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0式 艦上戰鬪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0式 艦上戰鬪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0式 艦上戰鬪機
種類 戰鬪機
첫 飛行 1939年 4月 1日
導入 時機 1940年
現況 退役
主要 使用者 日本 帝國 海軍 , 中華民國 空軍
타이 空軍
生産 時期 1940年 ~ 1945年
生産 臺數 10,939
開發 原形 96式 艦上戰鬪機
派生型 나카지마 A6M2-N

0式 艦上戰鬪機 ( 日本語 : 零式艦上??機 레이시키칸죠우센토우키 [ * ] , 英語 : Mitsubishi A6M Zero ) 또는 줄여서 榮轉 ( 日本語 : 零? 레이센; 제로센 [ * ] ) 또는 흔히 제로戰鬪機 제로機 大日本 帝國 海軍 航空隊의 輕量級 戰鬪機이다. 또한, 제로氣는 호리코시 지로 가 設計했고, 미쓰비시 重工業 이 生産했다. 그리고 제로氣는 A6M이라는 制式 番號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戰鬪機를 의미하는 A, 그中 6番째 모델을 意味하는 6, 미쓰비시에서 生産되었다는 것을 意味하는 M이 結合된 것이다.

當時 大日本 帝國 海軍의 無理한 要求를 충족시키기 위해 操縱席의 裝甲板을 떼어 버리고 燃料탱크 封合 裝置도 省略하였고, 同時代의 유럽에서 生産되었던 것에 비해 出力이 떨어지는 925馬力짜리 엔진으로도 長距離 航速 能力과 卓越한 上昇力과 旋回性能을 비롯 높은 機動力을 갖출 수 있었다.

A6M이 導入될 當時, 뛰어난 機動性과 上昇速度, 긴 航速距離, 높은 高度에서 戰鬪가 可能한 能力 等으로 놀라운 成果를 보여 聯合軍 操縱士에게 恐怖의 對象이 되었다. [1] [2] [3] 特히 제로센의 이러한 뛰어난 機動性은, 中日戰爭 等을 거치며 空中戰 經驗을 쌓은 熟鍊된 日本軍 操縱士들의 操縱術과 結合되어, 太平洋 戰爭의 緖戰에서 F2A 버팔로 P-40 等 時代에 뒤쳐진 低性能의 航空機와, 大部分 熟鍊度 낮은 操縱士들이 많았던 太平洋 地域의 聯合軍을 壓倒, 聯合軍 指揮部에 큰 衝擊을 앉겨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非行性能을 達成하기 위해 行해진 無理한 輕量化로 인한 脆弱한 機體强度와 防禦力은, 以後 제로센의 致命的인 缺點으로 作用, 戰爭 中盤 以後 제로센의 急激한 沒落을 惹起한다. 낮은 機體强度와 피탄에 對備한 防禦設備 不足으로, 相對的으로 가벼운 피탄으로도 擊墜되었고, 特히 燃料탱크의 耐彈 및 消火設備 缺如로 피탄視 火災가 發生하기 쉬웠다. 무엇보다 操縱士 방호의 不足으로, 戰鬪過程에서 聯合軍에 비해 操縱士의 思想比率이 높았고, 이는 熟鍊된 航空乘務員의 損失로 인한 日本軍의 戰力弱化에 相當한 影響을 주었다. 또한 이 飛行機의 엄청난 航速距離를 있게 한 구멍이 뚫린 弱한 氣骨로 인한 氣體의 構造强度 不足으로 인해, 急降下를 통한 加速을 버텨낼 수 있는 制限速度가 同時期 다른 戰鬪機보다 相當히 낮아져, 相對的으로 低速度에서의 先회기동 中心의 空中戰에서, 붐 앤 줌 과 같은 急降下와 줌 上昇을 통한 高速機動 中心의 戰法으로의 空中戰 樣相 變化를 쫓아갈 수 없었다. 또한 火力이 相對的으로 貧弱하여, 보다 堅固하고 잘 防護된 美軍 戰鬪機를 擊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通信裝備의 性能이 劣惡하여 編隊戰術 活用에 制約이 많았다.

勿論 이러한 제로센의 相對的 弱點의 一部는, 알류신 列島에서 제로센을 鹵獲하기 以前에도 제로센과의 戰鬪를 經驗한 聯合軍 操縱士들에 依해 發見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제로센에 對應하기 위한 새로운 戰術이 開發된다. 그 하나는 眞珠灣 攻襲 以前부터 中國에서 靈前과 戰鬪經驗을 쌓던 플라잉 타이거즈 로부터, 붐 앤 줌 戰法, 卽 더 높은 高度에서 高速으로 降下, 一擊離脫 戰術 이 제로센과의 戰鬪에서 매우 有用하다는 紹介 받아 이를 導入한다. 또 하나는 美 海軍의 代表的인 大 제로센 戰術로 잘 알려진 타치위브 戰術. 美 航母 요크타운 F4F 와일드캣 戰鬪機 飛行隊 指揮官인 지미 타치에 依해 考案된 이 戰術은, 靈前에게 꼬리를 물린 두 臺의 F4F 와일드캣이, 서로 反對 方向으로 交叉하면서 相對方의 꼬리를 물고 있는 榮轉을 死角에서 攻擊하는 戰術이었다. 特히 榮典은 機體 强度가 脆弱해 機銃 몇 발만 名中 시키면 擊墜시킬 수 있었는데다, 通信裝備의 性能이 낮아 有機的 編隊戰術 驅使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타치위브 戰術은 미드웨이 海戰 을 始作으로, 매우 效果的으로 使用되었다.

그리고 미드웨이 海戰 直後, 1942年 7月 알래스카의 외딴 섬에서 墜落한 A6M 1期( 아쿠彈 제로 )가 거의 損傷을 입지 않은 채로 美國側에 依해 獲得되었다. 美國에서는 이 飛行機를 修理하여, 여러 테스트 通해 제로센의 特徵과 長短點을 精密 分析, 제로센에 對한 體系的인 對應戰術을 발전시킨다.

  1. 제로센은 特히 저속에서의 旋回半徑이 무척 짧으므로 絶對로 이 飛行機와 低速旋回를 통해 꼬리물기(도그파이팅, Dog fighting )을 試圖하지 말라.
  2. 이 飛行機는 不足한 엔진 出力으로 높은 機動性을 내기 위해 構造的 强度를 犧牲 시켰기 때문에 急降下 能力이 떨어지므로 제로센에게 꼬리를 물릴 境遇 急降下 하여 回避하면 벗어날 수 있다.
  3. 低速領域에서는 매우 敏捷하지만, 時速 200마일(320km/h) 以上의 高速飛行視 에일러論의 作動이 急激하게 무거워져 機動性이 相當히 減少하며, 特히 롤性能은 時速 250km를 境界로 매우 急激히 惡化되므로, 高速機動으로 끌어들여 對應해야 한다.

美軍은 제로센과의 低速領域에서의 格鬪戰을 回避하고, F4F 와일드캣과 같은 美軍 戰鬪機의 優勢한 防禦力과 火力, 急降下能力의 優位와, 제로센의 高속에서의 機動性 減少를 積極活用한 一擊離脫 戰術 中心의 高速 空中機動과 有機的 編隊戰術을 通해 제로센에 對應하는 戰術을 確立한다. 그 結果, 當時 美 海軍의 主力戰鬪機이던 F4F 와일드캣은, 飛行性能에선 劣勢였지만, 튼튼하고 잘 武裝된 氣體와 와일드캣과 제로센 各各의 長短點을 效果的으로 活用한 戰術의 發展에 힘 입어 1942年에서 1943年 初盤까지 제로센과의 空中戰에서 對等以上의 戰鬪를 펼친다.

結局 聯合軍이 제로센의 長短點을 把握하고 對應戰術을 確立한 後, 제로센은 優秀한 機動性에도 不拘하고, 脆弱한 防禦力을 包含한 여러 短點을 克服하지 못하고, 1942年 期間 동안의 主要戰鬪에서는 一例로 美 海軍의 當時 主力戰鬪機 와일드캣과의 戰鬪에서, 1942年 期間의 主要戰鬪에선 擊墜-損失比(Kill Ratio) 約 1:1.16, 以後 最終合計 1:1.5로 도리어 劣勢를 記錄하며, 日本軍의 太平洋 上空 制空權 掌握 失敗의 한 原因이 된다.

또한 미드웨이 海戰 과달카날 戰鬪 等의 戰鬪를 거치며, 日本軍은 이 過程에서 熟鍊된 파일럿을 大擧 잃게 되는데, 그 理由에는 제로센을 비롯한 日本軍 航空機들의 防禦力 및 乘務員 防護對策 不足도 한 몫을 했다. 日本의 파일럿 養成 體系는 애當初 少數精銳式으로 運營되었기 때문에, 파일럿 消耗가 持續되자, 優秀한 戰鬪機 操縱士를 大擧 養成하는 美國에 비해서 파일럿의 技倆도 뒤처지게 되었다.

그리고 日本이 戰爭 初盤期 太平洋 上空에서의 決定的인 空中優勢 達成에 失敗하고 戰況이 膠着된 사이, 美軍은 書傳의 衝擊을 回復하고 前歷을 整備할 수 있었고, 本格的인 展示生産體制로의 轉換과 더불어, 開戰以前에 配置되기 始作했던 그러먼 F4F 와일드캣 이나 P-40 等, 相對的으로 低性能의 戰鬪機들을 代身하여 F-6F 헬켓 , F4U 콜세어 , P-38 라이트닝 과 같은 한層 强力한 엔진과 强化된 防禦力과 武裝을 갖춘 高性能의 新型 戰鬪機들이 大量生産 體制를 갖춰, 續續 戰場으로 投入되기에 이른다.

그 사이 日本도 榮轉을 改良하려고 하였으나 美國이나 유럽보다 航空機 開發 技術, 特히 高出力 엔진의 製作에 어려움을 겪으며 航空機 改良 및 新銳機 開發 競爭에서 뒤처지게 되었다. 不足한 防禦力을 補充하려 操縱士 裝甲板과 燃料縫合裝置를 追加하였으나 弱한 엔진 때문에 오히려 旣存의 뛰어난 機動力과 긴 航速距離 마저 毁損되었다. 또한 A6M을 代替할 新型 戰鬪機 開發도 遲遲不進 하였다. 結局 1942年 미드웨이 海戰 및 과달카날 戰鬪를 거치며 베테랑 파일럿을 大量으로 잃은 日本은 急激히 무너지기 始作하였다. 1943年부터는 大量으로 配置되기 始作한 新型 美軍 戰鬪機에게 完全히 性能적 劣勢에 놓여, 恐怖의 對象에서 손쉬운 먹잇감으로 轉落하고 말았다. 이들 美國의 新型 戰鬪機들은 A6M보다 出力이 두倍에 가까운 훨씬 强한 엔진을 通해, 두터운 掌匣을 裝備하고도 훨씬 優秀한 速度와 上昇力, 急降下 能力 等을 利用하여 靈前을 손쉽게 制壓하였다. 미쓰비시 A6M은 1944年에는 舊式이 되었지만 生産은 繼續되었으며, 太平洋 戰爭 말에, 가미카제 作戰에 利用되었다.

이름 [ 編輯 ]

제로 라는 이름은 日本軍이 使用한 名稱 "영식 艦上 戰鬪機"에서 由來하여 全 世界的으로 알려진 이름이다. 여기서 0은 A6M이 導入된 때인 日本 建國 2600年 (西紀 1940年 )의 마지막 數字를 따서 붙여졌다. 日本에서는 非公式的으로 제로-센 ( 日本語 : ゼロ? )과 레이-센 ( 日本語 : 零?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日本軍 操縱士들은 A6M을 主로 "제로-센"이라고 불렀다. (英語 單語 "zero"와 프랑스語 單語 "zero"는 19世紀 末 英國과 프랑스의 技術者에 依해 傳來되었다.)

運用國 [ 編輯 ]

週 運用國

일본 제국의 기 日本 帝國

태국 泰國

2次 大戰 中 捕獲한 戰鬪機 使用

중화민국의 기 中華民國

프랑스의 기 프랑스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미국의 기 美國

成果 [ 編輯 ]

A6M2 Zero 艦上 戰鬪機는 太平洋 戰爭 初盤에 많은 成果를 거두었다.

美 海軍이 運用하던 F4F 와일드캣 보다 뛰어난 機動性으로 太平洋 戰爭 初期에 航空 戰鬪力을 壓倒했다.

또 鹵獲한 A6M3 Zero 戰鬪機로 氣體構造를 알아챈 美 海軍이 效果的인 戰術을 導入하자 곧 威力을 잃었으며 以後 F6F 헬캣 等을 만들면서 高性能의 戰鬪機들을 내보이자 性能敵으로 完全히 劣勢에 놓이게 된다.

그러자 A6M3 Zero 戰鬪機에서 掌匣을 强化시킨 A6M5 Zero 戰鬪機를 내세웠다.

防彈裝備 追加等의 改良乙韓 榮轉52型

베테랑 파일럿이 操縱하는 A6M Zero 戰鬪機는 低高度 도그파이팅 에서는 威脅的이었다고 한다.

諸元 (A6M5 0式 52型) [ 編輯 ]

一般 [ 編輯 ]

  • 乘務員: 1
  • 길이: 9.06 m (29 ft 9 in)
  • 날개幅 : 12.05m
  • 높이: 3.05 m (10 ft 0 in)
  • 날개 面積: 22.44 m² (241.5 ft²)
  • 공 重量: 1,680 kg (3,704 lb)
  • 搭載 重量: 2,410 kg (5,313 lb)
  • 縱橫比: 6.4

性能 [ 編輯 ]

  • 最高 速力: 564km/h at 6,000m
  • 航速 距離 : 3,105 km (1,675 nm, 1,929 mi)
  • 上昇高度 10,500 m (33,000 ft)
  • 上昇率: 15.7 m/s (3,100 ft/min)
  • 날개 面積當 搭載 重量: 107.4 kg/m² (22.0 lb/ft²)
  • 엔진: 1× 나카지마 사카에 31型 엔진, 1,130馬力
  • 推力臺 重量比: 294 W/kg (0.18 hp/lb)

武裝 [ 編輯 ]

  • 機銃:
    • 1x 7.7 mm 97型 機關銃 . 個當 500發의 彈丸을 搭載 1x 13.2mm 1式 機關銃. 個當 250發의 彈丸
    • 2× 20 mm 99型 機關砲 . 날개에 裝着, 個當 125發의 彈丸 搭載
  • 爆彈:
    • 2× 60 kg (132 lb) 爆彈 或은
    • 1× 가미카제 攻擊用 250 kg 爆彈 or 로켓탄( A6M7 基準)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wks, Chuck. The Best Fighter Planes of World War II. Retrieved: 18 January 2007.
  2. The American and Japanese Air services Compared . Archived 2009年 1月 31日 - 웨이백 머신 Retrieved: 18 January 2007.
  3. Mersky, Peter B. (Cmdr. USNR). Time of the Aces: Marine Pilots in the Solomons, 1942-1944 . Retrieved: 18 January 2007.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