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1822年 알레포 地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1822年 알레포 地震

1822年 알레포 地震
1822년 알레포 지진은(는) 시리아 안에 위치해 있다
1822년 알레포 지진
本陣
現地일 1822年 8月 13日
現地時間 21時 50分 [2]
持續時間 約 40秒 [1]
規模    表面波 規模 7.0 [2]
最大 珍島    유럽 廣帶域 珍島 階級 珍島 IX
震源 깊이 18 [2] km
震央 시리아 알레포 近方 [2]
北緯 36° 06′ 東京 36° 45′  /  北緯 36.10° 東京 36.75°  / 36.10; 36.75
震源 單層 性시메온 單層 [3]
種類 走向移動單層 兄 地震 [3]
被害
被害 地域 튀르키예 및 시리아 地域
地震海溢 쓰나미 觀測됨
死傷者 2萬-6萬名 死亡 [1]

1822年 알레포 地震 은 1822年 8月 13日 오스만 帝國 의 北部 地域(現 튀르키예 하타이주 및 시리아 北西部)에서 發生한 地震 이다. 地震의 推定 規模는 表面波 規模 基準 M s 7.0이며, 最大進度는 유럽 廣帶域 珍島 階級 基準 最大進度 IX를 記錄했다. 또한 地震으로 쓰나미 도 發生한 것으로 推定되어 震央 隣近 海岸地域이 影響을 받았다. 餘震 은 2年間 이어졌으며, 1822年 9月 5日에 가장 큰 規模의 餘震이 發生했다. 이 地震은 로도스섬 , 키프로스 , 가자 를 包含한 中東 넓은 地域에 振動이 느껴졌다. 이 本陣과 餘震 全體로 發生한 總 死亡者數는 普通 3萬名에서 6萬名 사이로 言及되지만 硏究에 따르면 現實的으로 2萬名 程度가 가장 높게 言及된다. [1]

地質學的 背景 [ 編輯 ]

알레포 아라비아판 아프리카版 에 비해 年間 約 5 mm씩 北쪽으로 移動하는 死海 變換斷層 과 關聯된 斷層帶와 매우 붙어있다. [4] 變換斷層代의 北쪽 끄트머리 分節은 115年 안티오키아 地震 , 859年 시리아 海岸 地震 , 1138年 알레포 地震 , 1170年 시리아 地震 等 數 次例 大地震이 發生했다. [5]

地震 [ 編輯 ]

1822年 地震은 8月 5日부터 始作된 一連의 前震 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마지막으로 일어난 큰 前震은 8月 13日 本陣 30分 前에 일어났다. 本陣은 40初동안 持續되었으며 强度는 세 次例에 걸쳐 剛하게 흔들렸다. 처음 8分 동안 30餘次例의 餘震이 觀測되었다. 餘震은 거의 2年 半 동안 持續되었으며, 그 中 가장 큰 被害를 준 餘震은 1855年 9月 5日에 일어났다. [1] 本震의 흔들림은 매우 넓은 地域에서 유럽 廣帶域 珍島 階級 (EMS) 基準 VII 以上의 흔들림을 느꼈으며, 지스르앗슈구르 쿠사이르 에서는 最大 珍島 IX를 느꼈다.

그리스의 地震學者人 니콜라오스 癌브라지스 는 이 地震과 關聯된 쓰나미 에 對한 直接的인 證據를 찾지 못했다. [1] 하지만 한 硏究에 따르면 레바논 海岸, 알렉센드레打만 , 키프로스 海岸에 쓰나미가 觀測되었다고 報告했다. [6]

이 地震은 死海 變換斷層 의 一部인 마시프 斷層에서 分岐되는 140 km 길이의 姓시메온 單層의 座首鄕 走向移動單層 兄 運動으로 發生했다고 推定된다. [3]

被害 [ 編輯 ]

地震으로 現代 튀르키예 가지案테프 에서 안타키아 까지, 現代 시리아의 알레포 에서부터 칸샤이쿤 사이 넓은 地域에 被害가 發生했다. [2] 最北端의 被害 地域에서는 킬리스 , 가지案테프, 阿羅플라르 , 부르치 , 케흐리즈 , 死體 마을이 거의 完全히 破壞되었다. 그 南쪽에는 아르마나즈 , 하렘 , 다르쿠시 , 지스르앗슈구르, 쿠사이르, 아리하 , 이들리브 , 마아렛누만 도 비슷한 被害를 입었다. [1]

影響 [ 編輯 ]

알레포의 地震 被害가 너무 甚해 많은 사람들이 都市 밖으로 移住했고 舊市街地 大部分은 整備되지 않은 채로 放置되었으며 一部 새로 지어진 집은 廢墟가 된 城壁 밖에 木造를 틀로 잡아 建築했다. 性 垓子는 損傷된 建物의 殘骸로 가득찼다. 이 地震으로 以前까지 시리아 地域 商業 中心地였던 알레포가 밀려나게 되었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mbraseys, N.N. (1989). “Temporary seismic quiescence: SE Turkey” .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96 (2): 311?331. Bibcode : 1989GeoJI..96..311A . doi : 10.1111/j.1365-246X.1989.tb04453.x .  
  2. Sbeinati, M.R.; Darawcheh, R.; Mouty, M. (2005). “The historical earthquakes of Syria: an analysis of large and moderate earthquakes from 1365 B.C. to 1900 A.D.” (PDF) . 《Annals of Geophysics》 48 (3): 347?435 . 2011年 9月 22日에 確認함 .  
  3. Darawcheh, R.; Abdul-wahed, M.K.; Hasan, A. (2019). 〈The 13th-August-1822 Aleppo Earthquake: Implications for the Seismic Hazard Assessment at the Antakia Triple Junction〉. Sundararajan, N.; Eshagh, N.; Meghraoui, M.; Al-Garni, M.; Giroux, B. 《On Significant Applications of Geophysical Methods. CAJG 2018. Advances in Science, Technology & Innovation (IEREK Interdisciplinary Ser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pringer. doi : 10.1007/978-3-030-01656-2_40 . ISBN   978-3-030-01656-2 . S2CID   135271551 .  
  4. Gomez, F., Karam, G., Khawlie, M., McClusky S., Vernant P., Reilinger R., Jaafar R., Tabet C., Khair K., and Barazangi M. (2007). “Global Positioning System measurements of strain accumulation and slip transfer through the restraining bend along the Dead Sea fault system in Lebanon”.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68 (3): 1021?1028. Bibcode : 2007GeoJI.168.1021G . doi : 10.1111/j.1365-246X.2006.03328.x .  
  5. Khair, K.; Karakaisis, G.F.; Papadimitriou, E.E. (2000). “Seismic zonation of the Dead Sea Transform Fault area” . 《Annals of Geophysics》 43 : 61?79. doi : 10.4401/ag-3620 .  
  6.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1972). “Tsunami Event Information” .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NCEI/WDS Global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doi : 10.7289/V5TD9V7K . 2021年 11月 14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