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日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10日 戰爭
유고슬라비아 戰爭 의 一部

왼쪽 위부터 時計 方向으로, 우르토이바 國境 哨所에서의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戰車. 攻擊으로 破壞된 홀메츠 國境哨所. 로주나돌리나 의 이탈리아 國境 哨所에서 攻擊받은 有故 人民軍 戰車. 코페르 에서 撤收하는 마지막 有故 人民軍. 코페르 港口에서 유고 人民軍이 撤收를 準備하는 모습. 로주나돌리나에서 被擊받은 有故 人民軍 戰車.
날짜 1991年 6月 27日 - 7月 7日
場所
結果

슬로베니아의 勝利와 獨立 [1] [2]

交戰國
指揮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안테 마르코비치 [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벨코 카디예비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블라고예 아지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콘라트 콜셰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알렉山다르 바실레備置

슬로베니아 밀란 쿠찬
슬로베니아 로이第 페테를레
슬로베니아 야네스 얀샤

슬로베니아 이고르 바우차르
軍隊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슬로베니아 警察
兵力
22,300名 [4]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35,200名, 警察 10,000名 [4]
被害 規模
44名 死亡
146名 浮上
4,693名 砲로
[4]
19名 死亡
182名 浮上
[4]
外國人 12名 死亡

10日 戰爭 (十日戰爭, 슬로베니아語 : desetdnevna vojna ) 또는 슬로베니아 獨立 戰爭 ( 슬로베니아語 : slovenska osamosvojitvena vojna ) [5] 1991年 6月 25日 슬로베니아가 獨立 宣布를 하자 유고슬라비아 슬로베니아 사이 일어났던 짧은 戰爭이다. [6] 兩側은 各各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 슬로베니아語 : Teritorialna obramba Republike Slovenije )과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JNA)을 動員하여 戰鬪를 치렀다. 1991年 6月 27日부터 브리유니 協定 으로 終戰宣言을 한 7月 7日까지 딱 10日 동안 戰爭을 했기 때문에 10日 戰爭 ( 英語 : Ten day War ), 一週日 戰爭 ( 슬로베니아語 : vikend-vojna ) [7] 또는 열흘 戰爭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戰爭은 유고슬라비아 戰爭 의 始作을 알린 戰爭이다.

背景 [ 編輯 ]

유고슬라비아의 大統領 요시프 브로즈 티토 가 死亡한 1980年부터는 유고슬라비아 內의 根本的인 政治, 民族, 宗敎, 經濟的 緊張이 表面으로 올라왔다. [8] 1986年부터 세르비아 共産主義者 同盟 의 中央委員會 委員長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는 1989年에 유고슬라비아 共和國 內에서 人口密度가 가장 높았던 세르비아 社會主義 共和國 의 大統領이 되었다. [9] [10] 밀로셰비치는 國家를 中央集權化하여 權力을 聯邦 政府에 集中시키러 한 反面에, 다른 共和國 政府는 共和國과 自治 地域 各各에 憲法 權力을 주고 分散시키는 等 中央集權化를 느슨하게 하기 위해 努力했다. [11] 以後 6個 共和國 中 4個 共和國이 유고슬라비아에서 各各 脫退한다고 決定하기 前까지 共和國 代表 사이에서 이러한 葛藤이 繼續되었다.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獨立을 目標로 한 共和國 中 하나로 獨逸과 바티칸의 支援을 받아 獨立 政策을 펼쳤다. [12]

하지만 슬로베니아 內에서는 野黨과 民主化된 共産主義 集團이 한데 모여 슬로베니아의 獨立을 막고자 했고, 이에 슬로베니아 警察은 1989年 " 北쪽 措置 "(Action North)라는 一連의 措置를 敢行하였다. 1990年 4月 열린 슬로베니아 最初의 多黨制 選擧 에서는 55% 以上의 支持率로 슬로베니아 民主野黨 (DEOMS 聯合)李 勝利하였다. [13]

戰爭 準備 [ 編輯 ]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병사가 소총을 든 채 서 있다. 배경으로 군용 차량이 보인다.
1991年 3月 열린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의 全軍 軍事 訓鍊 모습.

1990年 12月 23日,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獨立 與否 國民投票 에서 投票率 93.3%에 全體 有權者들 中 88.5%(投票者의 94.8%)가 獨立을 支持하며 通過되었다. [14] [15] 슬로베니아 政府는 베오그라드 의 유고슬라비아 聯邦政府가 슬로베니아의 獨立 움직임을 沮止하기 위해 軍事力을 動員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슬로베니아 國民投票 直後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JNA)은 有故 全國에 適用될 새로운 防衛敎理를 發表하였다. 이 防衛敎理는 티토 時代 있었던 各 共和國의 領土防衛軍 (TO)에서 堅持하던 "人民大衆方位論" 敎理를 廢棄하고 中央集權化된 새로운 軍事 體系로 代替하는 안이었다. [16] 유고슬라비아의 各 共和國들은 國防 主權을 잃어 各 共和國의 領土防衛軍은 武裝解除 當했으며 베오그라드의 有故 人民軍으로 軍 體系가 全部 넘어갔다. [17]

슬로베니아 政府는 武裝 解除 움직임에 抵抗해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의 武器 大多數가 有故 人民軍에 넘어가지 않게 막아냈다. 또한 1990年 9月 28日에는 슬로베니아의 憲法 改正案을 통과시켜 自國의 領土防衛軍을 슬로베니아 政府가 獨自的으로 指揮할 수 있게 바꾸었다. 同時에 슬로베니아는 "마노에右레 國家保護組織"( Manevrska struktura narodne za??ite 또는 MSNZ)라고 하는 비밀스러운 代替指揮組織을 創設하였다. 이 組織은 슬로베니아 特有의 旣存 舊式 體系를 가져온 것으로 共和國이 民兵 처럼 防禦體系를 卽席에서 바로 세우기 위해 만든 것이었다. 1990年 以前에는 舊式의 武器에 머릿數度 적어 別 것 아닌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DEOMS 聯合政府는 領土防衛軍을 슬로베니아 政府가 獨自的으로 指揮할 수 있도록 竝列的인 MSNZ 組織을 利用하였다. [18]

유고슬라비아 人民軍이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指揮權을 掌握하러 하자 領土防衛軍의 指揮構造가 곧바로 MSNZ 組織으로 바뀌었다. 1990年 5月부터 10月 사이 聯邦 政府 모르게 約 21,000名의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과 警察 人力을 MSNZ 指揮構造로 移轉하였다. 여기에 슬로베니아 政府는 有故 人民軍에 맞서는 軍事 行動의 細部 計劃도 짜기 始作해 實際 戰爭이 始作하기 約 7個月 前인 1990年 11月에 作戰 및 戰術 計劃을 樹立할 수 있었다. [19]

슬로베니아는 自國이 有故 人民軍을 오랫동안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國防 長官인 野네즈 얀샤 非對稱 戰鬪 方式을 基盤으로 하는 戰爭 戰略을 세웠다. 領土防衛軍은 對戰車 武器 對空 미사일 로 有故 人民軍을 奇襲攻擊하는 게릴라 作戰을 使用하였다. 例를 들면 機動空間이 制限된 좁은 山길의 유리한 地形에서 戰車 隊列의 先頭 및 後方 車輛을 破壞하여 機動을 封鎖하고 나머지를 쉽게 破壞할 수 있게 攻擊하는 作戰을 構想하였다. 이에 對備해 슬로베니아 政府는 SA-7 그라일 對空 미사일과 獨逸製 아름브루스트 對戰車 미사일 等 海外로부터 警미사일을 大量으로 隱密히 사들였다. 이런 狀況에서는 유고 人民軍의 壓倒的인 火力을 克服하기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全面戰보다는 奇襲 및 遲延 戰術을 採擇하였다. [20]

衝突 [ 編輯 ]

10日 戰爭에서 유고 人民軍의 作戰 指導.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는 1991年 6月 25日에 獨立에 關한 法律을 通過하였다. [21] 슬로베니아는 豫想되는 衝突에서 早期에 優位를 占하기 위해 獨立일을 앞당겼다. 슬로베니아 政府는 獨立 宣言 當日이나 그 直後 유고슬라비아軍이 武力 對應을 할 것이라고 豫想하였다. 슬로베니아는 祕密裏에 날짜를 24時間 앞당겨 6月 26日을 移動일로 定했던 유고슬라비아 政府에 混亂을 주었다. [22]

유고슬라비아軍은 슬로베니아의 獨立에 强力히 反對했지만 슬로베니아에 어떻게 行動할 지에 對해서는 內部에서 論難이 많았다. 有故 人民軍의 參謀總長인 中將 블라고예 아지치 는 슬로베니아 政府를 무너뜨리고 共和國 內에 "健全한 勢力"을 들어서게 하는 大規模 軍事 作戰을 펼치기를 主張하였다. 反面 그의 政治的 上官인 유고 國防長官 벨코 카디예비치 는 보다 愼重하게 本質的으로 슬로베니아가 獨立 宣言을 撤回하도록 說得하는 武力示威로 나아가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一連의 論爭 끝에 카디예비치의 路線이 選擇되었다. [23]

슬로베니아를 向한 武力 示威 決定에 유고슬라비아 內의 民政 勢力이 얼마나 많은 影響을 끼쳤는지는 不分明하다. 聯邦行政會議 最高議長(大部分의 國家의 國務總理에 該當)인 안테 마르코비치 는 聯邦政府가 유고軍의 決定을 報告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24]

1991年 6月 26日 [ 編輯 ]

6月 26日 아침,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13軍團 部隊는 크로아티아 리예카 의 駐屯地를 떠나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國境으로 移動하였다. 有故 人民軍의 移動은 地域 슬로베니아人들의 抵抗으로 나타나 슬로베니아 內에서는 自發的으로 바리케이드를 세워 길을 막거나 示威를 여는 等으로 人民軍의 機動을 封鎖하였다. 이 때까진 戰鬪가 벌어지진 않았으며 兩側 모두 되도록이면 非公式的으로 先制發捕하지 않는다는 政策을 가진 것으로 推定되었다. [25]

이 때 슬로베니아 政府는 이미 共和國의 主要 國境哨所와 류블랴나 空港 (當時 이름 브르니크 空港)을 占領하기 위한 作戰 計劃을 實行에 옮겼다. 國境 哨所를 防禦하는 人員들은 大槪 全部 슬로베니아人이였기 때문에 별다른 戰鬪 없이 유니폼과 揮帳을 바꾸는 程度에서 바로 슬로베니아의 占領 下에 넘어갔다. 야네즈 얀사는 이 일을 "主權의 가장 重要한 核心인 國境-關稅-領空 統制를 確實하게 掌握하기 위해" 着手한 것이라고 말했다. [26] 國境哨所 占領은 또 重要한 實際的인 效果가 있었다. 當時 兩國 入出境은 重要한 세入圓이었다. 게다가 國境 掌握을 통해 슬로베니아는 有故 人民軍의 豫想 攻擊 位置에서 防禦線을 세울 수 있었다. 이는 有故 人民軍이 先制攻擊을 해야만 한다는 意味였다. 實際로 6月 27日 디바車 에서 한 유고 人民軍 將校가 最初로 發砲를 하였다. [27]

6月 27日 [ 編輯 ]

로주나돌리나 의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國境 哨所에서 유고슬라비아君의 T-55 電車가 슬로베니아軍의 對戰車 미사일에 擊破된 모습.

6月 26日 유고슬라비아의 夜間 非常 閣議가 끝난 後, 곧바로 6月 27日 새벽부터 有故 人民軍의 追加 兵力이 派遣되었다. 크로아티아 카를로바츠 에 本部가 있는 유고 人民軍 第306對共連帶가 슬로베니아 國境 마을인 메틀리카 에서 슬로베니아 國境을 넘었다. 數 時間 後에는 브르흐니카 예 基地를 둔 有故 人民軍 第1機甲旅團의 一部 戰車 및 裝甲車가 部隊를 떠나 슬로베니아의 首都 류블랴나 隣近의 브르니크 空港을 向해 出發하였다. 數 時間 後 裝甲車 部隊가 到着해 施設을 掌握하였다. [28] 有故 人民軍은 聯邦軍이었기 때문에 慣例的으로 슬로베니아를 包含한 聯邦 共和國 곳곳에 部隊가 配置되었다. 東쪽에서는 유고 人民軍이 마리보르 에서 出發하여 隣近의 國境 건널목人 셴틸 과 西쪽의 드라보그라드 를 向해 進軍하였다. 유고슬라비아 空軍은 傳單紙 空輸 投下 로 슬로베니아 各地에 "우리는 平和와 協力을 追求한다!", "모든 抵抗은 鎭壓될 것이다"라는 內容의 傳單紙를 投下하였다. [29] [30]

6月 27日 새벽 슬로베니아 指導部는 有故 人民軍의 움직임을 傳達받았다. 슬로베니아를 包含한 第5軍區 軍 指導部는 슬로베니아의 大統領 밀란 쿠찬 課 電話 接觸을 갖고 軍의 任務는 어디까지나 國境 및 空港을 占領하는 것에 限定되어 있다고 答하였다. 슬로베니아 大統領職 會議가 急하게 열려 쿠찬과 其他 大統領職 人員들은 武裝 抵抗을 하기로 決意하였다. [31]

슬로베니아 政府는 有故 人民軍 特殊部隊 가 헬리콥터를 利用하여 여러 戰略的 場所에 部隊를 輸送할 것이라는 警告를 들었다. 자그레브 에 있는 유고 人民軍 第5軍區 司令部는 슬로베니아로부터 萬一 헬리콥터 使用을 繼續할 境遇 擊墜될 수도 있다는 警告를 받았다. 有故 人民軍 指導部는 슬로베니아가 싸우기보다는 무를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 警告를 無視하였다. 하지만 이 決定은 深刻한 計算錯誤였다. 6月 27日 午後,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은 JNA의 SA-7 미사일로 헬기 두 臺를 擊墜하였고, [32] 그 中 1期는 류블랴나 로주나돌리나 에로스페티아르 가젤 헬기를 擊墜시킨 것으로 [33] 擊墜로 搭乘者들이 死亡하였다(사망자 中 한 名인 토니 므를라크는 操縱士로 슬로베니아人이었다). [34]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은 여러 곳의 有故 人民軍 幕舍 周邊에 자리를 잡은 後 包圍하였으며 슬로베니아 全域의 有故 人民軍에 對한 一連의 攻擊을 始作하였다. 브르니크에서는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이 空港을 占據하고 있던 有故 人民軍을 攻擊하였고, 트르진 에서는 戰鬪로 有故 人民軍 兵士 4名과 領土防衛軍 兵士 1名( 에드바르트 페페르코 )이 死亡하였으며 남은 有故 人民軍이 降伏하였다. 領土防衛軍은 페스니차 , 오르모시 , 코稅制 마을의 有故 人民軍 戰車 隊列 攻擊도 始作하였다. 크로아티아 바라주딘 에서부터 進擊하던 有故 人民軍 第32機械化旅團 戰車 隊列은 슬로베니아의 오르모시 마을에서 바리케이드를 뚫지 못하고 봉쇄당했다. [35]

여러 混亂과 戰鬪가 있었으나 遺稿 人民軍은 수많은 軍士 作戰을 計劃한 대로 成功하였다. 6月 27日 한밤中까지 이탈리아와의 모든 國境 건널목, 오스트리아 國境과의 3個 건널목,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이 數 個 國境을 除外한 모든 國境 건널목을 占領하였다. 하지만 有故 人民軍의 相當數 部隊는 슬로베니아 全域에서 攻擊에 脆弱한 채로 放置되어 있었다. 한便 當時 韓國 政府 는 류블랴나에 滯留 中인 商社員 27名과 留學生 1名 等 28名의 僑民을 安全地帶로 待避시키도록 指示하였다. [36]

6月 28日 [ 編輯 ]

6月 27에서 28日로 넘어가는 밤,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은 有故 人民軍에 對한 總攻擊 開始 命令을 받았다. 슬로베니아 國防部는 다음과 같이 命令하였다.

슬로베니아 陸軍(領土防衛軍을 意味)李 戰術的으로 優位를 지니고 있는 모든 곳에서 敵 部隊 및 施設에 對한 攻擊을 開始한다. 敵軍은 降伏할 것이고, 可能한 限 모든 武器를 動員하여 最大限 빠르게 降伏시켜야 한다. 戰鬪 途中 民間人 待避와 保護에 必要한 모든 措置도 이루어질 것이다. [37]

戰鬪는 하루 終日 벌어졌다. 前날 페스니카에서 攻擊을 받았던 有故 人民軍 戰車 隊列은 오스트리아 國境에서 數 km 떨어진 슈트犁鶘베츠 마을에서 슬로베니아의 트럭으로 만든 卽席 바리케이드로 가로막혔고 다시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및 警察의 攻擊을 받았다. 유고슬라비아 空軍 은 슈트犁鶘베츠에서 유고 人民軍 支援을 위해 2次例 攻襲을 하여 트럭 運轉士 4名이 死亡하였다. [38] 슬로베니아 中部에 있는 메드베디에크 에서는 또 다른 有故 人民軍 戰車 隊列이 트럭 바리케이드에 막히고 攻擊을 받았으며 이 渦中 攻襲으로 트럭 運轉士 6名이 死亡하였다. 이탈리아 國境에 接해 있는 노바고리車 에서는 激烈한 戰鬪가 벌여져 슬로베니아 特殊部隊가 아름부르스트 對戰車 미사일 2發과 步兵 銃彈 700餘發을 發砲하였다. 슬로베니아軍은 有故 人民軍의 T-55 戰車 2臺를 破壞하고 戰車 3臺를 鹵獲하였으며 追加로 空甁 裝備 車輛 BTS-1 1臺를 鹵獲하였다. 이 戰鬪로 有故 人民軍 兵士 3名이 死亡하고 16名이 負傷을 입었으며, 戰車 隊列의 指揮官을 包含한 98名의 兵士가 降伏하였다. [39] 많은 負傷者들이 國境을 넘어 이탈리아 高리치아 의 病院에 入院하였다. [40] 一部 消息通은 이 戰鬪가 戰爭의 向方을 決定한 戰鬪라고 報道하였다. [41]

홀메츠 의 國境 건널목은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이 占領했다. 戰鬪로 슬로베니아軍 兵士 2名과 有故 人民軍 兵士 3名이 死亡하였으며 有故 人民軍 91名이 捕虜로 잡혔다. 不코비에 의 不코비에 멘션에 있는 유고 人民軍 幕舍는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에게 攻擊받았으며, 步로브니차 의 有故 人民軍 武器庫가 陷落되어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은 有故 人民軍의 武器로 武裝하였다. 한便 유고슬라비아 空軍이 슬로베니아 全域에 空襲을 敢行해 브르니크 空港에서는 攻襲으로 오스트리아 및 獨逸 出身 記者 2名, 니콜라스 포겔 노르베르트 베르너 가 死亡하였고 아드리아 航空 의 旅客機 4期가 破壞되었다. 그 外에도 유고슬라비아 空軍은 코체프슈카레카 에 있는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司令部와 크림山 , 쿰山 , 스페타게라 , 나노스高原 의 라디오 및 텔레비전 送信所를 攻擊하여 슬로베니아 政府의 放送을 막고자 했다. [42]

날이 저물 무렵 有故 人民軍은 如前히 많은 地域을 占領하고 있었으나 占領地를 急激히 잃고 있었다. 또한 有故 人民軍은 所屬 슬로베니아 兵士가 脫營하거나 所屬을 完全히 바꾸어 攻擊하는 等 脫營 問題가 일어나기 始作했으며 地上軍 및 베오그라드의 指揮部 모두 다음에 슬로베니아에서 무엇을 해야 할 지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다. [43]

6月 29日 [ 編輯 ]

戰爭 勃發 以後 유럽 共同體 (EC)는 外交的으로 危機를 끝내기 위해 努力하였다. 유럽 共同體 外務長官 3名은 6月 28日에서 29日 사이 밤 자그레브 에서 슬로베니아 및 유고슬라비아 政府 代表團을 만나 3個月間의 休戰案에 合意하였으나 實際로 休戰 協定이 이뤄지지는 않았다. [44] 이 날 아침 슬로베니아는 軍事的으로 여러 重要한 勝利를 거두었다. 브르니크 隣近 류블랴나 空港의 有故 人民軍 部隊가 밤새 空港을 包圍한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部隊에게 降伏하였다. 北쪽에서는 슈트犁鶘베츠 隣近 有故 人民軍 戰車 여러臺가 鹵獲되어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戰車中隊로 再編成되었다. 有故 人民軍 特殊部隊는 흐르바티니 에서 海上 上陸 作戰을 試圖하였으나 슬로베니아軍의 埋伏 攻擊으로 擊退당했다. 솀페테르브르토이바 셴틸 地域의 國境 건널목을 占領하고 있던 有故 人民軍도 鹵獲한 聯邦軍의 武器와 戰車로 武裝하여 强力해진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의 攻擊을 받고 擊退되었다. [45]

有故 人民軍은 슬로베니아에게 最後通牒을 보내 6月 30日 午前 9時까지 敵對行爲를 卽刻 中斷할 것을 要求하였다. 슬로베니아 議會는 슬로베니아의 獨立을 위태롭게 하지 않는 線에서 危機의 평화로운 解決을 促求하는 決議案을 통과시키며 有故 人民軍의 最後通牒을 拒否하였다. [46]

6月 30日 [ 編輯 ]

이날 여러 곳에서 交戰이 이어졌다. 슬로베니아軍은 오스트리아와의 國境에 있는 알프스山脈 카라반크스 道路 터널 를 占領하였으며 노바고리車 隣近에서 유고 人民軍 戰車 9臺를 鹵獲하였다. 드라보그라트의 將校 16名 包含 400餘名의 兵力에 여러 裝備로 武裝한 守備軍이 降伏하였으며 톨民 步베츠 의 駐屯軍도 슬로베니아에게 降伏하였다. 駐屯軍에게 鹵獲한 武器는 빠르게 슬로베니아軍으로 넘어가 武裝이 强化되었다. [47]

7月 1日 [ 編輯 ]

류블랴나 南쪽의 노바바스區 에서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이 有故 人民軍 施設을 占領하는 等 交戰이 繼續 이어졌다. [48] 치르니우르흐 에 있는 유고 人民軍 彈藥庫에 火災가 일어나 大規模 爆發로 마을 大部分이 破壞되었다. 하지만 그 外 슬로베니아軍은 페초우니크 , 部코우줄라크 , 잘로슈카고釐車 等의 火藥庫를 占領하고 彈藥, 爆發物 等이 積載된 트럭 70臺를 捕獲하는 데 成功하였다.

有故 人民軍 第306警防空砲兵連帶는 메드베디에크의 露出된 地域에서 後退하여 크라코步숲 크로아티아와의 境界 近處로 移動하였다. 크르슈코 마을 近處에서 길이 바리케이드로 막히고 슬로베니아軍에 包圍되었으나 口號 兵力을 기다리며 降伏을 拒否하였다. [49]

그 사이 有故 人民軍 指導部는 作戰의 全體的인 方向을 바꾸러 試圖하였다. 유고슬라비아의 國防長官인 벨코 카디예비치 는 聯邦內閣에 有故 人民軍의 最初 計劃인 슬로베니아 國境線을 掌握한다는 最初의 作戰이 失敗했으며, 슬로베니아에 對한 全面的인 侵攻과 軍情 施行에 對한 豫備 計劃을 施行해야 할 때라고 建議하였다. 하지만 當時 세르비아人 보리사브 요비치 가 大統領 議長으로 있던 유고슬라비아 大統領職은 作戰 承認을 拒否하였다. 有故 人民軍의 參謀總長인 將軍 블라고예 아지치 는 聯邦 大統領職의 拒否 決定에 激憤하며 "[슬로베니아人들이] 모든 手段을 動員해 우리를 攻擊하는 동안 聯邦 機關이라는 곳은 協商을 要求하면서 [우리를] 繼續 妨害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50]

7月 2日 [ 編輯 ]

7月 2日에는 當時 슬로베니아 內에서 가장 熾烈했던 戰鬪들이 일어났다. 돔잘레 라디오 送信所 는 UTC 10時 37分(現地 時刻 11時 37分) 有故 人民軍의 MiG-21 基 2基의 攻襲으로 큰 被害를 입었다. [51] 하지만 有故 人民軍은 이날 하루에만 作戰 遂行에 여러 蹉跌이 빚어졌다. 크라코步숲의 有故 人民軍 護送隊는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의 持續的인 攻擊으로 結局 降伏하였다. [52] 또한 有故 人民軍 第4機甲旅團 部隊는 크로아티아 야스트레바르스코 에서 進擊을 始作하였으나 슬로베니아 國境 隣近의 브레가나 에서 擊退당했다.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은 셴틸 , 고르냐라드고나 , 페르네티치 , 고리안스코 等의 國境 哨所를 攻擊하여 有故 人民軍을 制壓하고 多數의 部隊를 捕虜로 잡았다. [53] 드라步그라트에서는 午後에서 밤까지 有故 人民軍과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 사이의 戰鬪가 이어졌고, 슬로베니아 全域의 有故 人民軍 施設이 슬로베니아軍에게 占領當했다. [54]

밤 9時 頃, 슬로베니아 大統領職 側은 一方的으로 休戰을 發表하였다. 하지만 有故 人民軍 指導部 側에서는 "統制權을 다시 掌握"하고 슬로베니아 抵抗 勢力을 擊破하겠다며 休戰을 拒否하였다. [55]

7月 3日 [ 編輯 ]

有故 人民軍의 大型 裝甲車 護送隊가 7月 3日 아침 베오그라드에서 公式的으로는 슬로베니아를 向해 出發하였다. [56] 하지만 슬로베니아로 到着하진 않았는데 公式的인 發表에서는 機械的 故障으로 到着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57]

슬로베니아에서는 고르냐라드고나 國境 哨所로 向하던 有故 人民軍 口號隊가 라덴치 隣近에서 저지당하는 等 戰鬪가 繼續되었다. 코크 國境哨所의 有故 人民軍도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에게 攻擊받았다. 저녁 들어서 有故 人民軍은 休戰과 幕舍로의 撤收에 同意하였다. 이와는 別個로 라덴치에서 멀지 않은 흐라스티에모타 마을에서 유고 人民軍 所屬 밀 Mi-8 헬리콥터가 機械的 問題로 地上으로 緊急 着陸하는 事件이 일어났다. 헬리콥터는 슬로베니아軍이 押留하였으나 슬로베니아의 神 空軍에겐 適合하지 않은 것으로 判斷하여 8月 13日 베오그라드로 返還되었다. [58] [57]

7月 4日 - 6日 [ 編輯 ]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 聯邦 政府의 最後 通牒을 거의 다 받아들이며 休戰이 醱酵되여 兩側은 交戰을 中止하였다. [59] 슬로베니아軍은 自國의 모든 國境 哨所를 占領하였으며, 遺稿 人民軍 部隊는 平和的으로 幕舍로 모두 撤收한 後 國境을 건너 크로아티아로 넘어가는 것이 許容되었다. [60]

7月 7日 以後 [ 編輯 ]

코프라項에서 마지막 有故 人民軍 部隊가 배를 타고 撤收하고 있다.

10日 戰爭은 公式的으로 크로아티아의 브리유니 에서 締結된 브리유니 協定 으로 終了되었다. [61] 이 協定으로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의 獨立이 承認되었다. 協定은 슬로베니아에게 매우 유리한 條件으로,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事實上 獨立에 影響이 없이 獨立 宣言만 3個月 延期하기로 合意하였으며 슬로베니아 警察과 領土防衛軍 等 軍事가 슬로베니아 自國 內 主權 勢力으로 인정받았다. [62] [63]

協定 內容 遵守를 위해 유고슬라비아 政府는 10月 末까지를 期限으로 모든 유고슬라비아 人民軍 部隊가 슬로베니아 領土에서 撤收하기를 合意하였다. 슬로베니아 政府는 撤收 協商 當時 自國의 條件에 따라 撤收하여야 한다고 主張하였는데, 이에 따라 유고 人民軍은 重火器와 裝備를 들고 撤收할 수 없었으며, 슬로베니아는 이것들을 全部 鹵獲하여 地域 곳곳의 自國軍을 武裝시켜주거나 타 유고슬라비아 共和國에 販賣하였다. 撤收는 協定 締結 10日 以後부터 始作되어 10月 26日 모든 有故 人民軍 兵力이 撤收하였다. [63]

死傷者 및 損失 [ 編輯 ]

戰爭 期間이 짧았고 戰鬪도 低强度로 펼쳐저서 死傷者는 많지 않았다. 슬로베니아 推算에 따르면 有故 人民軍 44名이 死亡하고 負傷者 146名이 發生하였으며, 슬로베니아軍은 19名이 死亡하고 182名의 負傷者가 發生하였다. [4] 또한 10日 戰爭 期間 外國人 12名이 死亡했는데 主로 저널리스트 및 戰線에 投入되었던 불가리아人 트럭 運轉士였다. 有故 人民軍 兵士 4,692名 및 聯邦警察 252名이 슬로베니아 側의 捕虜가 되었다. 有故 人民軍의 前後 評價에서는 物的 損失로 戰車 31代, 兵力 輸送 裝甲車 22代, 헬기 6期, 步兵 球技 6,787個, 抛 87門, 防空武器 124門 等의 被害가 있었다. 戰鬪가 散發的이고 短期的이었기 때문에 物的 損害도 크지 않았다. [64]

홀메츠 事件 [ 編輯 ]

오스트리아 國境 隣近의 홀메츠 國境哨所 에서 오스트리아의 公營 放送局인 ORF 가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이 일으킨 것으로 推定되는 戰爭 犯罪 嫌疑 映像을 撮影하였다. 映像에서는 유고 人民軍 數 名이 降伏하려는 듯한 意圖로 흰 시트를 들고 두 손을 들고 서 있거나 천천히 걷는 듯한 모습이 보인다. 얼마 지나지 않아 銃소리와 함께 兵士들이 쓰러지거나 땅으로 엎드린 듯한 場面이 나왔다. 銃소리가 어디에서 나는지, 正確히 以後 어떻게 되었는지는 映像에서 全혀 나오지 않는다. 슬로베니아 政府에서는 유고 人民軍 兵士들이 銀掩蔽를 위해 뛰어든 것으로 銃에 맞은 것은 아니며, 이 問題는 數 年 前에 徹底히 調査된 것이라고 發表하였다. 하지만 2006年 세르비아의 텔레비전 放送局인 B92 에서 홀메츠 映像이 다시 放送된 後 수많은 論爭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슬로베니아 領土防衛軍의 射擊으로 遺稿 人民軍 兵士들이 死亡한 것이며 슬로베니아가 이 事件을 隱蔽하려 한다고 主張하였다. [65] [66] [67]

映像에서 나온 有故 人民軍 兵士들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論難이 일고 있다. 紛爭 15年 後 나온 한 報告書에서는 이 軍人들이 아직도 살아있다고 主張한다. [68] 다른 報告書에서는 鳥卵 例示치, 고란 말레티齒, 안토니오 시무盧備置 等 3名의 兵士 이름을 들면서 홀메츠 事件 當時 殺害當한 兵士들의 이름이라고 主張한다. [69]

戰爭의 戰略的 側面 [ 編輯 ]

슬로베니아軍은 大體로 數 個月 前에 考案된 軍事 戰略에 따라 行動하였으며 詳細한 言論 管理 計劃 等과 統合하여 움직였다. 戰爭 勃發 當時 情報部 長官이었던 옐코 카친 을 首長으로 하는 國際 미디어 센터가 設立되어 슬로베니아의 立場을 世界에 알리는 役割을 하였다. 슬로베니아 政府와 言論은 西유럽 사람들에게 슬로베니아의 衝突을 新興 民主主義 國家와 獨裁 共産主義 國家 사이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라고 大大的으로 弘報하였으며, 유고슬라비아 戰車 隊列이 마치 2年 前 1989年 톈안먼 事件 當時 電車들을 떠오르게 만들었다. 이런 言論 報道를 통해 國際的으로 슬로베니아의 獨立에 對한 同情心과 友好的인 報道를 이끌어 내었다. [70]

슬로베니아軍이 유고슬라비아 人民軍에 比해서 士氣가 높다는 利點도 있었다. 많은 유고슬라비아 軍人들은 攻擊받을 때까지 練習이 아닌 實際 軍事 作戰에 參與하고 있다는 事實을 認知하지 못했다. 將校團은 세르브인 몬테네그로人 으로만 構成되어 있었으며 많은 境遇 유고슬라비아 團結 理念에 同調하였다. 하지만 士兵들은 徵集兵으로 이들 中 多數는 슬로베니아와 싸워야만 한다는 意欲이 없었다. 1990年 슬로베니아에서 活動하는 第5軍區 兵士들은 알바니아人 30%, 크로아트人 20%, 세르브인 몬테네그로人 15-20%, 보스니아人 10%, 슬로벤인 8% 順이었다. [71]

슬로베니아 內에서 세르브界 少數民族의 比率이 越等히 낮은 것을 勘案할 때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의 세르비아 政府가 슬로베니아의 獨立에 特別히 神經쓰지 않을 것이라는 點도 슬로베니아가 認知하고 있었다. 6月 30日 國防長官 카디예비치는 豫想 外로 甚한 슬로베니아의 抵抗을 뚫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聯邦 大統領職에 슬로베니아에 對한 大規模 攻擊을 提案하였다. 하지만 大統領職의 세르비아 代表 보리사브 요비치 는 세르비아가 슬로베니아에 對한 追加 軍事 行動을 支持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軍에 큰 衝擊을 주었다. [72] 이 時點에서 세르비아는 크로아티아 問題에 더 神經을 썼으며 슬로베니아의 戰爭이 미처 끝나기 前에 有故 人民軍 部隊는 크로아티아의 臨迫한 戰爭 을 準備하기 위해 兵力을 再配置하고 있었다. [73]

戰爭의 結果 [ 編輯 ]

슬로베니아는 戰爭의 勝利로 유고슬라비아로부터 獨立을 完全히 지켜냈다. 1992年 1月 15日 모든 유럽 共同體 會員國이 슬로베니아의 獨立을 承認하였으며, 5月 22日에는 유엔 會員國으로 加入하였다. [74]

슬로베니아의 戰爭은 유고슬라비아 側에서 一連의 큰 變化를 가져왔다. 유고슬라비아 人民軍에게서 슬로벤因果 크로아트人 이 全部 나가면서 人民軍은 全的으로 세르브인 몬테네그로人 의 軍隊가 되었다. [75] 슬로베니아와 以後 크로아티아에서 유고 人民軍의 不振한 活動과 덧붙여 決定的으로 유럽 共同體 옵저버 헬리콥터 擊墜 事件 까지 합쳐져 1992年 1月 카디예비치는 聯邦 國防長官職에서 辭任하였고, [76] 아다치 總理는 얼마 지나지 않아 半强制로 退陣하였다.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 政府는 유럽 聯合 執行委員會 로부터 紛爭 緩和를 위해 3個月 間 獨立 宣言을 凍結할 것을 要求받았으며 兩國은 獨立 一時 凍結에 同意하였다. [77] 슬로베니아는 이 3個月을 利用하여 여러 機關을 統合하고 가장 時急한 經濟 改革 中 一部를 통과시키며 슬로베니아의 國際的 認定을 準備하였다. [7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Klemen?i?, Matja?; ?agar, Mitja (2004). 〈Democratiz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 ABC-CLIO. 297?298쪽. ISBN   978-1-57607-294-3 .  
  2. Lukic, Reneo; Lynch, Allen (1996). 〈The Wars of Yugoslav Succession, 1941?95〉. 《Europe from the Balkans to the Urals: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 Oxford University Press. 184쪽. ISBN   978-0-19-829200-5 .  
  3. Lenard J. Cohen, Jasna Dragovi?-Soso.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Purdue University Press, 2008. Pp. 323. (It says that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s Prime Minister Ante Markovic declared the secessions of Slovenia and Croatia to be illegal and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of the SFRY, and authorized the Yugoslav People's Army to secure the integral unity of the SFRY.
  4. J. ?vajncer, Janez (2001年 5月). “War for Slovenia 1991” . 《25 June 2001: 10 Years of Independence》. Slovenska vojska (magazine).  
  5. Clapham, David (1996). 〈Slovenia〉. 《Housing Privatization in Eastern Europe》 .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2쪽. ISBN   978-0-313-27214-1 .  
  6. Fraudet, Xavier (2006年). 《France's Security Independence: Originality and Constraints in Europe, 1981-1995》 . Peter Lang. 129쪽. ISBN   978-3-03911-141-1 .  
  7. Clapham, David (1996). 〈Slovenia〉. 《Housing Privatization in Eastern Europe》 .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2쪽. ISBN   978-0-313-27214-1 .  
  8. “Kosovo” . 뉴욕 타임스. 2010年 7月 23日 . 2019年 2月 7日에 確認함 .  
  9. “Serbia's Vojvodina Regains Autonomy” .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9年 12月 15日 . 2019年 2月 8日에 確認함 .  
  10. “A Country Study: Yugoslavia (Former): Political Innovation and the 1974 Constitution (chapter 4)” . The Library of Congress . 2019年 2月 8日에 確認함 .  
  11. Josip Glaurdi? (2011年).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71쪽. ISBN   978-0-300-16645-3 .  
  12. Jeanne M. Haskin (2006). 《Bosnia and Beyond: The "quiet" Revolution that Wouldn't Go Quietly》 . Algora Publishing. 127쪽. ISBN   978-0-87586-430-3 .  
  13. “The first multiparty elections of 1990” . Government Communication Office, Republic of Slovenia. 5 August 2012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8 December 2011에 確認함 .  
  14. Flores Juberias, Carlos (2005年 11月). 〈Some legal (and political) considerations about the legal framework for referendum in Montenegro, in the light of European experiences and standards〉. 《Legal Aspects for Referendum in Montenegro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PDF) . Foundation Open Society Institute, Representative Office Montenegro. 74쪽. 2012年 4月 26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15. 〈Volitve〉 [Elections] . 《Statisti?ni letopis 2011》 [Statistical Yearbook 2011]. 《Statistical Yearbook 2011》 15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1. 108쪽. ISSN   1318-5403 . 2013年 8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4日에 確認함 .  
  16. Josip Glaurdi? (2011年).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57쪽. ISBN   978-0-300-16645-3 .  
  17. Jovi?, Borisav (1995). 《Poslednji dani SFRJ》. Belgrade: Politika. 160?161쪽.  
  18. “History?Territorial Defence” . Slovenian Armed Forces. 2019年 4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5月 7日에 確認함 .  
  19. Gow, James & Carmichael, Cathie. Slovenia and the Slovenes , pp. 174?178. C. Hurst, London, 1999.
  20. Aleksandar Radi?. “Ve?ba Avala?Jugoslovenska odbrana od Var?avskog pakta 1968. godine” . Belgrade: Institut za savremenu istoriju. 2012年 8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1. 오건한 (1991年 6月 26日). “유고슬라비아 2個 共和國 獨立宣言” . KBS . 2022年 12月 26日에 確認함 .  
  22. Balkan Battlegrounds , p. 58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2
  23. Allcock, John B. et al.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 p. 274. ABC-CLIO, Denver, 1998
  24. Mesi?, Stjepan. "The Road to War", in The War in Croatia and Bosnia-Herzegovina, 1991?1995 , ed. Branka Maga? and Ivo ?ani?. Frank Cass, London, 2001
  25. “有故 짙어가는 內戰 먹구름” . 東亞日報. 1991年 6月 27日. 5面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26. "Balkan Battlegrounds" 認容.
  27. “Zgodilo se je ... 27. junija” [It Happened On ... 27 June] (슬로베니아語). MMC RTV Slovenia. 2005年 6月 27日.  
  28. 고대석 (1991年 6月 28日). “유고슬로비아 內戰 漸漸 激化되고 있어[고대석]” . MBC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29. Quoted in Balkan Battlegrounds , p. 59
  30. “有故 流血 銃擊戰…內戰 危機” . 한겨례신문. 1991年 6月 27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31. Silber, Laura & Little, Allan. The Death of Yugoslavia . Penguin, London, 1995
  32. Ramet, Sabrina (2005).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 Woodrow Wilson Center Press Series. Indiana University Press, p. 39. ISBN   0-253-34656-8
  33. Ripley, Tim (2001). Conflict in the Balkans, 1991-2000 . Osprey Publishing, p. 5. ISBN   1-84176-290-3
  34. Spencer, Metta (2000). The lessons of Yugoslavia . Volume 3 of Research on Russia and Eastern Europe. Emerald Group Publishing, p. 17. ISBN   0-7623-0280-1
  35.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0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6. 오건환 (1991年 6月 28日). “유고슬라비아 內戰 勃發 外 1件” . KBS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37. 原文:At all locations where RS (Republic of Slovenia) armed forces (Slovenian Territorial Defence) have the tactical advantage, offensive actions against enemy units and facilities will be carried out. The enemy will be summoned to surrender, the shortest deadline possible for surrender given and action taken using all available weapons. While in action, any necessary arrangements will be made to evacuate and protect the civilians.
  38. “休戰宣言不拘 散發交戰 繼續” . 京鄕新聞. 1991年 6月 29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39. “RID Rivista Italiana Difesa Dicembre 2011 Vent’anni fa divampava la guerra in Jugoslavia ? I combattimenti al confine italo-sloveno di Rozna Dolina (Casa Rossa) e Nova Vas.” . 《10febbraioDetroit》 (英語). 2012年 1月 7日 . 2019年 4月 18日에 確認함 .  
  40. “Gorizia e Nova Gorica: different twins” . 《Red Carpet Magazine》 (美國 英語). 2018年 4月 30日. 2019年 4月 1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4月 18日에 確認함 .  
  41. Schindler, John R. (2001).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ISBN   0-275-97204-6
  42.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0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3. 최맹호 (1991年 6月 28日). “有故內戰激化 百餘名死傷” . 東亞日報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44. 박동영 (1991年 6月 29日). “유고슬라비아 2個 共和國 獨立演技” . KBS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45.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0-21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6. 오건환 (1991年 6月 30日). “유고슬라비아 內戰” . KBS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47.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1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8. 최병찬 (1991年 7月 2日). “유고슬라비아 散發戰鬪 再開” . KBS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49. “國境숲속마다 共和國軍布陣” . 東亞日報. 1991年 7月 2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0. Quoted in Balkan Battlegrounds , p. 64
  51. “有故內戰 다시 激化” . 朝鮮日報. 1991年 7月 3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2. “有故 內戰 다시 激化, 數十名 死亡者 發生” . 韓經닷컴. 1991年 7月 3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3. 오건환 (1991年 7月 3日). “유고슬라비아 事態, 戰鬪 擴散” . KBS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4.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1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55. “有故 다시 交戰” . 東亞日報. 1991年 7月 3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6. “유고聯邦軍 탱크, 크로아티아공 首都로 發進” . 韓經닷컴. 1991年 7月 3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57.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1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58. Insignia magazine, Volume 1, issue 2, March 1996
  59. “유고슬라비아 事態 鎭靜局面 外 1件” . KBS. 1991年 7月 6日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60.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1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61. Chuck Sudetic (1991年 6月 29日). “Conflict in Yugoslavia; 2 Yugoslav States Agree to Suspend Secession Process” . 《The New York Times》 . 2010年 12月 12日에 確認함 .  
  62. Woodward 1995 , 171쪽
  63. Woodward 1995 , 169쪽
  64. Nigel Thomas; Krunoslav Mikulan; Darko Pavlovi? (2006年).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英語). Osprey Publishing. 22쪽. ISBN   9781841769639 . 2021年 8月 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65. “Serb Official Accuses Slovenia Troops Of War Crimes, 2006-04-08 Associated Press Report” . 2007年 11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3月 23日에 確認함 .  
  66. "Slovenia denies Serbian claims of independence war crimes", 2006-04-06 Slovenian News Agency STA Report
  67. "Jan?a Protests to Ko?tunica over Statements on Holmec" 2006-04-06 BETA News Agency Report )
  68. "Belgrade Says Holmec Footage Victims Alive", 2006-04-26 Archived 2012年 3月 10日 - 웨이백 머신 Slovenian News Agency STA Report
  69. "Croat victim in Slovenian war crime", 2006-04-10 保管됨 17 6月 2013 - 웨이백 머신
  70. Vesna ?arkovi? (2011年 6月). “Jelko Kacin - interview” (英語). Bold and United . 2021年 9月 13日에 確認함 .  
  71. Meier, Viktor. Yugoslavia ? A History of its Demise . Routledge, London, 1999
  72. Vasi?, Milo?. "The Yugoslav Army and the Post-Yugoslav Armies", in Yugoslavia and After ? A Study in Fragmentation, Despair and Rebirth , ed. David A. Dyker & Ivan Vejvoda. Longman, London, 1996
  73. “Izjava Na Osnovu Pravila 89 (F)” [Statement Pursuant to Rule 89 (F)] (세르비아語).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3年 11月 16日 . 2011年 1月 18日에 確認함 . Milo?evi? and I resolutely requested the following from Kadijevi?: 1. Respond to the Slovenes vigorously using all means including the air force, they must absolutely no longer be allowed to disrespect the Yugoslav People's Army. Then withdraw from Slovenia. We shall make a timely decision on that matter. In that way army morale shall be improved, Croatia shall be scared and Serbian people calmed. 2. The main YPA forces shall be grouped on Karlovac-Plitvice [Lakes] line to the West; Baranja, Osijek, Vinkovci ? Sava [River] to the East and Neretva [River] in the South. In that way all territories inhabited by Serbs shall be covered until the final resolution, that is until the people freely decides in a referendum. 3. Completely eliminate Croats and Slovenes from the army.  
  74. Paul L. Montgomery (1992年 5月 23日). “3 Ex-Yugoslav Republics Are Accepted into U.N.” . 《 The New York Times 》. 2012年 11月 1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7月 29日에 確認함 .  
  75. Final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80 (1992) (1994年 12月 28日). “The military structure, strategy and tactics of the warring factions” .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2011年 2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1月 20日에 確認함 .  
  76. Glaurdi? 2011 , 280쪽.
  77. Bennett, Christopher (1995). 〈Slovenia Fights〉 .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C. Hurst & Co. Publishers. 159쪽. ISBN   978-1-85065-232-8 .  
  78. Klemen?i?, Matja?; ?agar, Mitja (2004). 〈Democratiz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1990s〉 .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298쪽. ISBN   978-1-57607-294-3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