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QWERTY 字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QWERTY 字板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QWERTY 字板

QWERTY 字板 (쿼티 字板)은 英語 打字機 컴퓨터 字板 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字板 配列이다. 字板의 왼쪽 上段의 여섯 글字를 따서 이름 붙여졌다. 1868年 크리스토퍼 숄스가 이 配列에 對한 特許 를 냈다. 以後 숄스는 1873年에 레밍톤에게 이 特許를 팔았으며 레밍턴은 以後 打字機를 만들 때 처음 使用하였다. 效率 面에서 드보락 字板 에 비해 떨어진다는 評價가 있으나 가장 널리 쓰이는 英文 字板이며 이를 基礎로 많은 獨逸語의 QWERTZ 字板 , 프랑스 御醫 AZERTY 字板 같은 다른 言語를 위한 字板이 만들어졌다.

歷史 [ 編輯 ]

쿼티 字板은 美國의 밀워키 州에 살았던 新聞 編輯者인 크리스토퍼 숄스에 依해 發明되었다.

QWERTY 字板 配列의 由來에 對해서는 異見이 紛紛한데, 흔히 알려진 바로는, 숄스가 처음 開發한 打字機는 字板이 알파벳 順序로 配列되었는데 이 字板은 高速 他者에 매우 不便할뿐더러 打字機로 칠 때 隣接한 키를 연달아 치게 되면 타이프바 等이 자주 엉키는 問題가 發生하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숄스의 同僚였던 제임스가 숄스에게 配列을 바꾸라고 提案했고, 그걸 받아들여 숄스가 만든 게 이 쿼티 配列이라는 說이다. 이 說은 아주 널리 알려져 있으며 疑心 없이 引用되는 이야기이다.

이 說은 常識처럼 받아들여지다가 最近 硏究에 依해 反論이 提起되고 있고 信賴性을 疑心받고 있다.

첫째, 當時에는 特別히 타이프 잼이 일어날 程度의 高速 타이핑이 存在하지 않았다는 主張.

둘째, 숄스-글리든 타입의 타이프라이터 타이프바 配置를 보면 자주 쓰이는 글字 組合의 境遇 얼핏 서로 멀리 떨어진 角度에 位置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1] ER이나 RE는 (後述 교토大 論文에 依하면) 無慮 두 番째로 많은 타이핑 頻度數를 보이는 配列인데도 키보드는 勿論 타이프바 配列에서도 隣接하여 있다는 것이다. 다른 組合의 限界가 있었더라도 이것부터 解決했어야 했을 것이며, 한칸 떨어져 있긴 하지만 이程度로 解決되는 問題라면 全般的으로 이런 配列이 될 理由도 없다는 主張.

셋째, 키보드 配列과 타이프바 配列은 반드시 一致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 外에도 타이프라이터가 高速 타이핑에 버티지 못해 일부러 타이핑 速度를 늦추도록 考案된 것이라는 說 等 다양한 이야기가 있지만, 事實로 確認된 것은 없다. 오히려 該當 설들의 問題가 指摘되는 境遇가 더 많은데, 當時에 이런 式으로 打字機를 故障 낼 程度의 技術을 지닌 高速 타이피스트들은 없었다는 主張도 있다. [2] 또한 2011年에 교토대에서 나온 論文 [3] 에서는, 初期 使用者들은 모스 오퍼레이터들이었는데 모스 信號와 速度를 同期化시켜야 하는 이들 業務의 特性上 이 速度를 늦춘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英語 낱말의 많은 境遇가 왼쪽을 보다 쓰게 되어 人口의 多數를 차지하는 오른손잡이에게는 좀 더 힘든 入力 配列이라는 主張도 있다. 그러나 現代의 컴퓨터 使用者 中 오른손잡이들에게는 오른손으로 마우스 를 使用하기 때문에 오히려 便利하다고 볼 수 있다.

아래는 캐나다 퀘벡州 에서 使用되는 QWERTY 配列이다.

캐나다퀘벡에서 使用되는 QWERTY 키보드

한글과 쿼티字板 [ 編輯 ]

두벌式 字板 은 쿼티 字板과 共存하도록 만들어졌다. 왼쪽에는 子音이, 오른쪽에는 母音이 配置되어 서로 번갈아 가면서 키를 치게 構成되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人間工學 키보드나 LG電子 의 人間工學 키보드는 이 字板이 갈라져 配置되어 있는데, 왼손 子音, 오른손 母音으로 大體的으로 지켜지고 있으나 ‘b’(ㅠ) 키만 왼쪽으로 配置되어 있어 두벌式 字板으로는 한글을 入力하기가 不便하다. 그러나 세벌式 字板 은 ‘b’(ㅜ) 키와 ‘6’(ㅑ) 키를 왼손으로 치는 게 더 效率的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Yasuoka, Koichi; Yasuoka, Motoko, On the Prehistory of QWERTY, 2011
  • Winn L. Rosch, The Winn L. Rosch Hardware Bible(Que Publishing, 2003

쿼티字板을 쓰는국가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ttp://3.bp.blogspot.com/-VIUAAIkgPgE/TaRRE1XBl1I/AAAAAAAAABo/MiUEvJ2BMAw/s1600/typebar-basket.png .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2. Rosch, Winn L (2003). 《The Winn L. Rosch Hardware Bible》. Que Publishing. 120~121쪽.  
  3. Koichi, Yasuoka (2011年 3月). 《On the Prehistory of QWERTY》 . Kyoto University.  
  4. 104 키보드에서 한靈키 는 오른쪽 Alt , 漢字키 는 오른쪽 Ctrl 이며, 에서는 한영은 Command+ Space , 漢字는 Option + Enter 이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