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互稱 祈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互稱 祈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呼稱祈禱 (라틴語: Litania)는 一種의 歎願祈禱로서, 司祭나 副題, 聖歌隊 等이 先唱하고 信者들이 應答하는 形態의 祈禱이다.

正義 [ 編輯 ]

呼稱祈禱(라틴語: Litania)는 一種의 歎願祈禱 [1] 로서, 司祭나 副題, 聖歌隊 等이 先唱하고 信者들이 應答하는 形態의 祈禱이다. 크게 두 가지의 形態가 있다.

  1. 先唱者가 여러 가지 歎願祈禱를 하면 固定된 祈禱로 應答하는 形態 [2]
  2. 先唱者가 先唱하는 內容을 그대로 反復하는 形態 [3]

歷史 [ 編輯 ]

  • 舊約聖書에 呼稱祈禱의 銓衡(詩篇 118, 136; 다니 3,51-90)李 드러난다.
  • 4世紀 東方敎會에서 始作되어 5世紀 末 로마에 傳해졌다.
  • 敎皇 젤라시오 1歲 (St.Gelasius, 492~496 在位)가 呼稱祈禱를 미사經文에 揷入했다. 行列이나 特別한 儀式 때 使用하였으며 르네상스 時代 以後에는 聖歌隊에 依해 노래로 바쳐지기 始作했다.

特徵 및 構造 [ 編輯 ]

  • 로마 前例 안에서 모든 行列, 復活聖夜 때의 洗禮禮式, 敍品式과 서원식, 임종경 等에 使用된다. 여러 種類가 있지만 共通의 構造를 지닌다.
  1. 三位一體 하느님께 祈禱를 드림,
  2. 특정한 主題에 맞는 歎願祈禱를 드림,
  3. 하느님의 어린羊 世上에 罪를 없애시는 主님(Agnus Dei)를 3番 反復,
  4. 歎願을 要約하는 짧은 祈禱로 끝남.


  • 應答形態로는 2가지가 있다.
  1. 하느님께 드리는 歎願 : 저희의 祈禱를 들어주소서, 저희를 求하소서
  2. 성모나 成人께 드리는 歎願 :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種類 [ 編輯 ]

普遍敎會 의 權威로 認可된 呼稱祈禱는 總 6個이다.

  1. 예수의 至極히 거룩한 이름 呼稱祈禱(Litaniae Sanctissimi Iesu) [4]
  2. 예수 聖心 呼稱祈禱(Litaniae de Sacratissimo Corde Iesu) [5]
  3. 聖血呼稱祈禱(Litaniae pretiosissimi Sanguinis Domini Nostri Iesu Christi) [6]
  4. 聖人互稱祈禱(Litaniae Sanctorm) [7]
  5. 聖母呼稱祈禱(Litaniae Lauretanae) [8]
  6. 聖 요셉 呼稱祈禱(Litaniae Sancti Ioseph) [9]

大使 [10] 關聯 [ 編輯 ]

第2次 바티칸 公議會 以後, 呼稱祈禱는 正式으로 大使 를 얻게 되어 每番 바쳐질 때마다 全大赦가 許諾되었다. 이 밖에도 臺詞는 얻지 못하나 敎皇에 依해 認可되어 國家別로 使用되는 100餘個의 呼稱祈禱가 있다.

다른 前例에서의 使用 [ 編輯 ]

  • 암브로시오 前例 : 絲蓴時期동안 每 主日에 大榮光頌 代身 呼稱祈禱를 드린다.
  • 東方敎會 前例 : 많은 呼稱祈禱가 使用되는데 特히 聖餐典禮에 使用하는 것이 그 特徵이다.
  • 聖公會 : 成人 呼稱祈禱가 없으나, 다른 呼稱祈禱가 아침祈禱의 끝祈禱로 使用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하느님께 어떤 좋은 것을 付託하거나 懇請하는 行爲.
  2. 예수여 우리의 祈禱를 들어주소서, 우리를 救하소서,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等
  3. 主님 慈悲를 베푸소서 等
  4. 總 51個의 呼稱. 예수님의 이름을 부름. 1866年 레오 13歲 敎皇이 認准함.
  5. http://maria.catholic.or.kr/mi_pr/prayer/prayer.asp?menu=prayer&pgubun=5&ingId=27 . 總 33個의 呼稱. 1718年 可敬者 안나 마들렌 레무짜의 祈禱에서 由來된 祈禱. 1899年 레오 13歲 敎皇이 認准함. 人間을 사랑하시는 하느님의 사랑의 여러 側面을 描寫한 祈禱.
  6. 總 24個의 呼稱. 1960年 요한 23歲 敎皇이 認准함. 至極히 高貴한 性穴 안에 계신 에數를 恭敬하기 위해 當時 예부성性에서 作成됨.
  7. 가장 오래된 互稱 祈禱의 模型. 代 그레고리오 敎皇이 만듬.
  8. http://maria.catholic.or.kr/mi_pr/prayer/prayer.asp?menu=prayer&pgubun=5&ingId=28
  9. http://maria.catholic.or.kr/mi_pr/prayer/prayer.asp?menu=prayer&pgubun=5&ingId=29 . 總 21個의 呼稱. 1909年 비오 10歲 敎皇이 認准함. 예수의 養아버지이신 요셉의 德行과 尊嚴性이 言及됨.
  10. 步速을 면해 주는 것. 一部를 없애주는 恩師를 限大赦, 全部를 없애주는 恩師를 全大赦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