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005年 니아스-時멀루에이 地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2005年 니아스-時멀루에이 地震

2005年 니아스-時멀루에이 地震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은(는) 수마트라섬 안에 위치해 있다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本陣
UTC  時刻 2005-03-28 16:09:36
ISC  地震番號 7486110
USGS- ANSS ComCat
現地일 2005年 3月 28日
現地時間 23:09
規模    모멘트 規模 8.6 [1]
最大 珍島    修正 메르칼리 珍島 階級 珍島 VIII : 수마트라섬 [2]
震源 깊이 30 [1] km
震央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西部 니아스섬 - 時멀루에이섬 隣近 海域
北緯 2° 05′ 東京 97° 09′  /  北緯 2.09° 東京 97.15°  / 2.09; 97.15
被害
地震海溢 時멀루에이섬 最大 3.0 m 쓰나미
死傷者 915-1,314名 死亡, 340-1,146名 浮上 [3]

2005年 니아스-時멀루에이 地震 은 2005年 3月 28日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西北部 海岸에서 發生한 地震 이다. 니아스섬 을 中心으로 914名이 死亡하는 被害가 發生했다. 2004年 12月 26日 發生했던 2004年 印度洋 地震海溢 로 發生한 巨大한 쓰나미 로 이미 큰 被害를 입었던 地域에 發生한 地震으로 2005年 地震으로 恐慌 狀態에 빠졌지만 比較的 작은 規模의 쓰나미가 發生하여 被害 規模는 더 작았다. 인도네시아에서 1965年 以後 發生한 地震 中 3番째로 規模가 큰 地震이다.

이番 本陣은 16:09:37 UTC (現地時刻 23:09:37)에 發生했다. 震源 印度洋 海域 아래 30 km 깊이 地點으로 印度-오스트레일리아版 유라시아版 의 순다 境界地域으로 西南쪽으로 攝入하는 攝入臺 에서 發生한 地震이다. 震源은 수마트라섬 시볼가 에서 西쪽으로 200 km, 자카르타 에서 西北쪽으로 1,400 km 떨어진 곳으로 니아스섬 時멀루에이섬 사이 中間 地點에 있다. 地震計 記錄에 따르면 地震의 모멘트 規模 는 M w 8.6이며, 震源에서 約 1,000 km 떨어진 泰國 방콕 에서도 地震의 흔들림이 느껴졌다. [4]

地震과 被害 [ 編輯 ]

자바 海溝 와 1833年, 1861年, 2004年, 2005年 地震의 震源 및 單層 破裂 地域을 그린 地圖.

地震은 約 2分間 繼續되었다. 地震 發生 直後 24時間동안 規模 M5.5에서 M6.0 사이의 餘震이 總 8次例 發生했다. 震央地는 2004年 印度洋 地震의 震央과 近接했지만 순다 메가스러스트 의 서로 다른 部分이 破裂된 서로 다른 地震이며, 以前에 發生했던 地震과 關聯된 應力 變化로 發生한 誘發地震 으로 推定된다. [5]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沿岸의 니아스섬에서는 地震으로 數百채의 建物이 破壞되었다. 니아스섬의 死亡者數는 最小 1千名 以上이며, 니아스섬에서 가장 큰 마을인 구눙시톨리 에서만 220名이 死亡했다. 구눙시톨리의 人口 27,000名 中 折半 以上이 避難을 떠났다.

이 地震은 수마트라섬 全域에서 剛하게 느껴졌으며, 2004年 12月 쓰나미로 이미 큰 被害를 입었던 인도네시아의 반다아체 에서 廣範圍한 停電이 일어났고 數千名이 집을 떠나 高地帶로 避難을 갔다. 泰國과 말레이시아 西海岸에서도 地震이 强하게 느겨졌으며, 쿠알라룸푸르 에서는 高層建物에서 待避令이 내려졌다. 몰디브 , 印度 , 스리랑카 에서도 弱한 地震이 느껴졌다.

쓰나미 [ 編輯 ]

이 地震으로 印度洋 周邊에서는 3個月 前에 일어났던 2004年 印度洋 地震海溢에서 發生한 大規模 쓰나미와 類似한 規模의 쓰나미가 發生할 수 있다는 憂慮가 커졌다. 泰國,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海岸 地域에서는 待避令이 내려졌다. 하지만 2005年의 地震은 比較的 小規模의 쓰나미만 일으켰다. 時멀루에이섬에는 約 3 m 높이의 쓰나미가 港口와 空港 施設에 被害를 입혔고, 니아스섬 西海岸에는 約 2 m 높이의 쓰나미가 記錄되었다. 印度洋 全域에서는 險阻腸 에서만 記錄할 수 있는 매우 작은 水準의 微微한 쓰나미만 記錄되었는데 例를 들어 스리랑카의 콜롬보 에서는 25 cm의 쓰나미가 記錄되었다.

美國 海洋大氣廳 (NOAA)이 運營하는 太平洋 地震海溢 警報 센터 와 泰國 政府는 쓰나미 警報를 發令했다. 初期에는 特히 쓰나미 震源의 南部로 移動하는 大型 쓰나미가 發生할 수 있다는 憂慮가 있었다.

泰國 南海岸의 一部 地域에서는 待避令이 發令되었고, NOAA는 수마트라 海岸線 約 965 km 길이 地域에 待避를 勸告했다. 말레이시아 北部의 被囊週 크다주 , 스리랑카 東海岸에서도 待避令이 發令되었으며 스리랑카에서는 待避 途中 混亂으로 10名이 死亡했다. 2004年 쓰나미로 큰 被害를 입었던 印度 南部의 여러 州에서도 警戒令이 내려졌다. 오스트레일리아 코코스 制度 에서 30 cm의 쓰나미가 發生하는 等 震央地 南쪽에서 弱한 쓰나미가 感知되자 印度洋의 섬나라인 모리셔스 , 마다가스카르 , 세이셸 住民에게도 警戒令을 發令했다. 2004年 12月 地震 以前부터 印度洋 地域의 쓰나미 警告 體系 에 對한 論議는 있었으나 印度洋에서는 그 體系가 제대로 構築되지 않았다.

人道主義的 支援 [ 編輯 ]

救護 活動을 위해 니아스섬에 設置된 衛星 電話 의 通信 連結을 點檢하는 모습.

유엔 은 인도네시아 政府와 協力하여 康津 以後 發生할 수 있는 災難을 막기 爲한 追加 措置를 取했다. 美國 國務部 도 쓰나미의 被害를 입은 國家를 支援하겠다고 發表했다. 印度 政府는 地震 被害者를 위해 200萬 달러를 支援하겠다고 發表했다. [6]

오스트레일리아 政府는 100萬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의 緊急 援助를 提供하겠다고 發表했으며 인도네시아 政府의 要請에 따라 니아스섬에 오스트레일리아 防衛軍 의 醫療陣과 裝備를 派遣했다. 이런 軍事 援助 作戰을 수마트라 어시스트 作戰 2期 作戰이라 한다. 아체 地域을 떠난지 얼마 되지 않은 오스트레일리아 海軍 所屬 HMAS 커님블러 싱가포르 에서 地震 被害 地域으로 再派遣되었다. 2005年 4月 2日에는 午前 9時 30分 頃 커님블러에서 離陸한 웨스틀랜드 市 킹 헬리콥터 2期 中 1基인 '샤크02'가 醫療陣을 마을로 移送하던 途中 니아스섬에서 墜落하는 事故 가 發生했다. 이 事故로 9名이 死亡하고 2名이 負傷을 입었지만 生存者는 다른 헬기를 통해 救助되어 移送되었다. [7] [8] 이 事故는 인도네시아의 大統領 繡실로 밤房 誘導요노 가 오스트레일리아를 國賓 訪問 하기 하루 前에 發生했으며, 柔道요노 大統領과 오스트레일리아의 總理 존 하워드 는 兩國의 損失에 對해 서로 哀悼를 표했다. 美國은 100病床 規模의 病院船人 USNS 메르시 를 니아스섬 隣近에 配置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ISC (2016),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12)》 , Version 3.0,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 USGS. “M 8.6 - northern Sumatra, Indonesia” . 美國 地質調査局 .  
  3. USGS (2009年 9月 4日), 《PAGER-CAT Earthquake Catalog》 , Version 2008_06.1, 美國 地質調査局  
  4. “Southern Thailand evacuated after Indonesian earthquake” . 2005年 4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5年 3月 28日에 確認함 .  
  5. USGS (2010年 7月 22日).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 2011年 5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6月 26日에 確認함 .  
  6. “India announces $2 mn relief for Indonesia” . 《The Times Of India》. 2005年 3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5年 3月 29日에 確認함 .  
  7. “Navy Helicopter Crashes in Indonesia, Nine Personnel Presumed Dead” . Australian Department of Defence . 2005年 4月 3日 . 2006年 5月 27日에 確認함 .  
  8. “Nine Australians die in Nias chopper crash” . ABC News Online . 2005年 4月 3日 . 2006年 5月 27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

  • Boen, T. (2006), “Structural Damage in the March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Earthquake Spectra》 22 (3_suppl): 419?434, doi : 10.1193/1.2208147 , ISSN   8755-2930 , S2CID   110811743  
  • Borrero, J. C.; McAdoo, B.; Jaffe, B.; Dengler, L.; Gelfenbaum, G.; Higman, B.; Hidayat, R.; Moore, A.; Kongko, W.; Peters, R.; Prasetya, G.; Titov, V.; Yulianto, E. (2010年 11月 12日), “Field Survey of the March 28,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and Tsunami”,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68 (6?7): 1075?1088, doi : 10.1007/s00024-010-0218-6 , ISSN   0033-4553 , S2CID   129831201  
  • Walker, K. T.; Ishii, M.; Shearer, P. M. (2005), “Rupture details of the 28 March 2005 Sumatra Mw8.6 earthquake imaged with teleseismic Pwaves ”,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2 (24): L24303, Bibcode : 2005GeoRL..3224303W , doi : 10.1029/2005GL024395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