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TAE 緩衝溶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TAE 緩衝溶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TAE 緩衝溶液 (TAE 버퍼, TAE buffer)은 Tris 鹽基 , 아세트산 EDTA 으로 構成된 緩衝液이다.

分子 生物學에서는 一般的으로 DNA 및 RNA와 같은 核酸의 分離를 위해 아가로스 電氣泳動 에 使用된다. [1] 一般的으로 pH 8.3의 Tris-acetate 緩衝液과 2街 양이온을 隔離하는 EDTA 로 構成된다. TAE는 TBE 보다 完充 容量이 낮고 쉽게 枯渴될 수 있지만 線型 二重 가닥 DNA 는 TAE에서 더 빠르게 實行된다.

以前에 Brody & Kern은 겔 시스템에서 보다 效率的이고 低廉한 전도성 媒體를 TBE 및 TAE 緩衝溶液으로 代替하여 電氣泳動 버퍼를 單純化했다. [2]

使用 [ 編輯 ]

TAE(Tris-acetate-EDTA) 緩衝液은 實行 緩衝液과 아가로스 겔 모두로 使用된다. [3] 廣範圍한 突然變異 分析을 위한 變成 勾配 겔 電氣泳動 方法에서의 使用도 說明되었다. [4] TAE는 鹽化 나트륨 이 있거나 없는 溶液에서 DNA 의 移動性을 硏究하기 위해 다양한 濃度에서 使用되었다. [5] 그러나 DNA 샘플에서 높은 濃度의 鹽化 나트륨 (및 其他 많은 廉)은 移動性을 遲延시킨다. 이것은 結果 DNA 밴딩 패턴의 잘못된 解釋으로 이어질 수 있다.

構成 [ 編輯 ]

TAE 緩衝溶液은 一般的으로 實驗室 使用을 위한 50x 스톡 溶液으로 準備된다. 50x 스톡 溶液은 물에 242g의 Tris 鹽基 를 溶解하고 57.1ml의 아세트산 및 100ml의 50mM EDTA (pH 8.0) 溶液을 添加하고 最終 부피를 1리터까지 만들어 準備할 수 있다. 이 스톡 溶液은 1X 作業 溶液을 만들기 위해 물로 49:1 稀釋될 수 있다. 이 1x 溶液은 40mM Tris, 20mM 아세트산 및 1mM EDTA를 包含한다.

No. 種類 Per 1 mole Main solution 50× 1× solution 1X
1 Tris base 121.1 g/L 2 M 242.2 g/L 40 mM 4.844 g/L
2 acetic acid 57.1 ml/L 1 M 57.1 ml/L 20 mM 1.21 ml/L
3 EDTA disodium salt dihydrate 372.24 g/L 50 mM 18.612 g/L 1 mM 0.372 g/L
  • 2M = 2000mM이므로 1x의 境遇 2000mM /50 = 40mM이다.
  • 1M = 1000mM이므로 1x의 境遇 1000mM /50 = 30mM이다.
  • 50mM /50 = 1x의 境遇 1mM이다.

먼저 이 成分들을 500ml에 녹여 1000ml로 한다. 參考로 EDTA는 溶解하는 데 더 많은 時間이 걸리므로 EDTA를 溶解하는 동안 攪拌機 를 使用하는 것이 좋다(3~4회에 少量의 EDTA). 50× TAE 緩衝溶液의 準備 方法에 對한 段階別 레시피는 protocol.io. [6] 에서 確認할 수 있다.

비슷한 種類의 溶液 [ 編輯 ]

TA 緩衝溶液 [ 編輯 ]

이름 그대로 TAE 緩衝溶液의 E인 EDTA가 빠진 溶液이다. [ 出處 必要 ]

TBE 緩衝溶液 [ 編輯 ]

이름 그대로 TAE 緩衝溶液의 A인 acetic acid가 boric acid의 B로 바뀐 溶液이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Ogden, R.C., and Adams, D.A., (1987) Electrophoresis in agarose and acrylamide gels. Methods Enzymol ., 152 :, 61-87.
  2. Brody, Jonathan R.; Kern, Scott E. (2004年 10月). “History and principles of conductive media for standard DNA electrophoresis” . 《Analytical Biochemistry》 (英語) 333 (1): 1?13. doi : 10.1016/j.ab.2004.05.054 .  
  3. Sambrook, Fritsch, and Maniatis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volume 3, apendices B.11 and B.23 ISBN 0-87969-309-6
  4. Hayes, V.M. et al., (1999) Improvements in gel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conditions for broad-range mutation analysi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Nucleic Acids Res ., 27 (20): e29. PMID 10497279
  5. Stellwagen, E., and Stellwagen, N.C. (2002) The free solution mobility of DNA in Tris-acetate-EDTA buffer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and without added NaCl. Electrophoresis , 23 (12): 1935-1941. PMID 12116139
  6. Behle, Anna; Pawlowski, Alice. “Recipe for 50x TAE buffer v1” . doi : 10.17504/protocols.io.gtvbwn6 .  
  7. “History and principles of conductive media for standard DNA electrophoresis” (PDF) . doi : 10.1016/j.ab.2004.05.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