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181番街驛 (IND 8番路線)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181番街驛 (IND 8番路線)

181番街
181 Street
  "A" 열차
뉴욕 地下鐵 驛 ( 都市 鐵道 )
南쪽에서 본 乘降場
槪括
住所 West 181st Street & Fort Washington Avenue
New York, NY 10033
맨해튼
所在地 허드슨하이츠 , 워싱턴하이츠
座標 北緯 40° 51′ 06″ 書經 73° 56′ 17″  /  北緯 40.8517° 書經 73.9380°  / 40.8517; -73.9380
디비전 B ( IND )
路線 IND 8番路線
運行 系統        A   all times (all times)
其他 連結交通 버스 NYCT 버스 : Bx3 , Bx7 , Bx11 , Bx13 , Bx35 , Bx36 , M4 , M98 , M100
버스 버스 스테이션
救助 地下
乘降場 2 相對式 乘降場
線路 2
其他 情報
開業일 1932年 9月 10日 (91年 前) ( 1932-09-10 ) [1]
驛 코드 146 [3]
接近性 대합실은 1990년 미국 장애인법을 준수하지만 승강장은 이를 준수하지 않는다. 障礙人 接近 (待合室에만 可能); accessibility to platforms planned
無線通信 支援 이 역에서는 Wi-Fi 및 휴대폰 접속이 가능하다.[4]
OMNY 支援 No
區域名/다른이름 181番街-포트 워싱턴 애비뉴
(181st Street?Fort Washington Avenue) [2]
기타 出口 포트 워싱턴 애비뉴 & 184番街, 오버룩 테라스 & 184番街, 포트 워싱턴 애비뉴의 東部
移用量
利用客 數 NA
順位 424個 中 NA위
隣接驛
北行 190番街 : A   all times
南行 175番街 : A   all times
틀:뉴욕 地下鐵驛 情報/凡例

181番街 地下鐵驛 (IND)
181st Street Subway Station (IND)
複合資産 : New York City Subway System MPS
NRHP登錄番號: 05000233 [5]
NRHP 指定日: 2005年 3月 30日

181番街 (181st Street)驛은 뉴욕 地下鐵 IND 8番路線 의 驛이다. 포트 워싱턴 애비뉴 아래에 位置해 있으며, 워싱턴 하이츠 隣近의 허드슨 하이츠 區域은 181番街 와 184番街 사이에 있다. 이 驛에는 前時間 A 列車가 運行한다. 181番街-포트 워싱턴 애비뉴 (181st Street?Fort Washington Avenue)驛으로도 불렀다.

181番可逆은 1932年에 開業했으며, 2個의 線路와 2個의 相對式 乘降場 을 가지고 있다. 맨해튼에서 가장 높은 自然 地點인 베넷 公園 近處에 位置해 있다. 이 驛에는 포트 워싱턴 애비뉴로 가는 出口가 두 個 있는데, 하나는 181番街에 있고 다른 하나는 베넷 파크 건너便에 있다. 세 番째 出口는 언덕 아래에 있는 184番街와 오버뷰 테라스에 있다. 엘리베이터는 베넷 公園과 오버뷰 테라스 入口를 連結한다. 이 驛은 美國 國立史跡地 에 登載되어 있다.

驛 救助 [ 編輯 ]

G 거리層 出口
틀:NYCS Platform Layout access
M 待合室 運賃 區域, 驛務員 부스, 181番街 에스컬레이터, 오버룩 테라스(Overlook Terrace)行 터널, 베넷 파크(Bennett Park)行 엘리베이터
P
乘降場
相對式 乘降場
北行 "A" 열차 人우드-207番街 方面 ( 190番街 )
南行 "A" 열차 파 落어웨이-모트 애비뉴 , 오존 파크-레퍼츠 블러바드 또는 落어웨이 파크-비치 116番街 方面 ( 175番街 )
相對式 乘降場
모자이크 驛名板
待合室, 南向

2面 2選의 相對式 乘降場 構造를 갖춘 地下驛이다. [6] 驛의 乘降場 길이는 660 피트 (200 m)로 인디펜던트 서브웨이 시스템 에 依해 建設된 驛 乘降場의 典型的인 길이이며, 役을 包含하는 穹窿은 幅이 50 피트 (15 m)이다. 乘降場 1層에는 單一 圓筒形 穹窿 天障이 하나 있다. [5] :3

乘降場의 外壁은 타일 壁龕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아치 안에 若干 움푹 패여 있다. [5] :4 驛의 타일은 乘客들이 役을 더 쉽게 識別할 수 있도록 赤褐色로 漆해져 있으며, 인디팬던트 서브웨이 시스템 全體를 위한 色相 區分 타일 시스템의 一部이다. [7] [8] 數字 "181"을 가진 작은 밤色, 검은色, 흰色 모자이크들이 壁龕의 一部에 位置해 있다. "181" 모자이크가 들어 있지 않은 壁龕 안에는 "181"이라고 쓰인 흰色 數字의 검은 타일이 있다. 上行線 乘降場에는 例示바 大學校 의 黑白 標識板이 있다. [5] :4

乘降場 위에는 驛 全體 길이의 中央홀이 位置해 있으며, 鋼鐵 "Y"자 模樣의 버팀대로 시멘트 圓筒形 穹窿 天障에서 支持된다. 이 中央홀은 各各 役의 北쪽과 南쪽 끝 待合室을 連結하고 各 乘降場에 4個의 鋼鐵 및 콘크리트 階段이 있다. [5] :4 中央홀을 따라 鐵製 欄干이 設置되어 있어 乘降場을 볼 수 있다. [9] [10] [11] 南部 待合室에는 驛務員 부스와 倉庫가 있다. [5] :5

出口 [ 編輯 ]

181番街役에는 세 個의 出口가 있다. 그 中 두 個는 포트 워싱턴 애비뉴를 따라 언덕 꼭대기에 位置해 있다. 하나는 베넷 파크 건너便의 서183번가와 185番街 사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181番街에 있다. 세 番째는 오버뷰 애비뉴와 184番街에 있으며, 언덕 아래에 位置해 있다. [12] 181番可逆의 出口는 都市의 다른 두 地下鐵 運營者인 인터補로 래피드 트랜짓 컴퍼니 브루클린-맨해튼 트랜짓 코퍼레이션 이 建設限 것과 같은 報道 障礙物이 되지 않도록 設計되었다. 이 目標를 達成하기 위해 오버뷰 테라스의 入口는 驛 近處의 詩 所有 建物에 配置되었고, 포트 워싱턴 애비뉴의 入口는 183番街와 185番街 사이의 建物에 配置되었다. [13] 181番街의 포트 워싱턴 애비뉴 入口는 建物 內에 세워질 수 없었다. [13]

오버룩 테라스의 入口는 北쪽 待合室로 가는 240-피트 (73 m) 길이의 通路로 이어진다. [5] :5 [13] 이 入口는 階段式 지붕과 돌과 切斷席 으로 된 正面이 있는 單層 歷史에서 接近할 수 있다. 이 歷史에는 두 個의 아치가 있는데, 이 아치는 다이아몬드 文樣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各 아치 안에는 나무로 된 門이 있다. 逆光을 받는 아르데코 樣式의 "Subway" 標識板은 石造 받침臺 꼭대기에 있는 아치형 通路 胃와 사이에 있다. [5] :5


포트워싱턴 애비뉴의 183番街와 185番街 사이에 있는 出口는 待合室까지 100 피트 (30 m) 내려가는 3個의 엘리베이터로 이어진다. [5] :5 [13] 이 出口는 인터레이스 다이아몬드 모티브로 둘러싸인 아치가 있는 單層 石材 玄關에서 들어선다. 이 아치 위에 逆光 아트 데코 "Subway" 標示가 있으며 出口 玄關에 움푹 들어간 4個의 木材 門이 있다. 玄關은 포트 워싱턴 애비뉴의 높이보다 2層 높은 곳에 있는 若干 움푹 들어간 石造 建築物로 이어진다. 玄關은 포트 워싱턴 애비뉴 높이보다 2層 높이로 若干 움푹 들어간 石造 構造物로 이어진다. 7層 救助의 上段에는 非常 階段과 3個의 엘리베이터, 그리고 役의 換氣 시스템이 있다. 이 驛은 現在 運賃 管理 區域에서 乘降場으로 連結되는 엘리베이터가 없기 때문에 ADA-接近이 不可能하다. 그러나 190番街驛 와 달리 엘리베이터가 待合室과 距離層으로 바로 갈 수 있어 휠체어를 탄 乘客들이 이 出口에서 오버룩 테라스(Overlook Terrace)까지 가는 通路로 移動할 수 있다. [5] :6

포트 워싱턴 애비뉴와 181番街의 出口는 交叉路의 南쪽 모퉁이에 各各 2個씩 4個의 階段으로 構成되어 있다. [12] [13] 이 階段은 交叉路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階段으로 이어지며 南쪽 待合室로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로 이어진다. [5] :5

서184번가의 오버룩 테라스 出口
거183番街와 185番街 사이 포트워싱턴 애비뉴 出口

엘리베이터 [ 編輯 ]

맨해튼 섬에서 가장 높은 自然 地點은 서183번가와 185番街 사이 사이(徐184番街의 軸을 따라) 사이 포트워싱턴 애비뉴 (Fort Washington Avenue)의 驛 出口에 隣接한 베넷 파크 (Bennett Park)에 있다. [14] 驛의 깊이 때문에 긴 에스컬레이터는 南쪽 끝 181番街로 이어지고, 驛 北쪽 끝 엘리베이터는 베넷 파크 出口까지 이어진다. [15] 엘리베이터는 以前에는 낮에만 運行되었고 料金을 支拂해야 했다. [16] 1957年 以後 엘리베이터는 料金을 내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에 오버룩 테라스와 포트워싱턴 애비뉴를 오가는 步行者들은 無料로 엘리베이터를 利用할 수 있다. 또한 다음驛인 190番街驛과 IRT 브로드웨이-7番路線 相議 191番街驛 에도 步行者를 위한 無料 엘리베이터가 있다. [17]

181番可逆의 엘리베이터는 2019年 基準 ADA-接近 이 不可能하다. 2019年 12月, MTA는 이 驛이 機關의 2020?2024年 資本 프로그램의 一環으로 ADA-接近이 可能하게 될 것이라고 發表했다. [18] 非常時 使用 可能한 階段이 있다. [5] :5

大衆文化 [ 編輯 ]

上部 待合室의 엘리베이터 뱅크

이 驛은 린마누엘 미란다 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 認 더 하이츠 》의 타이틀曲에 言及돼 있으며, 여기서 Usnavi는 A 列車를 타며 "할렘보다 더 北쪽 맨해튼까지 타서, 181番街에서 내려 에스컬레이터를 타세요. 이 글을 쓰길 바랍니다. 나중에 試驗할테니, 當身이 받아적기를 바랍니다."하고 말했다. [19]

1980年 9月 13日, 피아니스트 志望生 에릭 카민스키(Eric Kaminsky)가 驛에서 强盜를 當해 칼에 찔려 숨졌다. 그의 殺害는 그의 어머니의 冊 《被害者의 노래(The Victim's Song)》의 素材가 되었다. [20]

各州 [ 編輯 ]

  1. “List of the 28 Stations on the New 8th Av. Line” . 《 The New York Times 》. 1932年 9月 10日. 6面. ISSN   0362-4331 . 2020年 4月 21日에 確認함 .  
  2. “More Subway Escalators” . 《The New York Times》 (美國 英語). 1939年 5月 12日. ISSN   0362-4331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3. “Station Developers' Information” .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 2017年 6月 13日에 確認함 .  
  4. "NYC Subway Wireless ? Active Stations" . Transit Wireless Wifi. Retrieved November 13, 2019.
  5. 틀:Cite archive
  6. Dougherty, Peter (2006) [2002]. 《Tracks of the New York City Subway 2006》 (英語) 3板. Dougherty. OCLC   49777633 Google Books 經由.  
  7. Duffus, R. L. (1932年 9月 9日). “New Line First Unit In City-Wide System” . 《The New York Times》 (美國 英語). 12面. ISSN   0362-4331 . 2017年 8月 3日에 確認함 .  
  8. Whitehorne, Wayne; Sklar, Bob. “www.nycsubway.org: IND Station Tile Colors” . 《www.nycsubway.org》 (英語) . 2017年 8月 3日에 確認함 .  
  9. Cox, Jeremiah (2005年 11月 23日). “The staircases in the middle of the platforms lead up to the mezzanine above” . 《subwaynut.com》. 2017年 8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10. Cox, Jeremiah (2007年 4月 2日). “Floor view of the middle mezzanine” . 《subwaynut.com》. 2017年 8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11. Cox, Jeremiah (2004年 11月 11日). “Looking down the railing of the mezzanine” . 《subwaynut.com》. 2017年 8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12. “MTA Neighborhood Maps: Washington Heights” (PDF) .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 2015 . 2016年 7月 29日에 確認함 .  
  13. “Maps Subway Exits To Ease Congestion” . 《The New York Times》 (美國 英語). 1930年 8月 24日. ISSN   0362-4331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14. “Bennett Park Highest Natural Point in Manhattan” . 《nycgovparks.org》 . 2017年 8月 3日에 確認함 .  
  15. Weiss, Bernard (1932年 10月 29日). “The 181st Street Escalator.” . 《The New York Times》 (美國 英語). ISSN   0362-4331 . 2017年 8月 2日에 確認함 .  
  16. “Free Elevators In Subway Fought” . 《The New York Times》. 1939年 8月 7日. 13面 . 2016年 7月 29日에 確認함 .  
  17. Kurtz, Josh (1991年 8月 12日). “Washington Heights Journal; A Subway Passageway Just for the Courageous” .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 2016年 7月 30日에 確認함 .  
  18. “MTA Announces 20 Additional Subway Stations to Receive Accessibility Improvements Under Proposed 2020-2024 Capital Plan” .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報道 資料). New York City. 2019年 12月 19日. 2020年 4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19. “Lin-Manuel Miranda ? In the Heights” . 《Genius》. 2013年 11月 1日 . 2016年 7月 16日에 確認함 .  
  20. Kaminsky, Alice. The Victim's Song . Buffalo: Prometheus Books, 1985. ISBN   0879752920 .

外部 링크 [ 編輯 ]

틀:뉴욕 地下鐵 驛 目錄 (運行系統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