民族』1, 朝鮮思想通信社, 1927)

關聯이미지 11

삼국유사 / 고조선조

三國遺事 / 古朝鮮朝

이미지 갤러리

出處: 韓國民族文化大百科

1 / 11

위 이미지에 對한 權利는 出處사이트 揭示者에게 있으며, 이를 無斷 使用할 境遇 法的 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