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1999年 이즈미트 地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1999年 이즈미트 地震

1999年 이즈미트 地震
8月 17日, 이즈미트 地震 以後 構造活動을 펼치고 있는 大韓民國 中央119構造本部 隊員의 모습.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는) 튀르키예 안에 위치해 있다
1999년 이즈미트 지진
本陣
UTC  時刻 1999-08-17 00:01:38
ISC  地震番號 1655218
USGS- ANSS ComCat
現地일 1999年 8月 17日
現地時間 午前 3時 1分
持續時間 37秒 [1]
規模    모멘트 規模 7.6 [2] [3]
表面波 規模 M S 7.8 [4]
最大 珍島    修正 메르칼리 珍島 階級 珍島 X : [5]
最大地盤加速度 0.45 g [6]
震源 깊이 15 [2] km
震央 튀르키예 코子엘리株 데린제 東南東쪽 9 km 地點
北緯 40° 44′ 53″ 東京 29° 51′ 50″  /  北緯 40.748° 東京 29.864°  / 40.748; 29.864
種類 走向移動單層型 地震 [1]
被害
被害 地域 튀르키예
被害額 30-85億 달러 [3]
地震海溢 最大 2.5 m 쓰나미 觀測 [3]
死傷者 17,127?18,373名 死亡 [7]
43,953?48,901名 浮上 [7] [8]
5,840名 失踪 [8]

1999年 이즈미트 地震 은( 튀르키예어 : 1999 ?zmit depremi ) 1999年 8月 17日 튀르키예 北西部 이즈미트 地方에서 發生한 모멘트 規模 7.6의 地震이다. 15,000餘 名이 숨지고 25,000餘 名이 부상당했다. 이 康津은 1980年代 以來 이란 · 아르메니아 · 아프가니스탄 等으로 이어지는 地域에서 發生한 地震 大慘事 가운데 하나가 됐다. 튀르키예를 비롯한 이들 地域은 北쪽으로 밀고 올라오는 아프리카 판 , 아라비아 판 과 南쪽으로 내려오는 유라시아 板 이 만나는 곳에 끼여 있어 地質學的으로 不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地質學者 들의 分析이다. 튀르키예는 이들 세 암판이 衝突할 때마다 東西로 가로지른 斷層帶 를 따라 西쪽의 에게海 方向으로 밀려난다. 에게海의 地盤이 東쪽에 比해 相對的으로 낮고 弱하기 때문이다. 튀르키예에서는 歷史的으로 이러한 地殼運動이 北아나톨리아 斷層과 東部 아나톨리아 單層 사이에서 끊임없이 發生해 왔다.

1998年 리히터 規模 6.8의 地震으로 144名이 숨졌던 아다나度 東部 아나톨리아 斷層帶에 位置해 있었고 이番 地震의 震源地인 이즈미트는 北部 아나톨리아 單層 에 자리잡고 있다. 튀르키예의 地質學者들은 1992年 硏究報告書를 통해 2020年 까지 튀르키예 全域을 强打할 地震이 發生할 確率이 12%라고 豫測한 바 있다. 하지만 地震 專門家들은 犧牲者가 많은 原因 가운데 하나로 튀르키예 建築物의 安全度가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經濟難을 겪고 있는 튀르키예는 이 地震으로 더욱 困境에 빠지게 됐다.

튀르키예는 1995年 부터 4年間 6%臺의 높은 經濟成長率을 보였으나 1999年 1/4分期에는 成長率이 -8.5%로 급전직하했다. 게다가 이 地震의 最大 被害地域인 이즈미트는 自動車 와 精油 工場이 密集해 있는 튀르키예 經濟의 心臟部에 該當하는 곳이다. 한便 튀르키예에서 獨立을 推進하고 있는 쿠르드 勞動者黨 (PKK)은 震央地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收監돼 있는 自身들의 指導者 압둘라 외잘란 의 安全에 關한 情報를 提供해 줄 것을 튀르키예 政府에 要請했다. 黨 指導部는 이와 함께 黨員들에게 地震 被害者들을 돕기 위한 모든 活動에 나설 것을 促求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arka, A. (1999). “The 17 August 1999 Izmit Earthquake” . 《Science》 285 (5435): 1858?1859. doi : 10.1126/science.285.5435.1858 . S2CID   129752499 .  
  2. ISC (2014),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09)》 , Version 1.05,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3. USGS (2009年 9月 4日), 《PAGER-CAT Earthquake Catalog》 , Version 2008_06.1,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 “Kandilli Observatory and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 2023年 3月 1日에 確認함 .  
  5.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1972).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Data Set).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NOAA . doi : 10.7289/V5TD9V7K .  
  6. Barka, A. (2002). “The Surface Rupture and Slip Distribution of the 17 August 1999 Izmit Earthquake (M 7.4), North Anatolian Fault” .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2 (1): 376?386. Bibcode : 2002BuSSA..92...43B . doi : 10.1785/0120000841 .  
  7. Marza, Vasile I. (2004). “On the death toll of the 1999 Izmit (Turkey) major earthquake” (PDF) . ESC General Assembly Papers, Potsdam: European Seismological Commission. 2008年 4月 9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3月 5日에 確認함 .  
  8. “17 A?ustos Depremi: 1999 ve sonrasında neler ya?andı, kac ki?i hayatını kaybetti?” [17 August Earthquake: What happened in 1999 and after, how many people lost their lives?] (튀르키예어). BBC News. 2019年 8月 12日 . 2022年 10月 15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

위키미디어 公用에 1999年 이즈미트 地震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