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6dF 銀河 探査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6dF 銀河 探査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6dF 銀河 探査 (Six-degree Field Galaxy Survey) 또는 6dF, 6dFGS는 2001年에서 2009年 사이에 AAO( 앵글로-오스트렐리我 天文臺 )에 있는 구경 1.2m 英國 슈미트 望遠鏡 으로 遂行한 赤色편이 探査이다.

이 探査에 依한 데이터는 2009年 3月 31日에 公開되었는데, [1] 이 探査에서는 天球의 거의 折半에 걸쳐 가까운 宇宙 를 매핑했다. 136,304個의 스펙트럼에 依하여 110,256個의 새로운 外部銀河 赤色편이와 125,071個 銀河의 새로운 카탈로그를 生成하였다. 6dF에 依한 下位 샘플에 對한 特異 速度 探査에서는 局所 宇宙의 質量 分布와 벌크 運動을 測定하고 있다.

이 探査는 2009年 7月 現在 슬론 디지털 全天 探査 (SDSS)와 2dF 銀河 赤色편이 探査 (2dFGRS)에 이은, 세 番째 大規模의 赤色편이 探査이다.

說明 [ 編輯 ]

6dF 探査에서는 南쪽 天球의 17,000坪方道를 커버하였는데, [2] 이는 2dFGRS 探査에서 調査한 領域의 領域의 約 10倍이고, 슬론 디지털 全天 探査 에서의 分光 領域 커버리지의 2倍 以上이다. [3] 모든 赤色편이와 스펙트럼은 에든버러 王立 天文臺 에서 호스팅하고 있는 6dFGS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를 통하여 使用할 수 있으며, 온라인 6dFGS 아틀라스 케이프타운 大學校 를 통해 提供하고 있다.

6dF 探査는 濠洲 뉴사우스웨일즈의 사이딩 스프링 天文臺 에 있는 1.2미터 英國 슈미트 望遠鏡 으로 遂行되었는데, 이 6dF 裝備로는 特定 方向에서 6度의 視野를 觀察할 수 있으며, 필드 플레이트當 150個의 光纖維 가 있는 多重天體 光纖維 分光器를 保有하고 있다.

從前의 赤色편이 特異 速度 調査와 比較되는 6dF Galaxy Survey의 特徵 中 하나는 近赤外線 소스를 選擇한 것이다. 主된 探査 對象 카탈로그는 2 마이크론 全天 探査 카달로그에서 選擇된다. [4] 이러한 探査 領域代에서 銀河를 選擇하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利點이 있다.

  • 銀河의 近赤外線 分光 에너지 分布는 가장 오래된 恒星 集團의 빛, 卽 恒星 質量의 大部分에 依해 支配된다. 傳統的으로 探査에서는 더 젊고 더 푸른 별이 支配하는 銀河系에서 對象 銀河를 選擇했다.
  • 먼지에 依한 消滅 效果는 長波長에서 더 작다. 標的 銀河의 境遇, 이것은 全體 近赤外線 光度가 銀河 方向에 依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銀河 質量의 信賴할 수 있는 測定을 提供한다. 게다가 이것은 6dF가 光學 選擇을 통해 可能한 것보다 銀河水 平面에 더 가까운 地域 宇宙를 매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리온 音響 振動의 感知 [ 編輯 ]

6dF 探査는 바리온 音響 振動 (BAO) 信號를 感知할 수 있을 만큼 充分히 大型인 몇 안 되는 探査 中의 하나이다. 6dF의 낮은 赤色 便이는 거리 사다리 技術 과 競爭할 수 있는 不確實性으로 허블 常數 H 0 를 誘導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그 結果는 Beutler et al. (2011)에 報告되었는데, [5] H 0 = 67 ± 3.2 km/s/MPC이다.

特異 速度의 探査 [ 編輯 ]

銀河의 赤色편이에는 宇宙 膨脹으로 인한 後退 速度 ( 허블의 法則 參照)와 銀河 自體의 特異 速度 가 包含되어 있다. 따라서 赤色편이 調査만으로는 銀河에 對한 正確한 3次元 分布를 提供할 수 없다. 그러나 두個의 構成 要素를 따로 測定하면 銀河의 特異 速度를 調査할 수 있다. 6dF 測量에서 거리의 推定은 初期 類型 銀河의 基本 平面 을 基盤으로 한다. [6] 이를 爲해서는 赤色편이를 決定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銀河의 內部 速度 分散을 測定해야 한다. 이로써 特異 速度 調査에 利用할 수 있는 銀河의 數는 全體 6dF 銀河의 約 10%로 制限된다. 마지막으로 特異 速度는 赤色편이와 評價되는 距離 사이의 差異 값으로 求할 수 있다.

各州 [ 編輯 ]

  1. The 6dF Galaxy Survey DR3, Heath Jones et al., (2009)
  2. 2dFGRS; Colless et al. 2001
  3. SDSS DR7; Abazajian et al. 2009
  4. 2MASS; Jarrett et al. 2000
  5. Beutler et al. 2011
  6. FP; Dressler et al. 1987, Djorgovski & Davis 1987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