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해파리綱
Chrysaora quinquecirrha
Chrysaora quinquecirrha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刺胞動物文
衙門: 해파리衙門
(Medusozoa)
Petersen, 1979

해파리 해파리衙門 ( 英語 : Medusozoa )에 屬하는 無脊椎動物 의 總稱이다. 해파리는 콩보다 작은 것부터 지름이 2m 以上에 이르기까지 種類가 다양한데, 네 個의 목과 約 200 餘種이 여기에 屬한다. 全 世界에서 出現한다.

聖體 몸의 94~98%는 로 이루어져 있다. 또, 해파리를 이루는 두 세포층 사이에는 젤리 같은 物質이 차 있으며, 이 物質은 깨지기 쉬운 體壁을 支撐하는 一種의 [骨格] 役割을 하며, 물 속에서 해파리가 浮力 을 維持할 수 있게 한다. 해파리는 종이 雨傘 模樣의 방울이나 덩굴性 觸手를 가진 柔軟性 海洋動物이다. 해파리는 大部分 움직이며 生活하지만 海底에 固定되어 살아가는 해파리도 있다. 입이 들어 있는 짧은 管이 가운데에 마치 처럼 달려 있으며, 이 棺의 가장자리에는 구엽이라고 하는 주름裝飾 네 個가 달린 突起들이 나와 있다. 또한 다른 突起들은 몸의 가장자리에 매달려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다. 一般的으로 크기가 待接만하며 軟한 朱黃色 , 紫朱色 , 푸른色 , 그 밖의 여러 色깔을 띤다. 大部分의 種은 燭數 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姿勢砲로 武裝하고 있어 捕食者로부터 防禦하거나 먹이를 잡는 데 使用한다. 그러나 近口海파리目 (Rhizostomae)과 같이 觸手를 가지지 않는 境遇도 있다.

해파리는 몸을 활짝 벌렸다가 재빨리 안쪽으로 오므리면서 헤엄친다. 그러다 움직임을 멈추면 바다 바닥으로 가라앉는데, 가라앉는 동안 觸鬚와 구엽에 부딪치는 작은 動物들을 잡는다. 觸鬚와 구엽에는 刺胞가 있는데, 者砲로 微細한 이 있는 실을 쏘아 動物 痲醉 시킨 後 입으로 삼킨다.

해파리는 을 낳아 繁殖한다. 은 微細한 폴립으로 發達하는데, 이 폴립은 바다 바닥에 몸을 附着시킨다. 여기서 出芽라는 方法으로 해파리가 나온다. 또한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폴립에서 떨어져 나가 聖體로 자라서 플라눌라 幼蟲이 된다. 어떤 해파리는 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 그 에 쏘이면 苦痛 을 느끼거나, 甚하면 死亡 하기도 한다. 해파리는 적합한 條件이 되면 大軍을 形成해, 漁網에 그물을 쳐 漁具의 損傷의 原因이 되고, 海水를 퍼내는 發電所나 淡水化 플랜트의 冷却 시스템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해파리는 身體 一部가 잘리면 再生하기도 하는데, 現在까지 알려진 바로는 再生力에 限界가 없어 人間과 比較할 수 없을만큼 오래 살 수 있다고 한다. 이 再生力엔 한가지 祕密이 있는데 바로 再生을 할 때 '對稱性'의 條件을 맞춘다는 것이다. 해파리는 잘린 다리를 再生하기 前 그 다리의 길이와 맞추기 위해 다른 다리 筋肉을 縮小시킨다. 어린 해파리든 聖體 해파리든 움직이고 먹이 사냥을 하기 위해선 몸의 均衡이 맞아야하기 때문이다. 生物學者 人 '마이클 에이브럼스' 外 同僚 科學者 들이 이 性質을 偶然히 發見했다고 한다. 에이브리엄 博士課程의 指導敎授인 '高엔토로'는 이는 해파리가 自家治癒하는 重要한 方式이며 再生 作用의 原理를 硏究하는 科學者들에게도 有用한 事例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해파리는 捕食者에 먹히지 않는 以上,永遠히 살수 있다고 알려졌다.

키兒네아 카필라打 (韓國語: 獅子갈기해파리 )는 世上에서 가장 크고 긴 해파리로 알려져 있다. [1] [2] [3]

해부 救助 [ 編輯 ]

꽃帽子해파리 (Olindias formosa)의 斷面으로, 메두사(medusa) 段階의 해파리를 解剖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이름 [ 編輯 ]

1796年부터 使用된 해파리라는 이름은 傳統的으로 해파리衙門과 빗模樣 해파리를 包含한 모든 비슷한 動物에 適用되었다. 해파리라는 用語는 最近 公共 水族館에서 조개類, 甲殼類, 불가사리 等도 脊椎動物은 아니지만, 등뼈가 있는 動物을 現代的으로 含蓄하여 "물고기"라는 單語를 使用하지 않기 위해 導入되었다. 科學 文獻에서, "젤리"와 "젤리피쉬"는 서로 交換해서 使用되어 왔다. 많은 소스들은 오직 해파리綱만을 "眞正한 해파리"라고 부른다.


해파리의 무리는 '스幕'이라고 불린다.

生涯 週期 [ 編輯 ]

해파리는 複雜한 生涯週期를 가지며 有性生殖과 無性生殖의 두 段階가 있다. 大槪의 境遇 有性生殖 段階이며 受精卵이 프라눌라에로 成長하여 폴립이 되어 싹을 틔우고 聖體의 해파리로 成長한다. 種에 따라서는 어떤 段階를 省略할 수 있다.


해파리는 聖體에 到達하고 充分한 食糧이 있으면 定期的으로 産卵한다. 大部分의 종들의 産卵은 빛에 影響을 받기 때문에 거의 같은 時刻에 産卵한다. 散亂은 大部分 새벽이나 黃昏에 이뤄진다. 大部分 成體는 精子와 卵子를 周圍 물속으로 放出하고 여기서 無防備된 卵子는 修正해 애벌레가 된다. 一部 種에서는 精子가 암컷의 입속으로 들어가고 體內의 卵子를 修正시키기도 한다.


플라눌라는 纖毛로 뒤덮인 작은 애벌레이다. 充分히 發達하면 단단한 表面으로 가라앉아 용종이 된다. 腫瘍은 大槪 위로 向한 觸手 模樣을 한 입 끝에 작은 줄기로 이루어진다. 이 용종은 말미잘, 珊瑚 等 가까운 動物들의 용종을 닮았다. 해파리 용종은 海底나 보트 船體 그 밖의 氣質에 浮遊하거나 작은 플랑크톤에 附着하거나 물고기나 其他 無脊椎 動物에 附着되祈禱 한다. 大部分의 폴립의 지름은 밀리미터로 작으며, 폴립의 期間은 해파리마다 다르다.


時間이 지나 季節的 또는 호르몬적 變化에 依해 刺戟받은 後 용종은 出芽를 통해 無性生殖을 始作할 수 있다. 싹이 트면 보다 많은 大胸廓이 생긴다. 出芽 部位는 種에 따라 다르며 觸手區, 鼻腔(입 位), 水生 動物의 生殖腺 等이 있다. ‘Strobilization’이라 불리는 性轉換 過程에서 폴립의 觸手가 再吸收되면서 몸이 좁아지기 始作하고 폴립의 上段 附近 여러 곳에서 가로方向의 狹窄이 形成된다. 이러한 領域은 收縮 部位가 體內를 移動하고 에필라 剝離라고 불리는 部分이 分離됨에 따라 깊어진다.

食用 [ 編輯 ]

해파리冷菜

近口해파리 에 屬하는 해파리류의 해파리는 飮食으로 利用할 수 있다. 85個種 가운데 約 12種이 飼育되어 國際 市場에 팔린다. 그 가운데 大部分은 東南아시아에서 들여온다. [4] 特히 中國에서는 숲뿌리해파리 (Rhopilema esculentum)가, 美國에서는 大型 해파리 (Stomolophus meleagris)가 選好된다. 그 까닭은 몸집이 크고 단단하고 毒性이 사람에게는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5]

아시아에서 해파리는 食用으로 쓰이며, 韓國에서는 主로 ‘해파리冷菜’로 먹는다.

被害 [ 編輯 ]

  • 2007年 北아일랜드에서는 해파리가 數十km 2 의 海域을 뒤덮은 탓에 養殖하던 鰱魚 10萬 마리가 窒息해 斃死하였다. 大韓民國에서도 해파리의 大量 增殖으로 漁業의 被害가 이어지는 等 世界 곳곳에서 해파리로 因한 被害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數가 增加한 해파리가 全 世界 바다를 占領할 거라는 '해파리 支配설'李 登場해 힘을 받았다. 그러나 2012年 2月 科學學術誌 네이처 의 記事를 통해 世界해파리그룹(GJG) 硏究陣은 해파리는 아직 充分히 硏究되지 않았으며, 해파리 支配說은 科學的인 根據가 없다고 主張했다. 하지만 이 主張에서도 韓半島와 日本 沿岸은 例外로 두었다. [6] 이 地域은 溫暖化 로 世界 氣溫이 平均 0.24度 오른 것과 다르게 1.7度나 올랐고 無分別한 漁獲으로 인한 어린 물고기 數의 減少와 汚廢水 增加가 溶存酸素量이 4ppm 以上 돼야 살 수 있는 他 魚類와 달리 1ppm만 돼도 살 수 있는 해파리에게 유리해져 바다 生態系의 빈자리가 많아짐에 따라 해파리의 增殖에 좋은 條件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6]
  • 韓國의 한 海邊에서는 地球溫暖化로 因해 해파리들이 몰려들었고, 海水浴을 즐기던 한 利用客이 해파리에 쏘인 事件도 있었다.

寫眞帖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Waterford Today - Rare sighting of a lion’s mane jellyfish in Tramore Bay” . 2007年 11月 1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8月 25日에 確認함 .  
  2. http://www.jellyfishfacts.net/mane-jellyfish.htm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 Lion’s Mane Jellyfish - Reference Library - redOrbit
  4. Omori, M. and E. Nakano, 2001. Jellyfish fisheries in southeast Asia. Hydrobiologia 451: 19-26.
  5. Y-H. Peggy Hsieh, Fui-Ming Leong, and Jack Rudloe (2004). "Jellyfish as food". Hydrobiologia 451 (1-3): 11?17. doi:10.1023/A:1011875720415
  6. 해파리떼 出沒 頻發… 韓半島 바닷가 占領하나 Archived 2012年 3月 17日 - 웨이백 머신 변태섭《韓國日報》2012-02-12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