回復 彈力性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回復彈力性 (resilience)은 크고 작은 多樣한 逆境과 試鍊과 失敗에 對한 認識을 跳躍의 발板으로 삼아 더 높이 뛰어 오를 수 있는 마음의 筋力을 意味한다. 心理學, 精神醫學, 看護學, 敎育學, 幼兒敎育, 社會學, 커뮤니케이션學, 經濟學 等 多樣한 分野에서 硏究되며, 克服力, 歎聲, 彈力性, 回復力 等으로 飜譯되기도 한다. 物體마다 歎聲이 다르듯이 사람에 따라 試鍊에 對한 彈性이 다르다. 逆境으로 因해 밑바닥까지 떨어졌다가도 强한 回復彈力性으로 되튀어 오르는 사람들은 大部分 元來 있었던 位置보다 더 높은 곳까지 올라갈 수 있다.

持續的인 發展을 이루거나 커다란 成就를 이뤄낸 個人이나 組織은 大部分 失敗나 逆境을 딛고 일어섰다는 點이 共通的이다. 不幸한 事件이나 逆境에 對해 意味를 어떻게 附與하고 認識하느냐에 따라 不幸해지거나 幸福해지는 岐路에 서게 된다. 또한 失敗나 逆境을 딛고 일어났다는 것은 自身에게 處해진 狀況을 肯定的으로 받아들이는 習慣을 構築하였음을 의미한다. 否定的으로 狀況을 認識한다면 感情的 에너지를 消費하게 되는데, 이 에너지를 問題解決에 對한 集中에 使用할 수 있다는 點에서 回復彈力性이 向上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回復彈力性이란 人生의 바닥에서 치고 올라올 수 있는 힘, 밑바닥까지 떨어져도 꿋꿋하게 되튀어오르는 非認知能力 或은 마음의 筋力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

硏究 歷史 [2] [ 編輯 ]

海外 硏究 歷史 [ 編輯 ]

Werner(1989)는 ‘resilience’라는 用語를 처음으로 紹介하면서 回復彈力性에 對한 硏究를 進行했다. 또한 Werner와 Smith(1992)의 Overcoming the odd: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는 回復彈力性을 처음으로 紹介한 出版된 冊이라는 評價를 받고 있다. 이 硏究는 하와이의 카우아이 섬에서 1955年에 出生한 505名을 對象으로 35年 동안 이루어졌으며, 幼年期의 가난과 遺傳的 健康 問題를 비롯한 다양한 삶의 逆境이 成人期에 미치는 影響과 成功的 成人이 되는 데 必要한 保護的 要素들을 分析했다. Werner와 Smith(1992)는 505名 中 72名에게 回復彈力性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들이 지니고 있었던 要因을 “氣質的 特性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과 “養育 環境 (caregiving environments)”으로 區分했다. 이들의 硏究는 回復彈力性이 先天的이면서 同時에 養育 環境에 依해서 後天的으로 開發 될수있는특성임을시사하고있다.

以後 神經科學 分野의 發達과 함께 Werner와 Smith(1992)가 提示하는 養育 環境 外에도 個人의 努力에 따라 回復彈力性의 開發이 可能하다고 主張하는 硏究들이 생겨났다. 特히 神經科學과 스트레스를 硏究 하는 HeartMath Institute(以下 HeartMath) 에서는 回復彈力性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技術들을 提示하고 있다(Childre, Martin, 1999). Reivich와 Shatte(2002)도 認知治療를 바탕으로 回復彈力性을 向上시키기 위한 7가지 技術을 提示하고 있다.

國內 硏究 歷史 [ 編輯 ]

우리나라에서 回復彈力性에 對한 硏究는 2014年 以後에 本格化되었다고 할 수 있다. RISS(2020)에서 ‘回復彈力性’을 檢索키워드로 했을 때 發行年度를 보면, 2010年까지는 10個 未滿의 論文이 檢索되며, 2011年에서 2013年까지는 50個 未滿의 論文이 檢索되고, 2014年 以後부터는 每해 100個 以上의 論文들이 檢索되고 있다. ‘主題分類’에서는 社會科學에서 194個로 第一 많았고, 技術科學이 54個로 다음으로 많았다. ‘學術誌名’에서는 100個의 學會誌에서 回復彈力性 關聯 論文이 揭載되었으며, 學習者中心敎科敎育硏究가 52個로 第一 많았고, 藝術人文社會融合멀티미디어 論文地, 人文社會21, 韓國産學技術學會 論文지가 各各 31個로 다음으로 많았다. ‘國內學術論文’에 限定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事實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回復彈力性 硏究의 推移를 確認할 수 있다.

回復彈力性에 對한 關心과 함께 回復 彈力性을 어떻게 測定할 것인가에 對한 硏究 亦是 同時에 增加하고 있다. RISS(2020)에서 ‘回復彈力性 測定’을 檢索키워드로 했을 때, 2014年 以後 關聯된 論文이 10個 以上 檢索되었으며, 2019年이 41個로 가장 많은 分布를 보였다. ‘主題分類’에서는 社會科學이 30個로 가장 많았고, 技術科學이 10個로 다음으로 많았다. ‘學術誌名’에서 亦是 學習 自重心敎科敎育硏究가 9個로 第一 많았고,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가 8個로 다음으로 많았다.

測定道具 [ 編輯 ]

回復彈力性 指數 KRQ-53 (Korean resilience quotient) [ 編輯 ]

모두 53個 問項으로 構成된 回復彈力性 指數는 스스로의 感情과 衝動을 잘 統制할 수 있는 自己調節力, 周邊사람과 健康한 人間關係를 맺을 수 있는 對人關係力, 肯定的 情緖를 誘發하는 習慣인 肯定性이라는 3가지 要素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는 各各 3가지 下位要素를 지녀 모두 9가지 要素로 構成된다. [3]

自己調節力 = 感情調節力 + 衝動統制力 + 原因分析力

對人關係力 = 疏通能力+ 共感能力 + 自我擴張力

肯定性 = 自我樂觀性 + 生活滿足度 + 感謝하기

回復彈力性 指數 KRQ-53은 統計 結果가 公開되어 있지 않다.

靑少年 回復彈力性 指數 [ 編輯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에 依해 開發되었으며 및 妥當度가 檢證되었다. [4]

要因救助는 KRQ-53과 一致하나 問項은 27個로 縮小되었으며, 確認的 要因分析을 實施한다.

CRI 回復彈力性檢事 [ 編輯 ]

CRI(Clinical Resilience Inventory)는 回復彈力性要因과 臨床要人을 함께 測定한다. [2] 回復彈力性要因에는 "忍耐力, 決定力, 統制力, 感謝力, 關係力, 支持力"李 있으며, 臨床要因에는 "无妄감, 憂鬱感, 自殺事故"가 있다.

探索的 要因分析과 確認的 要因分析을 實施한다. 相關分析 結果, 回復彈力性要因 間, 그리고 臨床要因 間에는 靜寂 相關이 있었으며, 回復彈力性要因과 臨床要任 間에는 符籍 相關이 나타났다. 臨床要因과 符籍 相關이 가장 큰 回復彈力性要因은 監査力이고, 두 番째는 決定力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金, 주환 (2011.3). 《回復彈力性》. 위즈덤하우스.  
  2. 金容民, 이효주 (2020). “臨床的 回復彈力性 尺度 開發 및 妥當化”. 《相談心理敎育福祉》 7 (3): 177-191.  
  3. 金, 주환 (2011.3.). 《回復彈力性》. 위즈덤하우스. 70-72쪽.  
  4.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 “回復彈力性 檢事 指數의 開發 및 妥當度 檢證”. 《韓國靑少年硏究》 20 (4): 10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