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1744年의 臺彗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1744年의 臺彗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1744年의 臺彗星
C/1743 X1
1744년 3월 8일, 일출 전 혜성의 꼬리가 수평선 위로 뻗어 올라간 모습.
1744年 3月 8日, 日出 前 彗星의 꼬리가 水平線 위로 뻗어 올라간 모습.
發見
發見者 얀 더뮝크, 디르크 클링켄베르흐, 腸-필리프 드 슈조
發見일 1743年 11月 29日
名稱
로마字이름 Great Comet of 1744
다른 이름 1744
드 슈조 彗星
클링켄베르흐 彗星
클링켄베르흐-슈조 彗星
軌道 性質
近日點 (q) 0.22 AU [1]
軌道 警査 (i) 47°
軌道 離心率 (e) 1.0 (推定値)

1744年의 臺彗星 ( Great Comet of 1744 ), 클링켄베르흐-슈조 彗星 ( Comet Klinkenberg-Cheseaux ), 드 슈조 彗星 ( 프랑스語 : Comete de Cheseaux ), 클링켄베르흐 彗星 ( Komet Klinkenberg )은 1743年부터 1744年까지 나타났던 彗星으로, 1743年 11月 얀 더뮝크가, 같은 해 12月 9日에는 디르크 클링켄베르흐가, 12月 13日에는 場-필리프 드 슈죠가 各各 發見하였다. 彗星은 1744年에 數 個月에 걸쳐 맨눈 으로 觀測할 수 있었으며, 絶對等級 은 0.5等級까지 올라가, 歷史 時代 에 出現한 彗星 中 6番째로 밝은 彗星이었다. [2] 겉보기等級 이 -7等級까지 올라갈 程度로 밝아졌으며, 이에 따라 臺彗星 으로 分類하고 있다. 이 彗星은 近日點 通過 後 꼬리 6個가 생겨난 것으로도 有名하다.

發見 [ 編輯 ]

1744年의 臺彗星은 1743年 11月 29日 美델뷔르흐 에 있던 얀 더뮝크 가 처음으로 發見하였으며, [3] 같은 해 12月 9日에는 하를럼 에 있던 디르크 클링켄베르흐 도, 12月 13日에는 로잔 의 觀測所에 있던 腸-필리프 드 슈조 도 서로의 發見 情報를 모른 채 獨自的으로 彗星을 觀測하였다. 슈조는 彗星에 꼬리가 없고, 藥 3等級 程度의 星雲처럼 보이는 별이었다고 적었으며, 코마 의 지름은 約 5 이었다고 記錄하였다. [4]

彗星의 밝기는 近日點 에 接近함에 따라 밝아졌으며, 1744年 2月 18日에는 밝기가 金星 ( 겉보기等級 -4.6)과 비슷해졌고, 이 때 꼬리는 2個가 있었다는 記錄이 남아 있다.

近日點 通過와 '6個의 꼬리' [ 編輯 ]

彗星은 1744年 3月 1日 近日點 을 通過했으며, 이 때 太陽과의 距離는 0.2 天文單位 였다. [1] 이 時期 彗星은 매우 밝아져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程度였다. [5] 彗星이 太陽에서 멀어지며, 日出 前 彗星의 머리 部分이 아직 보이지 않을 때 꼬리가 떠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744年 3月 初 슈조를 비롯한 여러 天文學者는 水平線 위로 꼬리 6個가 부채 模樣을 이루며 떠오르는 珍貴한 光景을 볼 수 있었다고 적었다. [5]

1744年 뉘른베르크 에서 觀測한 臺彗星의 모습.

間或 一部 彗星에서 꼬리가 여럿 생기는 境遇는 있었지만, 1744年의 臺彗星처럼 6個나 생기는 現象은 前代未聞이었기 때문에, 天文學界에서도 이를 說明하기 위해 相當한 困難을 겪었다. 現在 提案된 理論으로는, 彗星의 核 表面에 있는 活動願 3個 假量이 自轉으로 因해 太陽에 交代로 露出되며 發生한 것이라는 理論이나, [6] 웨스트 彗星 이나 맥노트 彗星 의 꼬리에서 생긴 '먼지 선'이 單純히 剛하게 드러난 事例라는 理論 等이 있다.

다른 觀測 記錄 [ 編輯 ]

3月 9日 슈조가 남긴 觀測 記錄이 北半球 에서의 마지막 彗星 觀測 記錄이었으나, 南半球 에서는 彗星을 繼續 觀測할 수 있었으며, 이 中 3月 18日의 觀測 記錄에서는 彗星의 꼬리 길이가 90 假量이었다는 內容이 남아 있다. [6] 같은 해 4月 22日 以後로는 觀測 記錄이 남아 있지 않다.

이 彗星에 對한 中國 天文 記錄에는 彗星과 어떠한 '소리'가 關聯되어 있다는 內容이 남아 있는데, 이는 地球의 磁氣圈 과 彗星 粒子가 相互作用하여 오로라 를 만드는 現象과 關聯이 있을 수 있다. [7] 乾脯 時代 日本 의 歷史書인 日本왕대일람 에도 이 彗星의 觀測 記錄이 남아 있다. [8]

예카테리나 2歲 는 婚姻을 위해 러시아로 向하던 中 이 彗星을 觀測하였다. [9]

各州 [ 編輯 ]

  1.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1743 X1” (1744-03-01 last obs used (2-body dynamics used in orbit determination)). Jet Propulsion Laboratory . 2011年 7月 18日에 確認함 .  
  2. Kidger, M. Comet Hale-Bopp Light Curve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accessed 17-11-08
  3. De Munck, J., Sterrekundige Waarneemingen op de Comeet of Staart-Sterre; Sedert den 29 November des Jaars 1743. tot op den 1 Maart van den Jaare 1744 , Amsterdam/Middelburg: Isaak Tirion/Hendrik van Hoekke, 1744.
  4. Kronk, G. W. Cometography: A Catalog of Comets , 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 408.
  5. Kronk, p.410
  6. Kronk, p.411
  7. Keay, C. Explanation of Auroral Sounds 保管됨 2015-09-24 - 웨이백 머신 , Australian Space Weather Agency, accessed 17-11-08
  8. Titsingh, Isaac. (1834). Nihon Odai Ichiran ; or,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Paris: Royal Asiatic Society,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p. 418. OCLC 5850691 .
  9. Robert K. Massie (2012). 《Catherine the Great: Portrait of a Woman》 .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ISBN   978-0-345-40877-8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