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携帶 電話 文字 入力 方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携帶 電話 文字 入力 方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 文書에서는 言語 携帶 電話 의 文字 入力 方式 에 對해 敍述한다.

韓國語 [ 編輯 ]

여기서 韓國語란 大韓民國의 言語, 北韓(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言語('文化語'라 부름), 中國의 朝鮮族 公用語('朝鮮語'라 부름)을 일컫는 뜻으로 使用된다.

一般的 事實 [ 編輯 ]

携帶電話 文字 入力方式은 시스템으로서는 文字配列 問題와, 協議의 入力方式 곧 入力規則 問題로 區分된다. 흔히 特許나 論文에서 이 두 가지를 區分하지 않고 混同하여 文字入力方式 또는 文字配列이라고 부르는데, 이 두 가지는 相互 聯關性이 있으며, 各各 그리고 體系的으로 接近하여야 한다. [1]

初聲活用型 [ 編輯 ]

初聲活用型은 10個의 數字키에 子音 中心으로 割當한다. 大槪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ㅎ'을 基本으로 配列하고 다른 子音은 그 다음 層(레이어)로 割當한다. 過去 遞信部 電話機 規格집 (1988.11) [2] 으로 定해진 配列을 맥슨전자의 無線電話에 適用된 例가 있다. 김민겸한글 은 初聲活用型에 該當하지만 ㅎ을 母音用으로 겸하고, *, #을 母音龍 및 子音變換用으로 겸하는 獨特한 設計이다. [3] 子音모음 交代型 은 初聲活用모드로 變換할 수 있다. 個人들이 初聲活用 運動을 벌리기도 하는데, ㅎ 代身 ㅊ을 基本으로 配列하였다. [4] 그러나 一部 學者들은 過去 遞信部 電話機 規格을 따르되, 다만 0番 키에 心理學的인 整合性을 위해 을 配列해야 하고 따라서 ㅇ과 ㅎ의 位置만 바꾸어야 한다고 主張한다. 초성 10者의 頻度 順序는 子音의 特性에서 보듯 ㅇㄴㄱㄹㅅㄷㅈㅎㅁㅂ이다.

母音의 特性 [ 編輯 ]

携帶電話 文字板의 母音의 設計에 韓國語의 母音 特性이 重要하다. 現代 韓國語의 母音은 表記에 있어서 매우 規則的 形態만 許容되도록 發展되었다. 英語에서는 aa가 있으나 韓國語는 ㅏㅏ, ㅜㅏ 와 같은 組合은 存在하지 않는다. 따라서 入力方式에서 母音은 連接回避나 變換의 問題를 일으키지 않는다. [5]

文字板의 母音은 字母順序, 入力順序와 頻度가 重要하다. 入力의 順序는 事前의 順序와 다르다. 辭典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巡이지만, 頻度는 ㅏㅣㅡㅓㅗㅜㅕㅛㅑㅠ 巡이며, [6] [7] [8]

子音의 特性 [ 編輯 ]

子音은 모든 모델들이 19者를 使用한다. 子音의 頻度는 ㅇㄴㄱㄹㅅㄷㅈㅎㅁㅂㅆㅊㅌㅍㄲㄸㅋㅉㅃ 巡이지만, 實際로는 頻度 뿐만 아니라 平音-激音-硬音의 子音 體系를 考慮하고 있다.

現代 韓國語는 初聲에서 雙子音 外의 겹子音, 예컨대 'ㅄ'과 같은 것이 使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者母校大型 外에는 받침과 初聲 사이의 音節마침 信號를 꼬박꼬박 넣을 必要가 없다.

字母의 頻度 뿐 아니라, 字母 間의 連接率도 重要한 特性이다. [9]

數字키 外의 使用과 特殊符號 問題 [ 編輯 ]

實用 中인 國內의 모델 中에는 數字키 內에서 字母를 配列한 것이 있고, *와 #키를 使用하는 것도 있다. 韓國語 字母를 數字키에 限定하면, 기능키를 勘案하여도 餘分의 키가 남을 수 있다. 特殊文字를 키에 割當할 必要가 있느냐는 論難거리이며, 美國은 常用 모델에 따라 1番키 또는 #키를(어떤 것은 0番에 空白 配列), 日本의 境遇 #키를 特殊文字用으로 使用한다. 文字生活에서는 빈칸의 需要가 높으며, 韓國語의 語文에는 平敍文과 疑問文의 差異를 區分하기 위해 '물음標'가 使用된다. IDN(多國語도메인)李 數 年內에 施行豫定이므로 @票의 需要가 높아질 것이 豫想된다.

美國의 携帶폰에 2~9番에만 알파벳이 配列된 것을 보고 韓國語 者茅島 이에 따라야 한다는 생각은 誤謬이다. 흔히 E.161이라고 알려진 것은 ITU-T 勸告案 E.161을 말하는데 國際標準 ISO/IEC 9995-8人 것은 事實이다. 이것은 英語 또는 유럽어 用意 基本으로 英文알파벳은 그렇게 하는 것이 標準이란 뜻이다. 0, 1은 團地 없음(none)으로 되었을 뿐이다. 옛 모델에는 1番키에 Q, Z를 配列하기도 하였다. 유럽 各國의 글字 配列은 國家別로 若干씩 다르다. [10]

標準化 問題와 中國의 朝鮮語公正 [ 編輯 ]

技術標準院에서 2009年부터 携帶電話 한글文字配列의 標準化를 進行하여 2011年 標準이 制定되었다. [11]

김민겸한글 [ 編輯 ]

基本的인 키패드의 形態는 다음과 같다. [12]

1 2 3
4 5 6
7 8 9
* 0 #

키패드上 文字配列의 形態는 子音모음分離型이면서, [0]버튼에만 子音모음混在型이 部分的으로 適用되고 있다. 또한 同時에 상기 1988年 國家標準(참고. 맥슨전자 生産 電話機 字板) [2] 을 受容하는 '初聲活用型' 이기도 하다. 버튼누름에 依한 入力方式은 다음의 3가지 方法이 適用되고 있다.

ㅋ=ㄱㅡㅡ, ㄲ=ㄱㅣㅣ, ㅎ=ㆍㅡㅡ or ㅇㅡㅡ
  • 한글基本2
가 = ㄱㆍ
  • 한글基本3 ('3+타 入力方法')
[ㄱ]버튼 連續 누름: ㄱ → ㄱㄱ (or ㄲ) → ㅋ → ㄲ

'한글基本1'에 依하면, 母音버튼 2番 連續 누름으로써 變換버튼처럼 使用되며, 模糊性이 全혀 없이 連續入力이 可能하다. 同時에 '3+타 入力方法'으로 이름붙여진 '한글基本3' 技術이 適用되었다. '한글基本3'에서 [ㄱ] 버튼이 2番 눌릴 때 終聲子音으로 나타날 수 있는 'ㄲ'은 그 다음 母音버튼이 눌리면 받침 'ㄱ'과 다음글字의 初聲子音 'ㄱ'으로 나뉠 수 있으나, 4番 눌렀을 때의 'ㄲ'은 恒常 'ㄲ'으로 된다. 우리 한글의 使用頻度 [7] 에 基盤하여 '한글基本3'을 適用하였을 때 發生하는 模糊性은 約 1,000글字에 한 番(藥 3500打에 한 番)이다.

母音 入力의 境遇 '한글基本2'로 부르는 技術이 適用되었다. 旣存에는 母音 'ㅏ' 入力을 "ㅏ = ㅣㆍ"로 入力하였으나, [ㆍ] 버튼을 한 番 누름으로써 母音 'ㅏ'를 入力한다. 例를 들어, "가 = ㄱㆍ" 로 入力된다. 母音 'ㅏ'는 우리 한글에서 22%를 차지하는 母音 [7] 으로 旣存에 2打에 入力하던 'ㅏ'를 1打에 入力하므로, 母音入力의 效率은 11% 以上 向上되었다.

過去 '한글基本1' 技術이 kt의 안폰(Ann Phone) [14] 에 搭載되어 生産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端末機 製造會社에서 字板配列을 任意로 變形(모음 配列順序를 'ㅣ', 'ㆍ', 'ㅡ'로 變更하고, 上段의 [1], [2], [3] 버튼에 配置)하고, 文字入力規則도 任意로 變形("ㅋ = ㄱㅣㅣ", "ㄲ = ㄱㅡㅡ")하여 生産되었다. 이는 數字配列과 한글子音配列의 統一性을 破壞하고, 入力規則의 整合性을 깨뜨리는 結果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이렇게 變形된 字板配列은 初聲活用刑으로 活用이 不可能해진다.

나랏글 字板 [ 編輯 ]

1 2 3 ㅏㅓ
4 5 6 ㅗㅜ
7 8 9
* 劃追加 0 # 雙子音

過去 LG 피쳐폰에 있었다.

三星 基本 字板 中 하나.

劃追加, 雙子音 버튼을 눌러 入力하는 方式이다.

예:ㄱ에서 劃追加 市 ㅋ, ㄱ에서 雙子音 時 ㄲ

베가한글 II [ 編輯 ]

基本的으로 다음과 같은 키패드가 자리잡 있다.

1 ㄱㅋ 2 ㅣㅡ 3 ㅏㅑ
4 ㄷㅌ 5 ㄴㄹ 6 ㅓㅕ
7 ㅁㅅ 8 ㅂㅍ 9 ㅗㅛ
* ㅈㅊ 0 ㅇㅎ # ㅜㅠ

子音, 모음 모두 제자리打法으로서, 한 番 누를 境遇 그 키에 적혀 있는 첫 番째 字母가, 두 番 누를 境遇 그 키에 적혀 있는 두 番째 字母가 나온다. ㄱ(1)을 한 番 누르면 ㄱ이 나오고 두 番 누르면 ㅋ이 나오는 式이다. 다시 한 番 더 누르면 ㄲ이 나온다. *表와 #票 모두 字母를 割當하여, 單語方式 의 活用이 制限的이고, 餘分의 키가 없다.

過去 팬택 폰에서 使用하였다. 當時 名稱은 SKY 베가한글 II였다.

三星 基本 字板 中 하나

天地人 字板 [ 編輯 ]

1 2 3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 0 ㅇㅁ #

三星폰,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現在 피쳐폰에 利用되고 있다.

三星, 애플, 구글 基本 字板 中 하나.

入力 方式은 예:(ㄱ → ㅋ → ㄲ → ㄱ으로 되돌아감)

三星電子 : 天癡인 플러스 [ 編輯 ]
1 ㅣ 2 ㆍ 3 ㅡ
4 ㄱ 5 ㄴ 6 ㄷ
7 ㅂ 8 ㅅ 9 ㅈ
* 0 ㅇ ㅁ #

三星 基本 字板 中 하나

英語 [ 編輯 ]

美國 [ 編輯 ]

美國 携帶電話는 인터페이스, 文字 入力 部分에서 英語와 스페인語 等의 유럽어를 모두 支援한다.

一般 12키 키패드 [ 編輯 ]

12키 美國 携帶電話의 境遇 다음과 같은 키패드가 자리잡고 있다. 이는 ITU-T 標準 E.161 (=ISO/IEC 9995-8)를 基本으로 한 것이다. 元來 標準에는 空白(space)李 定義되지 않았고 1番과 0番에 알파벳이 割當되지 않았다. 1番과 0番에 割當되지 않은 것은 歷史的으로 다이얼 時代에 알파벳을 割當한 것에서 由來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0番은 交換臺 呼出(operater call), 1番은 가장 빠른 다이얼링때문에 緊急用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常用으로 Q, Z를 1番키에 割當한 모델도 있고, 0番키에 空白을 割當한 모델도 있다.

1 文章 符號 2 ABC 3 DEF
4 GHI 5 JKL 6 MNO
7 PQRS 8 TUV 9 WXYZ
* 大小文字 0 # 空白

1 키로 入力할 수 있는 文章 符號는 . @ ? ! - , &: ' / 열 가지이다. (其他 記號는 '記號( symbols )' 畵面에서 入力 可能하다.)

* 키로는 모두 小文字, 첫 글字만 大文字, 모두 大文字 이 세 모드를 決定할 수 있다. 모두 小文字( abc 또는 word 로 標示됨)는 現在 入力하고 있는 單語를 모두 小文字로 入力하며( the ), 첫 글字만 大文字( Abc 또는 Word 로 標示됨)는 現在 入力하고 있는 單語의 첫 글字만 大文字로 만들며( The ), 모두 大文字( ABC 또는 WORD 로 標示됨)는 現在 入力하고 있는 單語를 모두 大文字로 入力한다(THE).

크게 ABC 入力 모드( entry mode )와 WORD 入力 모드가 存在한다.

ABC 入力 모드 [ 編輯 ]

2를 한 番 누르면 A가 나오고, 두 番 누르면 B가 나오고, 세 番 누르면 C가 나오며, 네 番 누르면 2街 나오고 다섯 番 누르면 다시 A로 되돌아가는 式이다. (A → B → C → 2 → A → ···) 1秒 以上 反應이 없으면 다음 入力을 받기 위해 組合이 中斷된다. 卽 제자리打法 이며 英語로 multi-tap 이라고 부른다.

이 方法은 具現하기는 便利하지만 文字 入力이 성가시다는 短點이 있다.

一部 電話機에서는 a, a, æ 같은 文字까지 되는 境遇도 있다.(예:A → B → C → 2 → A → A → Æ → A → ···)

WORD 入力 모드(T-9 方式) [ 編輯 ]

ABC 入力 모드로는 文字 보내는 데 時間이 많이 들며, 같은 키를 共有하는 글字가 연달아 붙어 나오는 境遇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예: cabba ge, a dded , high l igh t )

WORD 入力 모드에서는 ABC 모드와는 달리 該當 글字가 屬하는 키를 한 番만 눌러 주면 된다. 그러면 携帶電話는 單語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單語들을 바탕으로 現在 들어온 키 入力으로 어떤 單語를 만들 수 있는지 檢査한 뒤, 該當 키 入力에 맞는 單語 하나를 出力한다. 例를 들어 23333을 入力하면 自動으로 added 라는 單語가 만들어지고, 4444를 入力하면 high 가 만들어진다. 이를 phoneword方式, predictive方式, 또는 常用으로 T-9 方式이라고도 부른다.

한 키 入力에 該當하는 單語가 여러 個일 境遇 0 키를 눌러 變換할 수 있다. 이는 日本語 IME에서 入力한 文字列(主로 가나)을 願하는 文字列(主로 漢字)로 變換하는 方式과 비슷하다. 例를 들어 單語 gone, good, home, hood 넷은 모두 4663이라는 똑같은 키 入力을 共有한다. 4663을 入力하면 good 이 먼저 뜨는데, gone 이나 home 을 入力하고 싶다면 該當 單語가 나타날 때까지 0 키를 눌러 주면 된다. (4663의 境遇 頻度에 따라 good, home, gone, hood 順序로 나온다.)

하지만 WORD 入力 모드의 特性上 現在 入力하고 있는 單語 文字列이 隨時로 바뀌기 때문에 使用者를 헷갈리게 하는 境遇가 種種 있다. 例를 들어 remember 라는 單語를 入力할 때 나타나는 文字列들은 다음과 같다.

7 s
73 re
736 pen
7363 send
73636 sendo
736362 rememb
7363623 remembe
73636237 remember

이 方法은 文字 入力에는 便利하지만 文字列이 키 入力에 따라 隨時로 바뀌어 使用者를 唐慌하게 하는 境遇가 種種 있고, 單語 데이터베이스가 必要하므로 具現하기 힘들다는 短點이 있다.

QWERTY 키패드 [ 編輯 ]

사이드킥(sidekick)과 같이 QWERTY 키패드를 가진 携帶電話의 境遇, QWERTY 字板 과 같은 形態의 키패드를 가지고 있어 ABC나 WORD 入力 모드와 같은 入力 모드가 必要 없다. 컴퓨터 QWERTY 字板을 치듯이 自然스럽게 入力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쇠 크기가 작아 손가락이 큰 사람은 키를 누르기 어렵다는 短點이 있다. Shift 키로 大文字를 入力하며, Symbols 키로 記號를 入力할 수 있다. 스마트폰 時代가 到來하여 스마트폰에는 12字板 뿐 아니라 쿼티 字板도 收錄하였다. 携帶電話의 쿼티字板은 單純히 컴퓨터 쿼티字板을 옮기는 것 以上의 어려운 問題이다. 携帶電話는 字板이 작고 손으로 잡아야 되므로 손가락의 自由度가 制限的이기 때문이다. 美國人들은 ABC나 WORD 方式들을 성가시게 생각하기 때문에 字板이 작아도 쿼티 字板을 選好한다고 한다.

w10 키보드 [ 編輯 ]

1 u 2 l 3 n
4 c 5 i 6 o
7 j 8 t 9 f
* 12

ㅅ라 0 - || # 空白

w10 키보드는 안드로이드폰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키보드이다. 이것은 劃으로 文字를 쓴다. u,l,n은 業 포지션, c,i,o는 센터 포지션, j,t,f,-는 다운 포지션이다. u,c,j는 왼쪽, l,i,t,-는 中間, n,o,f는 오른쪽이다. f는 單獨으로만 쓸 수 있으며, #은 空白으로 쓰며 * 한個의 餘分이 남는다. 쓰는 方法은 튜도리얼에 나와있다. 하지만 e가 없어 唐慌하는 境遇도 있는데 e는 -를 入力하면 된다. 大小文字 變更은 Aa라는 버튼이 있다. 例를 들어 大文字 f를 入力하고 싶으면 一旦 小文字 f를 친 뒤, Aa를 누르면 된다.

유럽의 言語 [ 編輯 ]

英文 키패드에 u , e, a , a, o , , @ 等이 收錄된 變形이 쓰인다.

스페인語 [ 編輯 ]

基本的으로 위에 羅列된 英語 入力 方式과 同一하나 英語에서는 쓰이지 않는 스페인語 固有의 로마字도 入力 可能하다.

一般 12키 키패드 携帶電話 ABC 入力 모드의 境遇 다음과 같은 順序로 動作한다.

  • 2: A → B → C → A → 2 → A → ···
  • 3: D → E → F → E → 3 → D → ···
  • 4: G → H → I → I → 4 → G → ···
  • 6: M → N → O → O N → 6 → M → ···
  • 8: T → U → V → U U → 8 → T → ···

PALABRA 入力 모드는 英語의 WORD 入力 모드에 該當하며, 英語에서와 똑같은 方式으로 動作한다. 英語 單語 데이터베이스 代身 스페인語 單語 데이터베이스를 쓴다는 것만 다르다.

사이드킥 形態 携帶電話의 境遇 U를 누르면 U와 U, U 中에서 하나를 고르라는 候補 對話 箱子가 뜬다. 왼쪽, 오른쪽 키를 눌러 願하는 文字를 選擇한 뒤 OK 키로 確定하면 選擇한 文字가 入力된다.

日本語 [ 編輯 ]

日本 [ 編輯 ]

日本 携帶電話에는 基本的으로 다음과 같은 키패드가 자리잡고 있다.

1 2 3
4 5 6
7 8 9
* ? ? 0
、。?
# 記?

1을 한 番 누르면 가, 두 番 누르면 가, 세 番 누르면 가, 네 番 누르면 가, 다섯 番 누르면 가 나오는 式이다. 濁點, 反託點은 * 키로 붙일 수 있다. 例를 들어 를 入力하려면 2를 눌러 를 入力하고 * 키를 누르면 된다.

가타카나 를 入力하기 위해서는 字板轉換을 한다.

中國語 [ 編輯 ]

中國 携帶電話는 英文字板을 漢語병음(英語 알파벳으로서 發音符號로 使用하는 것)의 알파벳으로 使用하여 word 方式(T-9)으로 入力한다.

各州 [ 編輯 ]

  1. 김국, 携帶機器 12 字板의 현대 한글과 옛 한글의 配列, 多國語情報處理 國際學術大會,2010
  2. 1988.11月 遞信部 電話機 規格書의 國內最初 한글키패드 標準 文書
  3. 김민겸한글, http://www.simplecode.net
  4. 한글 초성이의 世界, http://www.choseongi.com
  5. 김국, 한글 母音의 特性을 考慮한 字板의 機能性 入力 方法, 大寒人間工學會誌, 28卷 4號, 2009
  6. TTA, 標準化 評價를 위한 基準 頻度數 데이터, 1997
  7. 김흥규, 강범모, 고려대학교 民族文化硏究所, 한글 使用頻度의 分析, 1997
  8. KAIST 人工知能硏究센터, 1997
  9. 한글字素의 分類와 連續上官頻度, 大韓人間工學會, 21卷2號, 2002
  10. ETSI Standard, ETSI ES 202 130 V2.1.2 (2007-09), Human Factors (HF); User Interfaces; Character repertoires, orderings and assignments to the 12-key telephone keypad (for European languages and other languages used in Europe)
  11. 모바일 情報機器의 한글文字 字板配列, KS X 5020:2011
  12. 放送通信融合環境에서의 한글키패드 標準化 方向, 한국어정보학회, 12卷 2號, 2010
  13. 최인철,'携帶폰 文字 入力'의 모든 것을 말한다, 2003
  14. 'AT_S900' 使用者 매뉴얼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