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헤이그 特使 事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헤이그 特使 事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헤이그 特使인 李儁 , 이상설 , 이위종
參加者 이상설 , 李儁 , 이위종 , 호머 헐버트
場所 네덜란드 네덜란드 (헤이그)
날짜 1907年
死亡者 李儁
原因 乙巳條約 이 大韓帝國 皇帝의 뜻에 反하여 日本 帝國 의 强壓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暴露하고 乙巳條約을 破棄하기 위함.
結果 日本의 高宗 强制 退位 純宗 卽位. 韓日新協約 締結.

헤이그 特使 事件 (海牙特使事件, 文化語 : 헤그 密使 事件)은 1907年 高宗 이 當時 改新敎 監理敎會 의 支援을 받아 祕密裏에 네덜란드 헤이그 에서 열린 第2回 萬國平和會議 에 參加하기 위한 特使로 情事 이상설 , 府使 李儁 , 通譯官 이위종 과 이들을 도울 호머 헐버트 [1] 를 派遣하였던 事件이다.

背景 [ 編輯 ]

1907年 高宗 네덜란드 헤이그 에서 러시아 帝國 니콜라이 2歲 가 召集하는 第2回 萬國 平和 會議 에 特使를 派遣하여 乙巳勒約 이 大韓帝國 皇帝의 뜻에 反하여 日本 帝國 의 强壓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暴露하고 乙巳勒約을 破棄 하고자했다. 헤이그特使는 萬國 平和 會議 乙巳勒約 不平等 條約 임을 알리기 위해 派遣되었다.

經過 [ 編輯 ]

高宗 1907年 4月 前 平理院 檢査 이준에게 信任狀과 러시아 皇帝 니콜라이 2歲 에게 보내는 親書를 주어 萬國平和會議 (正式 名稱은 헤이그 會談)에 나가 自主權을 侵害받는 大韓帝國 의 實相을 滿天下에 알리도록 措處했다. 그러나 이미 行政權限을 잃은 大韓帝國은 親書를 傳하였으나 네덜란드 헤이그까지 移動할 經費를 支援하지 못하였다.

李儁 金九 상동監理敎會 전덕기 牧師를 찾아가 祕密裏에 헤이그 特使 派遣의 計劃을 세우고, 特使의 移動 經路와 移動 經費와 活動 資金 마련을 始作하였다. 當時 서울 中心地에 있던 상동監理敎會 敎人을 主軸으로 周邊 鍾路 市場과 崇禮門 周邊 市場 商人들이 經費를 모으고, 當時 監理敎會 牧使였던 호머 헐버트 宣敎師를 包含하여 다른 宣敎師들과 상동監理敎會 의 支援을 합쳐 活動 資金을 마련하였다. 特히 헐버트 宣敎師는 特使에 對한 海外活動 支援과 日本에 對한 活用하여 第4의 特使라고 불리기도 한다.

以後 이준은 블라디보스토크 에서 前 議政府 參贊 이상설 을 만나 차석보 부르크 에 가서 前 러시아 公使館 參書官 이위종 과 合流한다.

6月 15日 , 第2次 萬國平和會議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開幕되었다. 6月 19日 그들은 베를린 에서 各國의 首席 代表에게 보내는 主張門(港告祀라고 불렀음)을 印刷한다. 6月 25日 이준, 李相卨, 이위종이 헤이그 에 到着했다.

또한 高宗 監理敎會 宣敎師인 호머 헐버트 牧師에게 헤이그 密使 派遣에 積極 支援하도록 密使活動을 密命을 통해 付託하였으며, 이 過程에서 헐버트 는 다른 監理敎會 宣敎師와 함께 日本帝國의 監視網을 避해 헤이그 特使가 無事히 헤이그에 到着하도록 하였으며, 일본제국이 大韓帝國 代表의 萬國 平和 會議 參席을 妨害 할 것을 直感한 호머 헐버트 스위스 프랑스 를 經由하면서 韓國 代表들이 會議 參席 不可能한 狀況에서 西方 言論社들과 接觸하도록 支援했다.

6月 28日 , 密使는 "港枯死"와 함께 文書를 日本을 除外한 會議 參加國委員會에 보낸다. 같은 날짜의 非公式 會議步 《 Courrier de la Conference 》 지에 "港枯死"가 揭載된다. 다음 날인 6月 29日 密使는 會議를 主宰한 러시아 帝國 首席 代表 넬리도프 伯爵(Aleksandr I.Nelidov)을 訪問하지만, 面會를 거절당한다. 6月 30日 , 美國, 英國, 프랑스, 獨逸 代表를 찾아 가지만 支援을 거부당한다. 7月 1日 會議 개최국인 네덜란드 外務 長官의 面會를 要求하지만 거절당한다. 이 時點에서 密使의 存在는 그들이 接觸한 列强 側에서 日本 側에 通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日本帝國 大英帝國 等의 妨害와 같은 帝國 들인 西歐의 傍觀으로 大韓帝國 代表들은 會議 參席과 發言을 거부당하고 말았다.

호머 헐버트 牧師는 헤이그에서 美國 의 言論人이었던 윌리엄 T. 스테드 와 처음 接觸하였다. 7月 8日 그의 周旋으로 韓國 代表들은 平和會議를 契機로 開催된 <國際主義財團>(Foundation for Internationalism) 集會에서 演說을 할 수 있는 機會를 얻게 되었다. 이위종 은 流暢한 프랑스語 , 英語 , 러시아語 實力으로 大韓帝國의 悲痛한 實情을 呼訴하는 《大韓帝國의 呼訴》( A plea for Korea )라는 題目의 이위종의 프랑스語 講演 外에 亦是 스테드의 斡旋으로 美國에서 韓國 獨立을 위해 活動하던 윤용구 와 美國人 宣敎師 호머 헐버트 博士가 英語로 乙巳勒約 의 不法性을 指摘하는 講演을 했다. 이들의 演說 內容은 世界 各國 言論 에 報道되어 注目을 끌었으나 大韓帝國의 處地를 불쌍히 여길 뿐 具體的인 成果를 얻지는 못했다. 7月 9日 , 오사카 마이니치 新聞 1面에 《大寒 措置 斷行할 時期-헤이그 韓人의 怪運動》이란 題目으로 日本 政府와 이토 히로부미 에게 嚴格한 對應을 促求하는 論說을 揭載했다.

7月 12日 , 이위종 이 상트페테부르크로 떠났다. 그리고 그 다음날인 7月 13日 , 이 날 他카이시 記者가 打電한 記事에서 이준이 얼굴에 惡性 腫氣가 나서 重態에 빠졌다고 報道했다. [2] 7月 14日 저녁, 投宿해 있던 드 龍 호텔 에서 이준이 死亡했다. 이틀 뒤인 7月 16日 鮧鱒을 假埋葬에 同伴했던 李相卨과 호텔의 主人이 參禮를 했다. 7月 18日 이위종이 상트페테르부르크 에서 헤이그로 돌아온다. 그리고 다음 날인 7月 19日 , 李相卨과 이위종이 런던으로 出發하기 위해 헤이그를 떠났다. 그後 뉴욕으로 向했고, 이날 헐버트가 뉴욕에 到着했다.

9月 6日 , 이준의 葬禮式이 열렸고, 이준의 동생과 大韓帝國의 外交官, 親舊, 헤이그 YMCA 會長 等이 參席을 했다. 10月 18日 , 第2次 萬國平和會議는 閉會되었다.

이준의 죽음 原因에 對해서는 아직까지 正確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火病에 依한 분私設’, ‘單獨 感染說’(日本 情報文書 記錄), ‘自殺說’, ‘毒殺說’, 等 여러 主張이 提起되고 있다. 大韓每日申報 는 이준이 割腹 自殺했다고 報道했는데, 이는 當時 大韓每日申報의 執筆이었던 梁起鐸이 신채호·베델과 함께 民族의 公憤을 이끌어내기 위해 意圖的으로 作成한 허구 記事였다.

日本은 萬國平和會議 首席代表로 派遣되어 있던 쓰즈키 케이로쿠(都筑馨六) 特命 全權 臺詞가 이 事件에 對應했다. 또한 오사카 마이니치 新聞 (大阪?日新聞)에서 派遣된 다카이시 申告로(高石?五?)는 連日 特派員 電氣로 現地의 情勢를 傳했다. 이때 打카이시는 日本人으로서 唯一하게 密使와 面談을 했다.

헤이그 特使의 高宗批判 [ 編輯 ]

이 當時 李瑋鍾은 演說에서 日本帝國뿐 아니라 高宗의 蠻行도 告發했었다.

長期執權으로 因한 腐敗, 過度한 稅金徵收와 苛酷한 行政에 허덕여왔던 韓國 國民과 政府는 哀願과 希望으로 日本人들을 歡迎하였다. 그 當時 韓國人들은 日本이 腐敗한 政府 官吏들을 嚴格히 處罰해 주고, 一般 百姓에게는 正義感을 북돋워 주고, 政府 當局의 政治?行政에 對해 眞實한 助言者가 되고, 韓國民들의 改革運動을 잘 引導해 줄 것으로 確信하였다. 日本人들은 거듭하여 그들의 韓國 進出은 그들 自身만의 利益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든 文明國들의 行爲와 마찬가지로 韓國의 門戶開放과 모든 百姓을 위한 機會均等의 保存을 鞏固히 하기위함이라고 極口 强調하였다(이위종) [3]

李瑋鍾은 美國과 프랑스에서 近代敎育을 받은 經歷이 있으며, 近代思想의 藻類들이 流行하는 時期에 靑年期를 보냈기 때문에 徹底한 勤王主義者인 李範晉보다 政治思想 面에서 進步된 모습을 보였다. 그는 1896年 7月 韓國을 떠날 때만 해도 父親의 影響으로 나이 어린 야무진 軍權主義者의 面貌를 지녔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1907年 7月 헤이그 國際協會에서 韓國獨立을 呼訴하는 演說을 했을 때에 大韓帝國의 長期執權으로 因한 腐敗, 過度한 稅金徵收, 苛酷한 行政 等으로 인해 人民이 苦生하고 있음을 認定했을 뿐더러 그러한 政治를 ‘舊體制下 政府의 殘酷한 政治’라는 말로 表現하였다. 이는 이위종이 高宗의 權威를 認定하면서도 高宗의 統治에 對해서 깊은 不滿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그는 1919年 8月에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國民들만이 美國人들처럼 私利私慾을 쫓지 않고 迫害받는 者들의 自由를 위해 眞情으로 鬪爭할 수 있다”며 美國의 資本主義體制를 批判하고 社會主義를 積極 支持하는 發言을 하였다. 이는 이위종의 政治思想이 軍權主義에서 民主主義를 거쳐 社會主義로 轉換해 갔음을 나타내 준다고 생각한다 [4]

結果 [ 編輯 ]

이 事件을 빌미로 日本 은 高宗을 强制로 退位시키고 7月 20日 양위식 을 强行하였다. 이어서 純宗 이 卽位하고 4日 後 韓日新協約 이 締結되었으며, 얼마 後에는 大韓帝國 軍隊가 解散됐다. 이것도 모자라 日本은 헤이그 特使의 責任을 물어 闕席 裁判을 열고 이위종 과 (이미 죽은) 이준에게 終身刑을 言渡했으며, 이상설 에게는 死刑을 宣告했다. 이 때문에 이상설 이위종 은 죽을 때까지 故國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김삼웅 (1995年 7月 1日). 《親日政治 100年史》. 서울: 東風. 59쪽. ISBN   978-89-86072-03-7 .  

各州 [ 編輯 ]

  1. 高宗이 直接 헐버트에게 密命을 보냈다.
  2. 「密使の一人李儁は重病」大阪?日新聞、明治40年7月15日
  3. 오영섭. (2007). 이위종의 生涯와 獨立運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15-16
  4. 오영섭. (2007). 이위종의 生涯와 獨立運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9, 43-4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