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흰나비科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흰나비科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흰나비科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배추흰나비 ( Pieris rapae )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節肢動物文
江: 昆蟲綱
목: 나비目
賞과: 虎狼나비賞과
과: 흰나비科
(Pieridae)
Duponchel, 1835
亞科

흰나비科 (Pieridae)는 갈구리나비 , 배추흰나비 , 흰나비 , 노랑나비 等을 包含하는 나비 의 한 分類群이다.흰나비과의 나비는 全 世界에 1千種, 韓國에는 17種이 있다. 種 大部分의 날개가 흰色 이나 노란色 系統이며 배추흰나비, 큰줄흰나비는 검정 무늬가 있다. 흰나비科에 該當하는 나비들은 비슷하게 생겼지만, 가지만(?)의 무늬의 差異가 있다.

애벌레와 어른벌레의 生態 [ 編輯 ]

흰나비科의 나비들이 먹이植物에 알을 낳으면 애벌레가 허물을 벗으며 몸이 커지는 탈바꿈과 번데기 過程을 거치는 完全變態過程을 거쳐 어른벌레로 成長한다. 種에 따라 越冬形態가 다르다.

애벌레 먹이植物度 種類別로 다르다

天敵 [ 編輯 ]

寄生벌 [ 編輯 ]

배추흰나비의 애벌레 卽, 배추벌레의 天敵으로는 寄生벌 배추벌레고치벌 배추벌레金좀벌 이 있다. 배추벌레고치벌은 배추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데, 애벌레는 宿主의 體液을 빨아먹다가 빠져나와 노란色의 고치를 만듦으로써 羽化할 準備를 한다. 體液이 빨린 숙주는 脫盡해서 죽는다. 배추벌레金좀벌은 배추흰나비나 虎狼나비 애벌레에 알을 낳는데, 宿主가 번데기 가 되면 그 속을 먹어치운 뒤 어른벌레가 되어서 빠져나온다. 배추흰나비의 天敵 中에는 에 寄生하는 알벌도 있는데, 昆蟲學者들은 알벌이 배추흰나비의 페로몬 을 알아내서 産卵場所를 알아내는 것으로 推定한다. 그래서 나비가 알을 낳는 동안 옆에서 自身의 알을 낳는다는 것이다.

거미 [ 編輯 ]

어른벌레度 昆蟲 을 잡아먹는 거미 , 사마귀 等에 依해 수가 調節되는데, 몸이 느려지는 더운 날씨에는 活動을 中斷하는 것으로 天敵으로부터 自身을 保護한다.

飼育 [ 編輯 ]

흰나비科 나비들인 배추흰나비, 臺灣흰나비, 큰줄흰나비의 애벌레들은 배추, 갓, 무, 케일처럼 求하기 쉬운 먹이를 먹으므로 都市 사람들도 알과 애벌레 採集과 키우기를 쉽게 할 수 있는 나비이다.

알과 애벌레 採集 [ 編輯 ]

배추흰나비 암컷은 여름과 가을에 배추 , , , 케일에 노란 옥수수 模樣의 을 낳기 때문에, 이들 植物 들에 關心을 가지고 지켜보면 알이나 애벌레 採集은 勿論이고, 배추흰나비가 와서 을 낳는 모습 보기도 할 수 있다.

키우기 [ 編輯 ]

배추흰나비가 알을 낳은 植物은 모種삽 으로 採集하여 花盆 에 옮겨심어두면 저절로 알에서 깨어나 애벌레가 자란다. 애벌레를 採集하여 飯饌桶에 먹이와 같이 넣어두거나 먹이植物을 심은 花盆, 무청 (無의 윗대가리를 잘라서 물그릇에 담아주면 싹이 잘 자라는데, 이를 무청이라고 한다.)에 올려두어도 잘 자란다. 飯饌桶에서 키울 때는 濕氣나 排泄物로 쉽게 汚染되기 때문에 每日 淸掃해주어야 나비애벌레를 죽이지 않고 키울 수 있다. 間或 나비애벌레가 웅크릴 때가 있는데 몸이 자라서 껍질을 벗거나 번데기가 될 準備를 하는 것이다. 나뭇가지를 넣어주면 번데기 가 될 準備를 하는데, 번데기 가 된 後에는 조용히 놔두어야 한다. 번데기에서 나온 나비는 날개가 젖어 있어서 건드리면 그대로 굳어버린다. 花盆에서 키울때는 本能에 따라 安全한 花盆 틈에 들어가서 번데기가 되는데, 이 時期에는 만지거나 스트레스를 주어서는 안 된다. 스트레스를 받는 境遇에는 寓話釜田 確率 높아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