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好굉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好굉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好굉 (胡宏, 1105年~1161年)는 中國 宋나라 의 儒學者이다. 者(字)는 人中(仁仲)이며, 푸젠성 숭안(崇安, 只今의 우이산 時 ) 出身이다. 南宋 初期에 戰亂을 避해 湖南省 으로 移徙했다가, 衡山 (衡山) 五峯(五峰)에 居處했다. 그래서, 五峯先生(五峰先生)이라 부른다. [1] 儒學者 胡安國 (胡安?)의 셋째 아들이다. 好굉은 過去 儒學 經典을 工夫해 人間 心性의 原理를 깨닫고 理想的인 社會制度를 찾으려 했다. 그는 (性)을 가장 重要한 萬物의 理致이자 天下의 根本이며 이(理)와 氣(氣)의 根源이라고 생각했다. [2]

生涯 [ 編輯 ]

어려서는 집안의 가르침을 받았고, 靑年 時節에는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工夫하다가 李霆(二程, 정호 , 情이 兄弟)의 學說에 마음을 기울였다. 스무 살이 되어 首都에 들어가 이정의 弟子인 양시 를 스승으로 모셨고, 이정의 다른 弟子 後四星에게 배웠다. 平生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當時 宰相 秦檜 가 벼슬을 주려 했으나, 好굉은 拒絶했다. 衡山에서 20餘 年 동안 講學하여, 護喪學派의 形成에 重要한 寄與를 했다. 護喪學派는 以後 朱熹 에게 커다란 影響을 끼친다. [3]

好굉의 時代에 道學 은 如前히 壓制를 받았으나, 好굉은 그에 屈하지 않았다. 그는 道學을 振興시키는 일을 自身의 任務로 삼았으며, 獨立的인 思想 體系를 樹立했다. 好굉은 “道學이 衰微해져서 敎化가 크게 어그러졌으니, 우리들은 마땅히 죽음으로써 自任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道學이 北送에서 南宋에서 發展해 가는 過程에서 好굉은 重要한 連結 고리 役割을 했다. [4]

好굉의 主要 著作은 《知言》(知言)이다.

護喪學派 [ 編輯 ]

好굉과 그의 아버지 胡安國 幅巾 에서 湖南 衡山(衡山)으로 居處를 옮기고, 碧天書院과 문정서원을 세워 理學을 硏究하고 人材를 모아 講學했다. 이렇게 理學을 積極的으로 傳播하면서 護喪學派(湖湘學派)를 形成했다. 이들 富者가 創始한 護喪學은 現實 克服 問題에 關心을 두었던 經世致用의 學問이다. 好굉은 “聖人의 道를 배워 그 體(體)를 얻으면 반드시 그 龍(用)을 얻는다. 體가 있으면서 龍이 없다면 異端과 어떤 分別이 있겠는가? 停戰, 封建, 學校, 軍制는 모두 聖人이 마음을 다해 쓸 것을 생각한 것 中의 큰 것이다.”라 하여 儒學의 道를 根本으로 하여 社會의 모든 領域에 實學精神을 體現하고자 하였다. [5]

各州 [ 編輯 ]

  1. 陳, 來 (1997年 12月 20日). 《松明 性理學》. 예문서원. 217쪽.  
  2. “好굉” . 《頭皮디아》. 두산 . 2017年 11月 8日에 確認함 .  
  3. 陳, 來 (1997年 12月 20日). 《松明 性理學》. 예문서원. 218쪽.  
  4. 陳, 來 (1997年 12月 20日). 《松明 性理學》. 예문서원. 219쪽.  
  5. 이영란 (2010年 10月). “淸末 湖南省 知識人과 湖湘學 繼承”. 《明淸史硏究》 24 : 18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