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In My Life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In My Life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In My Life〉
비틀즈 의 노래
Rubber Soul 》의 收錄曲
發賣日 1965年 10月 3日
錄音 1965年 10月 18日과 22日에 런던 EMI 스튜디오 에서
장르
길이 2 : 28
레이블 팔로폰
作詞·作曲 레논-매카트니
프로듀서 조지 마틴

In My Life 〉는 비틀즈 의 1965年 音盤 《 Rubber Soul 》에 실려 發表된 曲이다. 레논-매카트니 의 名義로 크레디트되었다. 作詞는 존 레논 이 한 것이 明確하지만, 作曲에 關해서는 自身들의 寄與度(特히 멜로디)를 놓고 레논과 매카트니가 意見 不一致를 보였다. 조지 마틴 은 이 曲의 브리지에서 피아노 솔로로 貢獻했다. 2004年, 《 롤링 스톤 》의 "歷代 가장 偉大한 노래 500曲" 順位에서 23位, "비틀즈 最高의 노래 100曲" 順位에서 5位에 選定됐고, 2004年 《 캐나다 放送 혐回》 의 "50 트랙" 順位에서 2位에 選定됐다. [3] [4] 2000年 《 模造 》의 " 歷代 最高의 노래 " 順位에서는 1位에 選定됐다. [5]

背景 [ 編輯 ]

1996年 9月 5日 비틀즈 의 歷史를 集大成한 비디오 《 비틀즈 앤솔로지 》가 美國에서 첫 發賣되었다. 約 10時間 分量을 8篇으로 構成한 이 비디오는 4名의 出生부터 비틀즈 의 解散까지의 모든 過程을 다큐멘터리 式으로 엮어 내고 있다. 1940年 7月부터 1963年 3月까지의 비틀즈史를 收錄한 第 1篇에서는 비틀즈의 故鄕 리버풀을 背景으로 〈In My Life〉가 흘러나오며 始作을 알린다. [6]

이 曲의 노랫말을 지을 當時 존은 二十代 中盤이었다. 故鄕 리버풀 을 떠난 지 2年餘 程度 밖에 되지 않았지만 존은 줄곧 리버풀 에서 보낸 지난 時節을 그리워 했다. 존이 自身의 짧은 삶을 自傳的으로 描寫한 曲을 만들어보겠다는 마음을 갖게 된 데에는 밥 딜런 이나 저널리스트 케네스 올솝 같은 人物들이 影響을 미친 것도 事實이지만, 더욱더 크게 作用한 것은 當時 존이 겪고 있던 心情 葛藤이었다. 비틀즈 의 엄청난 成功에 比例해서 존의 心的 葛藤의 골은 더욱 깊어져 간 것이다. 비록 고통스럽고 힘에 겨웠던 時節이었지만 존은 지난 그 時節을 追憶하며 글을 썼다. [6]

作曲 [ 編輯 ]

이 曲을 쓰게 된 데에는 英國系 저널리스트 케네스 올섭 이 레넌에게 어릴 時節에 對한 이야기를 쓰라고 慫慂한 것에서 起源을 찾을 수 있다. [7] 그 以後 레논은 自身의 幼年期를 되살리는 기다란 詩의 形態로서 曲을 쓰게 되는데, 歌詞 草案은 레논이 리버풀 에 居住할 때 利用한 버스 루트의 길가에 자리한 各種 場所에 기초하고 있다. 레논은 自傳的인 曲을 만들기 위해서 지난 時節의 鄕愁가 느껴지는 追憶의 場所를 더듬어 보는 것도 나름대로 意味가 있다고 생각, 울튼구 멘러브가 251番地에서 버스를 타고 리버풀의 中心地로 가던 時節의 記憶을 떠 올리며 페니 레인, 스트로우베리 필드 , 毒커스 엄브렐러, 세인트 콜롬버스 敎會, 캘더스톤즈 公園, 더치 카페, 클락타워, 애비 시네마, 트램셰즈 等 追憶의 場所를 하나 둘 씩 적어보았다. [8] (이 家事 原稿는 大英博物館 에서 展示되고 있다.) [6]

그러나 특정한 場所를 지루할 程度로 羅列하는 것은 왠지 "休日의 버스 旅行'을 노래로 表現하는 것에 不過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自身이 追求하는 노래의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判斷을 내린 레논은 며칠 동안 새로운 노랫말을 쓰기 위해 애를 썼고, 單語를 고쳐가며 特定 場所와 더불어 自身의 過去 全般에 걸쳐 細細함을 더했다. [9] 最終 버전의 노래에서는 原本과 比較했을 때 "아주 少數의 歌詞"가 살아남아 있었다. [8] 레논의 親舊 兼 傳記 作家 피트 쇼튼 은 "一部 親舊는 죽었지만 一部는 살아있어요. 내 삶 全體에서 그들 모두를 사랑했어요." 句節이 스튜어트 섯클리프 와 自身을 指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7] [6]

이 曲의 作詞者는 레논이라는 것이 明確하다. 하지만, 作曲은 레논과 매카트니 中 누가 했는가에 對한 論爭이 끝나지 않은 狀態로 남아있다. 레논과 매카트니는 서로 다른 記憶을 갖고 있다.

레논은 1980年 9月 《플레이보이》와의 인터뷰에서 매카트니가 作曲의 一部를 도와주었다는 事實은 認定했지만, 自身의 作品이라는 主張은 變함이 없었다. [9] [10] [6] "제 人生에 對해 意識的으로 쓴 첫 番째 作品입니다. (노래한다) 'There are places I'll remember / all my life though some have changed...' 그 以前에 우린 에벌리 브라더즈 버디 홀리 의 노래처럼 別 意味가 없는 歌詞를 갖고 있는 노래들을 만들었습니다. 家事는 別로 相關이 없게 생각한거죠. 〈In My LIfe〉는 멘러브 距離에 있었던 우리집에서 學校까지 버스로 다니던 通學길을 떠올리며 만든 노래입니다. 기억나는 모든 場所들을 歌詞에다 全部 집어넣었어요. 그런데 좀 歌詞가 지루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그 歌詞들은 잊기로 하고 마음을 좀 가라앉히니까 옛날 제가 사랑했던 이들과 親舊들에 關한 歌詞가 떠올랐습니다. 폴이 미들 에이트 에서 도와주었지요. 제 人生에서 가장 重要한 事件이었습니다. 意識的으로 제 自身의 文學的 部分을 歌詞에 넣은 첫 番째 事件이었죠." [11]

하지만, 레논이 1980年 世上을 떠난 後 매카트니는 1984年 12月 《플레이보이》와의 인터뷰에서 〈In My Life〉의 作曲者는 自身이었다는 새로운 主張을 했다. "제가 멜로디를 붙였습니다. 그 노래에 對해서 若干 論爭이 있는데, 존은 제가 作曲한 事實을 잊어버렸거나 잘 못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는 마치 詩人처럼 歌詞를 써 가지고 들고 왔죠. 존의 얼굴 表情이 생각나네요. 30分 間 자리를 떠나 그가 갖고 있던 멜로트론으로 한 時間 半 동안 앉아서 作曲을 했었던 것을 記憶합니다. 아마도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의 노래 멜로디에서 靈感을 얻었던 것 같습니다." [12] [13] [14] [6]

錄音 [ 編輯 ]

이 曲은 1965年 10月 18日 錄音되었다. 當日 브리지의 器樂 部分만 除外하고 全部 錄音되었다. [15] 이때, 레논은 브리지에 어떤 器樂을 使用할지 決定을 내리지 못했지만, 以後 조지 마틴 에게 피아노 솔로를 연주할 것을 要請하며, " 바로크 式 音調" 式으로 해 줄 것을 付託했다. [1] 마틴은 바흐 에 影響받은 作品을 作成했지만 노래의 拍子에 맞춰 연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0月 22日, 테이프가 反速度로 돌아가는 渦中에 솔로를 錄音했고, 이 때문에 頂上 速度로 再生했을 때 피아노는 두 倍假量 速度와 옥타브가 上昇했다. 이것으로 難關이 解決되었으며 同時에 솔로에 하프시코드 를 연상시키는 獨特한 音色을 附與했다. [8] [15]

커버 [ 編輯 ]

參與 人員 [ 編輯 ]

易言 맥도널드 에 依함 [16]
備考
  1. 맥도널드는 스타가 實際 벨을 연주한 것인지 의심스러워 한다.

各州 [ 編輯 ]

  1. Hertsgaard, Mark (1996). 《A Day in the Life: The Music and Artistry of the Beatles》. New York: Delacorte Press. 156쪽. ISBN   0-385-31517-1 .  
  2. Doyle Greene (2014年 3月 10日). 《The Rock Cover Song: Culture, History, Politics》 . McFarland. 161?쪽. ISBN   978-1-4766-1507-3 .  
  3. “The Rolling Stone 100 Greatest Beatles Songs” . 《Rolling Stone》. August 2010. 2010年 8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8月 30日에 確認함 .  
  4. “5. In My Life” . 《100 Greatest Beatles Songs》. Rolling Stone. 2013年 6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5月 21日에 確認함 .  
  5. “Mojo lists” . Rocklistmusic . 2017年 4月 21日에 確認함 .  
  6. 한경식 (2001年). 《The Beatles Collection 385~386p》. 親舊 미디어.  
  7. Everett, Walter (2001). 《The Beatles as Musicians: The Quarrymen Through Rubber Soul》 . Oxford: Oxford Press. 319 쪽. ISBN   0-19-514105-9 .  
  8. Spitz, Bob (2005). 《The Beatles: The Biography》 .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 587 ?91쪽. ISBN   1-84513-160-6 .  
  9. Sheff, David (2000). 《All We Are Saying》 . New York: St. Martin's Press. 152 , 178쪽. ISBN   0-312-25464-4 .  
  10. The section to which Lennon referred is unclear, as the song does not contain a recognisable middle-eight aside from a brief instrumental break (the melody for which is attributed to producer George Martin ).
  11. Sheehan, Ivan (2015年 12月 3日). “Finding John Lennon's "first real major piece of work " . 《Rock and Roll Hall of Fame》. 2016年 1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12. Gambaccini, Paul, 編輯. (1976). 《Paul McCartney in His Own Words》 . New York: Flash. 19 쪽. ISBN   0-8256-3910-7 .  
  13. Miles, Barry (1997). 《 Paul McCartney: Many Years from Now 》. New York: Macmillan . 277 쪽. ISBN   0-7493-8658-4 .  
  14. Compton, Todd (2017). 《Who Wrote the Beatle Songs? A History of Lennon-McCartney》. San Jose: Pahreah Press. 130-132쪽. ISBN   978-0-9988997-0-1 .  
  15. Lewisohn, Mark (1988). 《The Beatles Recording Sessions》 . New York: Harmony Books. 64 ?5쪽. ISBN   0-517-57066-1 .  
  16. MacDonald, Ian (2005). 《Revolution in the Head: The Beatles' Records and the Sixties》 Seco Revis版. London: Pimlico (Rand). 169쪽. ISBN   1-84413-828-3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