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馬 (動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海馬속
해마, Hippocampus haema
海馬, Hippocampus haema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早期語江
亞綱: 新기어亞綱
下降: 眞骨語下降
上木: 克己像목
목: 실고기木
과: 실고기科
속: 海馬속 ( Hippocampus )
Rafinesque, 1810 [1]
빅벨리海馬, Hippocampus abdominalis
바버리海馬, Hippocampus barbouri
레이디海馬, Hippocampus reidi
피그미海馬, Hippocampus bargibanti

大韓民國 바다에서 사는 海馬 (海馬)란 名稱은 넓은 意味로는 실고기科 에 屬하는 海馬속 ( 英語 : seahorse 또는 Hippocampus ) 魚類 의 總稱, 좁은 意味로는 韓國海域 特히 獨島에 發見되는 海馬속 魚類의 代表種인 海馬 ( 英語 : Korean seahorse 또는 Hippocampus haema )를 指稱한다. "Hippocampus"는 古代 그리스어 로 " "을 뜻하는 "Hippo"와 "바다 怪物"을 뜻하는 "Kampos"에서 由來되었다. [2] 몸길이는 2cm 以下에서 35cm를 넘는 等 種마다 길이가 다양하며, 몸빛은 環境에 따라 華麗色색에서 收受限色으로 多樣한 保護色을 띤다. 全 世界에 46種이 있다. [3] [4] [5] [6] 비늘이 없으며, 몸이 骨板으로 덮이고, 머리는 말 머리 비슷하다. 입은 管 模樣으로 작은 動物을 빨아들여 먹는다. 꼬리는 길고 柔軟하여 다른 物體를 감아쥘 수 있다. 어린 海馬는 흔히 서로 꼬리를 묶어 작은 무리를 짓는다. 큰 부레가 있어서 一定한 水深에 머무를 수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를 利用하여 느리게 헤엄친다. 가슴지느러미는 머리의 兩쪽에 붙어 있어서 한 雙의 귀처럼 보인다. 수컷에는 育兒囊이 있어서 암컷이 낳은 알을 넣어 孵化시킨다. 歷史的으로 東아시아 ( 韓國 , 中國 , 日本 )에서는 해마류를 韓方材料 또는 安山符籍으로 쓰였고, 西洋에서도 治療劑, 蒐集品으로 말려서 保管한 記錄이 있다. 오늘날 中國에서는 食材料와 韓方材料로써, 東西洋에서는 海馬特有의 特異한 모습 때문에 觀賞用으로 所要되고 있다. [7] [4] [8] [9] 머리가 몸에 直角으로 달려있고 몸은 두껍고 꼬리는 物體를 휘감기 쉽게 생겼다.

分布 [ 編輯 ]

海馬속 魚類는 全世界의 約 北緯 45度에서부터 南緯 45度에서까지의 바다에 分布하며 熱帶의 얕은 바다에 主로 살지만 溫帶 바다에서 사는 種類도 있다. 海馬는 水流, 海藻 , 河口 , 珊瑚礁 , 紅樹林 , 맹그로브 等에서 살기도 한다. 過去 몇몇 報告된 種으로부터 민물에서도 棲息하는 민물海馬로써 報告가 된 적이 있었으나, 이들 種의 記錄 自體가 海馬가 아니라 親姻戚의 실고기類 等으로 判明되는 等, 不明確하여 민물棲息은 認定하지 않고 바닷물고기로만 取扱된다. [3] [7] 2011年 英國 템스江 中部에 H. hippocampus 의 유어(새끼물고기)가 發見된 事例처럼 海馬가 민물에 棲息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10] 이러한 江에서 發見되는 것들은 環境이 期數 環境이기 때문에 結局 鹽分이 要求되는 것으로 判斷된다. 韓國에서는 모자반 잘避 海藻 海草 에 숨어지내는 것으로 確認되고 있다. [11] [12] [13] [4] 이 곳에 사는 海馬의 수컷은 棲息地의 1m²萬 머물러 사는데 反해, 암컷은 100倍 以上을 헤엄쳐 다닌다. 韓國에서는 現在 海馬( H. haema ), 珊瑚海馬( H. mohnikei ), 복海馬( H. kuda ), 가시海馬( H. histrix ), 點海馬( H. trimaculatus ) 5種이 報告가 되어 있고, 日本에서는 H. bargibanti , H. coronatus , H. kelloggi , H. sindonis, H. japapigu 들로 앞서 5種과 더불어 5種이 追加로 發見된다. [4] [6] 韓國海域에서는 大部分의 海馬종들이 南海에 局限되어 發見되지만, 珊瑚海馬( H. mohnikei )는 唯一하게 모든 韓國海域( 東海 , 西海 , 南海 , 濟州道 )에서 發見된다. [14] 海外分布의 例로는 北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까지 이르는 太平洋 海域에서는 4種의 海馬가 發見된다. 大西洋에 棲息하는 Hippocampus erectus 는 노바스코샤 (캐나다의 東쪽 끝脂肪)에서부터 우루과이까지 發見되면서 넓은 棲息地에 사는게 確認됐다. 난쟁이해마로 알려진 H. zosterae 란 작은 海馬는 바하마에서 發見된다. 유럽 地中海에는 H. guttulatus , H. hippocampus , H. fuscus 等 3種이 棲息한다.

생김새 [ 編輯 ]

海馬의 크기는 通商 1.5~35.5cm이다. 海馬는 구부러진 목과 긴 주둥이 그리고 獨特한 몸통과 꼬리를 가지고 있다. 硬骨魚(단단한 骨格에 얇은 비늘이 있는 물고기) 이지만 비늘 代身 몸全體에 고리模樣으로 配列된 外骨格 위에 얇은 皮膚가 덮고 있다. 各各의 種마다 뚜렷한 數의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 고리의 模樣에는 差異가 있다. 또한 이 外骨格으로 捕食者로부터 自身을 保護 하는데 이 外骨格 때문에 다른 갈비뼈는 갖고 있지 않다. 海馬는 등지느러미를 利用하여 똑바로 서서 헤엄을 치는데, 이는 水平으로 헤엄치는 가까운 물고기들과는 다른 特徵 中 하나이다. 눈 뒤쪽에 있는 양 가슴지느러미는 헤엄칠 때 方向 調節에 使用된다. 그들은 물고기 特有의 꼬리 지느러미가 없기 때문에 꼬리는 어딘가에 매달릴 수 있는 形態로 돼 있다. 海馬의 物件을 집을 수 있는 꼬리는 極限의 狀況에 處했을 때만 풀 수 있는 正四角形 模樣의 고리들로 構成돼 있다. 海馬는 僞裝術에 能熟하며, 棲息地에 따라 1, 4, 7, 11(또는 10)番째 몸통可視(trunk spine)와 이와 비슷한 間隔의 꼬리可視(tail spine)에 나뭇가지 形態의 附屬肢(appendage, skin filament)를 기르거나 再吸收 할 수 있다. 海馬는 물고기들 사이에서 特異하게 柔軟하고 輪廓이 分明한 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머리 위에 王冠 같은 큰 突起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精管(coronet)" 이라고 불린다. 또한 이 定款이 各 種마다 생김새가 달라 種種 分類形質로도 使用된다.

海馬는 등지느러미를 빠르게 펄럭이며 가슴지느러미로 헤엄을 치는데 헤엄을 잘 못치는 便이다. 世界에서 가장 느리게 움직이는 물고기中 하나인 ' H. zosterae (난쟁이海馬)'는 最高速度가 時速 約 1.5m이다. 海馬는 水泳을 잘 못하기 때문에, 靜止해 있는 物體에 꼬리를 감아 休息을 取하는 채로 發見될 確率이 높다. 海馬는 먹이를 빨아먹을 수 있는 긴 주둥이가 있고 눈은 카멜레온처럼 서로 獨立的으로 움직일 수 있다.

進化와 化石의 歷史 [ 編輯 ]

分子, 物理的, 遺傳的 證據에 依해 海馬는 高度로 變形된 실고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海馬의 化石記錄을 보면 記錄이 매우 적고 稀薄하다. 가장 有名한 化石은 約 300萬年 前 이탈리아 리미니 地方의 마레齒牙 江에서 發見된 Hippocampus guttulatus 의 標本이다. 가장 먼저 알려진 海馬 化石은 約 1,300萬 年 前 슬로베니아에 있는 미오세네 라거스테테트(Miocene Laggerstatte)의 툰遲滯 언덕의 코프로롤리틱 地平線에서 發見된 H. sarmaticus H. slovenicus 이 두種의 물고기이다. 分子 連帶 測定 結果 올리고세(新生代 第 3機中 3番째)後期에 실고기와 海馬가 갈려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海馬가 얕고 넓은 地域에 有利하게 進化했다는 推測으로 이어졌고, 이는 서태평양에서의 地殼變動의 結果로도 連結됐다. 얕은 물은 海馬가 僞裝하기 쉬운 海草의 棲息地이기 때문에 海馬가 살아갈 수 있다. 2016年, 네이처에 發表된 한 硏究는 海馬 게놈이 只今까지 硏究된 것 中 가장 빠르게 進化하는 물고기 게놈이라는 것을 發見했다.

生殖 [ 編輯 ]

參考 項目: 動物性行動 海馬

수컷 海馬는 꼬리의 腹部나 正面에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짝짓기 時에 암컷 海馬는 수컷의 새끼주머니에 1,500個의 알을 넣는다. 수컷은 海馬가 完全히 成長할 때까지 9日에서 45日 동안 알을 품고 다니며 새끼들을 배에서 내보내고 繁殖期 동안 며칠 안에 다시 짝짓기를 한다.

求愛行爲 [ 編輯 ]

繁殖하기 前에 海馬는 며칠 동안 求愛行動을 한다. 科學者들은 求愛行動이 動物의 움직임과 生殖 狀態를 同期化 시켜서 암컷이 알을 낳을 準備가 됐을 때 수컷이 알을 받을 수 있게 한다고 推定하고 있다.

이 期間 동안 海馬는 몸의 色을 바꿔 視線을 끌거나 꼬리를 서로 잡고 나란히 헤엄치기도 하며 또한 같은 海草 줄기에 매달리거나 'predawn dance'라는 行動을 한다. 約 8時間 동안 求愛의 춤을 추는 동안 수컷은 새끼주머니를 통해 물을 뿜어내면서 自身의 새끼주머니가 準備됐다는 것을 암컷에게 보인다. 암컷의 알이 準備 되면 둘은 바다 풀밭에서 주둥이를 따라 위로 떠내려간다. 이 때 螺旋形으로 움직이며 種種 소용돌이를 치기도 한다. 이들 海馬 한雙은 求愛를 연상시키면서 6分間 交感한 後, 그 後에 암컷은 다음날 아침까지 수컷 周圍에서 헤엄치고 수컷은 주둥이를 通해 먹이를 빨아들인다. 암컷은 수컷의 새끼주머니에 卵巢를 揷入하고 數十에서 數千 個의 알을 넣는다. 암컷이 수컷의 알주머니에 알을 낳으면 수컷은 알로 인해 몸이 붓고 암컷은 몸의 부피가 줄어든다. 그리고나서 수컷 海馬는 바다 풀밭 속으로 가라앉고, 암컷 海馬는 헤엄쳐 간다.

求愛 順序 [ 編輯 ]

海馬는 뚜렷하게 네 가지 段階의 求愛 過程을 보여준다. 첫 番째 求愛 段階인 1段階는 一般的으로 身體的인 交際 하루나 이틀 前 이른 아침에 일어난다. 이 段階에서 맺어진 두 海馬는 번갈아 가며 몸을 떨며 自體 振動을 일으킨다. 2段階에는 'female pointing'이라고 하는 암컷의 行動이며, 암컷이 머리를 들어 몸과 비스듬한 角度를 形成한다. 3段階에서는 수컷이 암컷의 行動에 對한 反應으로 同一한 行動을 한다. 以後 마지막에는 수컷과 암컷이 물기둥을 타 위로 올라간 後 中搜交合을 하게 되며 이 過程에서 암컷은 自身의 알을 수컷의 주머니에 直接 옮겨 담는다.

1段階: 求愛初期 [ 編輯 ]

이 初期 求愛 行爲는 求愛日 새벽부터 交際일까지 30分 後에 일어난다. 이 段階 동안 수컷과 암컷은 밤 동안 떨어지지만 새벽녘이 지나면 나란히 앉아 밝게 빛나며 約 2分에서 38分 동안 求愛 行動을 한다. 먼저 수컷이 암컷에게 다가가 몸을 떨고 色을 밝게 만듦으로써 求愛行動이 始作된다. 암컷은 約 5秒 後에 이를 따라 몸을 떨고 色을 밝게 만든다. 1段階 동안 두 海馬의 꼬리는 서로 1cm 以內에서 같은 位置에 固定 시키고 바깥쪽으로 몸을 기울인다. 이때 암컷은 꼬리를 固定 시킨 位置 周圍를 돌게 된다.

2段階: 몸을 펴고 펌핑 [ 編輯 ]

이 段階는 암컷이 自身의 머리를 세우면서 始作하는데 이 때 수컷은 몸을 기울이면서 同時에 몸을 떨며 펌핑 動作을 한다. 이 段階는 最大 54分 동안 持續될 수 있고, 이 過程 동안 海馬는 求愛의 行動을 하지 않고 암컷의 몸도 밝게 빛나지 않는다.

3段階: 位置 指定 [ 編輯 ]

이 段階는 몸이 밝아진 암컷이 位置를 가리키면서 始作된다. 수컷들은 自身의 몸을 밝히고 곧게 세우면서 反應한다. 이는 普通 9分동안 持續되며 求愛 中에 1~6番 發生할 수가 있다.

마지막 段階: 上昇 및 結合 [ 編輯 ]

마지막 求愛 段階에는 5~8回의 求愛 段階가 包含된다. 各 求愛의 段階에서는 수컷과 암컷이 約 3cm 間隔으로 같은 植物에 碇泊하는 것으로 始作한다. 普通 두 海馬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以前 段階부터 몸을 밝게 빛낸다. 첫 番째 段階 동안, 마주 보는 動作을 따라 海馬는 2~13cm 의 높이로 함께 올라간다. 마지막 上昇 段階 동안 암컷은 卵母細胞를 揷入하고 수컷의 주머니의 구멍을 통해 알을 傳達한다.

修正 [ 編輯 ]

修正이 進行되는 동안, 수컷의 알 주머니는 單 6秒 동안만 열린다. 이 期間 동안 바닷물이 精子와 알이 만나는 주머니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環境은 精子의 活性化와 運動性을 促進시킨다. 따라서 海馬의 修正은 物理的으로 內部의 環境에서 進行되지만 生理的으로는 外部로 看做된다. 이러한 形態의 修正은 수컷들 사이의 亭子 競爭을 감소시킨다고 여겨진다.

妊娠 [ 編輯 ]

受精卵은 주머니 壁에 박혀 스펀지 같은 組織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컷은 妊娠한 哺乳類에서 牛乳 生産을 擔當하는 것과 同一한 호르몬인 '프로락틴'을 알에 供給한다. 이 주머니는 酸素와 만나지 않는 環境인 인큐베이터 役割을 한다. 알의 노른자가 發達하는 胚芽에 營養分을 提供하지만 수컷 海馬는 胚芽가 그들의 骨格系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에너지가 豐富한 地質과 칼슘 같은 追加的인 營養分을 胚芽가 吸收할 수 있도록 하는 培養 주머니로 分泌한다. 또한 免疫學的 保護, 渗透壓, 가스 交換 및 廢棄物 運搬도 提供한다. 그리고 나서 알들은 주머니에서 孵化하는데, 이 주머니에서 물의 鹽度가 調節되고 이는 新生兒들이 바다에서 살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大部分의 암컷 海馬는 2週에서 4週 間의 妊娠 期間 내내, 아침 人事를 위해 수컷 海馬에게 訪問한다.

誕生 [ 編輯 ]

수컷 海馬가 새끼를 낳는 個體 數는 大部分의 種에서 平均 100~1,000마리이지만, 어떤 종들은 5마리를 낳기도 하고 2,500마리까지 낳기도 한다. 稚魚가 태어날 準備가 되면 수컷은 筋肉 收縮을 통해 稚魚를 내보낸다. 海馬는 普通 밤에 出産하고 암컷이 돌아오면 아침까지 다음 알을 낳을 準備를 한다. 거의 모든 다른 魚種과 마찬가지로, 海馬는 出生 後에 새끼를 기르지 않는다. 새끼 海馬들은 銳敏한 身體에 비해 極端的인 溫度로 가는 海流에 휩쓸리기 쉽고 捕食者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태어난 幼兒의 0.5% 未滿만이 聖體로 成長한다. 이 生存率은 다른 물고기에 비해 相當히 높은 便인데, 이는 수컷 海馬의 품속에서 孕胎되어 保護되다가 孵化하기 때문이다. 다른 물고기의 알들은 大部分 受精 直後 바로 體外로 버려진다.

生殖 役割 [ 編輯 ]

繁殖은 수컷에게 많이 힘든 行爲이지만 大部分의 生物과 다르게 왜 海馬는 性的인 役割에 反轉이 있는지에 對해서는 如前히 疑問이 提起된다. 한 파트너가 다른 파트너보다 더 많은 에너지 費用을 負擔하는 環境에서 베이트먼(Bateman)의 原則은 寄與度가 낮은 쪽이 普通 攻擊者의 役割을 맡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수컷 海馬는 더 攻擊的이고 때로는 女性의 關心을 끌기 위해 싸우기도 한다. 世界環境保護 非營利團體 프로젝트 市호스(Project Seahorse)의 團體長이자 代表硏究者인 아만다 빈센트 敎授(Prof. Amanda Vincent)에 따르면, 오직 수컷들만이 꼬리를 흔들면서 서로의 머리를 툭툭 부딪힌다고 한다. 이러한 端緖를 바탕으로 수컷의 에너지 機會費用에 對한 追加的인 硏究들이 進行되었으며, 以後 암컷의 直接的인 寄與度를 推定하기 위해 硏究員들은 各 알에 貯藏된 에너지를 化學的으로 分析을 進行했고, 또한 수컷의 負擔을 測定하기 위해 酸素 消費量을 測定했다. 그 結果 潛伏期가 끝날 때쯤 수컷은 짝짓기 前보다 거의 33% 더 많은 酸素를 消費하는 것이 確認되었다. 그리고 이 硏究는 암컷이 알을 낳는 동안 드는 에너지 支出이 수컷의 두 倍라는 結論을 내리게 되었다. 一部 硏究者들은 수컷 海馬가 더 짧은 出産 間隔을 許容하고 結果的으로 암컷보다 더 많은 새끼를 낳는다고 推定하지만, 왜 수컷 海馬의 孕胎를 통해 새끼를 낳는지는 그 理由가 完全하게 밝혀지지 않아서 追加的인 確認이 더 必要하다. 짝짓기를 할 準備가 되어 있고 恣意的인 짝짓기를 할 때, 繁殖期 동안 수컷은 암컷보다 17% 더 많은 새끼를 낳을 可能性이 있다. 또한, 암컷은 수컷보다 1.2倍 더 긴 生殖 週期를 가져 時間이 繁殖의 效率을 감소시킨다. 암컷의 알이 準備되면, 몇 時間 안에 알을 낳거나 물기둥에 알을 꺼내야 한다. 알을 孕胎하는 것은 암컷의 몸무게의 約 3分의 1에 達하기 때문에 身體的으로 힘들다.

一雄一雌行動(monogamy) [ 編輯 ]

비록 海馬는 平生 짝짓기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大部分의 海馬 종들은 짝짓기 後에 다시 짝짓기를 할 때 쉽게 짝을 바꾸지 않는 一雄一雌(monogamy)의 삶을 산다. 적어도 繁殖期 동안 持續되는 한 雙의 結合을 形成한다. 어떤 종들은 다른 種들보다 더 높은 水準의 結合을 보여준다. 이는 海馬가 다른 生物과는 다르게 수컷도 알을 품기 때문이라고 豫想된다. 하지만 어떤 海馬 종들은 機會가 왔을 때 쉽게 짝을 바꾼다. 例로 H. abdominalis (빅벨리海馬)와 H. breviceps 는 集團으로 繁殖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持續的인 짝을 選好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모든 海馬 種의 짝짓기 習性이 硏究되지 않았기 때문에, 實際로 얼마나 많은 종이 一雄一雌行動을 보이는지 이러한 一雄一雌結合이 實際로 얼마나 오래 持續되는지는 追加的인 硏究가 더 必要하다.

먹이習性 [ 編輯 ]

海馬는 먹이를 먹기 위해 긴 주둥이를 使用한다. 하지만 飮食 攝取가 느리고 僞裝이 매우 簡單한 消化 시스템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生存을 위해 끊임없이 먹어야 하는 問題點을 가진다. 海馬는 游泳能力이 떨어지기 때문에 棲息地인 海草, 珊瑚 等에 꼬리를 감아서 몸을 固定해야 물살에 휩쓸리지 않는다.

海馬는 물에 떠다니거나 바닥에 기어다니는 작은 甲殼類를 먹으며 生活한다. 뛰어난 僞裝術을 가진 海馬들은 棲息地에 埋伏해 있다가 먹이를 確實히 잡을때까지 機會를 노린다. 곤쟁이類(Mysida)와 다른 작은 甲殼類들을 가장 좋아하지만 몇몇 海馬는 다른 種類의 無脊椎動物과 甚至於 다른 稚魚들까지 먹는 것이 發見되기도 했다. 海馬를 對象으로 한 硏究에서, 그들의 直角으로 굽어진 獨特한 머리 形態는 逃亡가는 먹이를 쫓기에 最適인 形態라고 밝혀졌다. 海馬는 목筋肉의 歎聲을 利用해 머리를 빠르게 이동시켜 긴 주둥이를 먹이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吸入한다. 吸入은 가까운 範圍에서만 可能하기 때문에 머리를 가까이 移動시키는 것이 매우 重要하며, 이러한 먹이 捕獲 메커니즘을 피벗 피딩(Pivot feeding)이라고 한다. 海馬는 準備 段階에서 똑바로 선 姿勢로 먹이에게 다가가 머리를 垂直으로 구부린다. 그리고 膨脹 段階에서 머리를 올리고 부추講을 넓혀 먹이를 잡고나서 그리고 回復 段階에서는 머리를 元來 位置로 이동시킨다.

海馬는 植物이 적은 地域에서는 앉아서 기다리지만 生物이 廣範圍하게 있는 環境에서는 헤엄치면서 먹이를 잡는다. 反對로 植物이 거의 없는 水族館 같은 環境에서는 기다리지 않고 活潑하게 먹이 活動을 위해 움직이기도 한다.

滅種危機 [ 編輯 ]

每年 몇 마리의 海馬가 죽어가고 있는지, 몇 마리의 海馬가 태어나고 있는지, 捕獲되는 수는 얼마나 되는지에 對해 資料가 不足하기 때문에 海馬의 滅種 危險을 評價할 수 있는 情報가 不足하고 더 많은 海馬들을 잃을 危險性도 憂慮된다. Paradoxical Seahorse( Hippocampus paradoxus ) 같은 종들은 오직 限個體만 報告되고 그 後에는 發見記錄이 없기 때문에 이미 더 發見되기도 以前에 滅種 됐을지도 모른다. 珊瑚礁들도 줄어들어 海馬의 棲息地가 줄어들고 있으며 21個國에 걸쳐 年間 約 3700萬 마리가 죽고 있다.

海馬 飼育 [ 編輯 ]

많은 海水魚 매니아들이 海馬를 키우고 있지만 野生에서 採集한 海馬는 집 水族館에서 잘 키우지 못한다. 브라인 새우같은 살아있는 먹이만 먹으며 스트레스를 받기 쉽고 海馬의 免疫 體系를 損傷시키며 疾病에 걸리기 쉽다. 그러나 最近 몇 年間 捕獲後 繁殖된 個體들이 더 人氣를 끌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海馬들은 집 水族館에서 生存하기 보다 쉽고 冷凍 곤쟁이度 먹으며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는다. 비록 이런 個體들은 價格이 더 비싸지만 追加的인 捕獲이 없기 때문에 捕獲되었던 처음 個體를 除外하고는 野生 個體에는 被害가 가지 않는 利點이 있다.

海馬는 물의 흐름이 弱한 水族館에서 키워야 한다. 따라서 새우들과 키우기가 좋다.

首絰은 海馬의 生存에 매우 重要하다. 勸奬 되는 물 媒介變數는 다음과도 같다.

溫度: 23?28 °C (73?82 °F)

pH: 8.1?8.4

암모니아: 0 mg / L (0ppm) (0.01 mg / L (0.01 ppm) 短期間 使用可能)

窒酸鹽: 0 mg / L (0ppm) (0.125 mg / L (0.125 ppm) 短期間 使用可能)

S.G.: 23?24 °C (73?75 °F)에서 1.021?1.024

水質 問題는 海馬의 行動에 影響을 미치며 닫힌 지느러미, 먹는 量 減少, 不規則한 헤엄, 水面에서의 헐떡임 等의 症狀이 나타날 수 있다. 海馬는 위아래로 헤엄치며 行動하기 때문에 적어도 聖體 海馬의 몸길이보다 두 倍 보다 더 깊은 水族館이 理想的이다.

普通 민물 해마로 팔리는 動物들은 普通 海馬와 가까운 關係에 있는 실고기類 (실고기亞科: Syngnathinae ) 물고기들인데, 이中 江 下流에 사는 種이 있다. 或如 민물海馬의 一種으로써 불리는 Hippocampus aimei 라는 海馬는 實際로는 바버리海馬 ( Hippocampus barbouri ) 와 고슴도치海馬 ( Hippocampus spinosissimus ) 두種을 섞어 잘못 부른 學名이어서 現在는 使用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름 (同種耳鳴: Synonym )으로 取扱된다. 그리고 바버리海馬와 고슴도치海馬는 濕地環境에서 發見은 될 수 있지만 實際 민물고기는 아니다.

中國에서 藥으로 使用되는 海馬 [ 編輯 ]

海馬의 個體數는 無分別한 濫獲과 棲息地 破壞의 結果로 滅種 危機로 處해져있다고 생각된다. 科學的인 硏究나 臨床試驗이 不足함에도 不拘하고, 海馬를 勃起不全, 夜行性 神經症等에 좋다고 韓醫學에서 널리 퍼져있다. 每年 最大 2千萬 마리의 海馬를 잡아 藥으로 만들어 판다. 選好하는 海馬의 鐘으로는 H. kelloggi (極氏海馬), H. histrix (가시海馬), H. kuda (복海馬), H. trimaculatus (點海馬), 그리고 H. mohnikei (珊瑚海馬)가 있다. 海馬는 인도네시아人, 中部 필리핀人, 그리고 다른 많은 民族들에 依해서도 消費된다.

海馬의 輸出入은 2004年 5月 15日부터 CITES에 依해 統制 되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日本, 노르웨이, 韓國은 CITES가 定한 貿易 規定에서 除外된다.

海馬를 攝取할 때 알藥과 캡슐을 使用하는데 이는 問題가 될 수 있다. 알藥은 값이 싸고 많이 求할 수 있지만 제대로 內容物을 追跡하기 어렵다. 海馬는 한때 일정한 크기와 品質을 갖추어야 했지만 미리 鋪裝하고 販賣하는 方法을 들여와 只今은 다 자라지 않은 유어度 販賣한다. 또한 中國에서 팔리는 海馬의 거의 3分의 1이 包裝돼 販賣되고 있다. 藥材로써 乾燥 海馬의 小賣 價格은 kg當 美貨 600달러에서 3000달러이며, 크기가 클수록 乾燥된 後의 色表面이 흴수록 그리고 表面이 매끄러울수록 藥材價格을 높게 쳐준다.

[ 編輯 ]

海馬속 魚類의 種數는 海馬속에 對한 最新 分類學的 再檢討 [3] 를 基盤으로 그 뒤에 報告된 新種들 [4] [5] [6] [15] 과 一部 分類群의 追加的인 再檢討 [6] 를 度合하면 아래와 같이 總 46種으로 集計된다. (2020年 5月 基準)

  • Hippocampus abdominalis Lesson, 1827 (빅벨리海馬, Bigbelly seahorse, Big-belly seahorse, Big-bellied seahorse, Eastern potbelly seahorse, Pot-bellied seahorse, Pot-belly seahorse)
  • Hippocampus algiricus Kaup, 1856 (West African seahorse)
  • Hippocampus angustus Gunther, 1870 (Narrow-bellied seahorse, Western Australian seahorse [注意: H. subelongatus ], Western spiny seahorse)
  • Hippocampus barbouri Jordan & Richardson, 1908 (바버리海馬, Babour's seahorse or Zebra-snout seahorse)
  • Hippocampus bargibanti Whitley, 1970 West (피그미海馬, Bargibant’s pygmy seahorse or Pygmy seahorse)
  • Hippocampus breviceps Peters, 1869 (Short-head seahorse)
  • Hippocampus camelopardalis Bianconi, 1854 (Giraffe seahorse)
  • Hippocampus capensis Boulenger, 1900 (나이스나海馬, Knysna seahorse or Cape seahorse)
  • Hippocampus casscsio Zhang et al. 2016 [5] (Beibu Bay seahorse)
  • Hippocampus colemani Kuiter, 2003 (Coleman’s pygmy seahorse)
  • Hippocampus comes Cantor, 1850 (虎狼이꼬리海馬, Tiger-tail seahorse or Tiger-tailed seahorse)
  • Hippocampus coronatus Temminck & Schlegel, 1850 (王冠海馬, Crowned seahorse)
  • Hippocampus dahli Ogilby, 1908 (Lowcrown seahorse)
  • Hippocampus debelius Gomon & Kuiter, 2009 (Softcoral seahorse)
  • Hippocampus denise Lourie & Randall, 2003 (데니스 피그미海馬, Denise’s pygmy seahorse)
  • Hippocampus erectus Perry, 1810 (Lined Seahorse, Northern seahorse, Spotted seahorse [注意: H. kuda ])
  • Hippocampus fisheri Jordan & Evermann, 1903 (Fisher’s seahorse)
  • Hippocampus guttulatus Cuvier, 1829 (갈귀海馬, Long-snouted seahorse [注意: H. reidi ], Spiny seahorse [注意: H. histrix ], Maned seahorse)
  • Hippocampus haema Han et al., 2017 [4] (海馬, Korean seahorse)
  • Hippocampus hippocampus Linnaeus , 1758 (地中海海馬, Short-snouted seahorse)
  • Hippocampus histrix Kaup, 1856 (가시海馬, Thorny seahorse, Longspine seahorse, Spiny seahorse [注意: H. guttulatus ])
  • Hippocampus ingens Girard, 1858 (東太平洋海馬, Pacific seahorse or Giant seahorse)
  • Hippocampus japapigu Short et al., 2018 [6] (日本돼지海馬 [16] , Japanese pygmy seahorse)
  • Hippocampus jayakari Boulenger, 1900 (Jayakar’s seahorse)
  • Hippocampus jugumus Kuiter, 2001 (Collar seahorse or Collared seahorse)
  • Hippocampus kelloggi Jordan & Snyder, 1901 (켈로그海馬 또는 極氏海馬, Great seahorse, Kellogg's seahorse, Offshore seahorse)
  • Hippocampus kuda Bleeker, 1852 (복海馬, Spotted seahorse [注意: H. erectus ], Common seahorse, Estuarine seahorse, Estuary seahorse, Oceanic seahorse, Yellow seahorse)
  • Hippocampus minotaur Gomon, 1997 (Bullneck seahorse)
  • Hippocampus mohnikei Bleeker, 1854 (珊瑚海馬, Japanese seahorse)
  • Hippocampus nalu Short et al., 2020 [15] (Sodwana pygmy seahorse, African pygmy seahorse, Honeypot seahorse)
  • Hippocampus paradoxus Foster & Gomon, 2010 (Paradoxical seahorse)
  • Hippocampus patagonicus Piacentino & Luzzatto, 2004 (파타고니아海馬, Patagonian seahorse)
  • Hippocampus planifrons Peters, 1877 (Flatface seahorse)
  • Hippocampus pontohi Lourie & Kuiter, 2008 (Pontoh’s pygmy seahorse)
  • Hippocampus pusillus Fricke, 2004 (Pygmy thorny seahorse or Dwarf thorny seahorse)
  • Hippocampus reidi Ginsburg, 1933 (레이디海馬, Slender seahorse, Brazilian seahorse, Longsnout seahorse [注意: H. guttulatus ], Long-snout seahorse)
  • Hippocampus satomiae Lourie and Kuiter, 2008 (Satomi’s pygmy seahorse)
  • Hippocampus sindonis Jordan & Snyder, 1901 (信徒海馬, Sindo's seahorse, Shiho’s seahorse, Painted seahorse)
  • Hippocampus spinosissimus Weber, 1913 (고슴도치海馬, Hedgehog seahorse)
  • Hippocampus subelongatus Castelnau, 1873 (西오스트레일리아海馬, West Australian seahorse [注意: H. angustus ] or Tiger snout seahorse)
  •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1814 (點海馬, Three-spot seahorse, Flat-faced seahorse, Longnose seahorse, Low-crowned seahorse, Smooth seahorse, Three-Spotted seahorse)
  • Hippocampus tyro Randall & Lourie, 2009 (Tyro seahorse)
  • Hippocampus waleananus Gomon & Kuiter, 2009 [6] (Walea soft coral pygmy seahorse)
  • Hippocampus whitei Bleeker, 1855 (흰해마, White's seahorse)
  • Hippocampus zebra Whitley, 1964 (얼룩말海馬, Zebra seahorse)
  • Hippocampus zosterae Jordan & Gilbert, 1882 (난쟁이海馬, Dwarf seahorse)

大韓民國 海域에서 報告되는 海馬속 魚類는 다음과 같이 總 5種으로 集計된다. [4] (2017年 11月 基準)

  • 海馬 ( Hippocampus haema ) Han et al., 2017
  • 가시海馬 ( Hippocampus histrix ) Kaup, 1856
  • 복海馬 ( Hippocampus kuda ) Bleeker, 1852
  • 珊瑚海馬 ( Hippocampus mohnikei ) Bleeker, 1854
  • 點海馬 ( Hippocampus trimaculatus ) Leach, 1814

國內종이 아닌 海外종들은 國名이 定해지지 않는다. 卽, 위의 國內種 除外 韓國一般名들은 生物學的으로 公式名이 아니며, 國內種으로 發見될 境遇 名稱이 再檢討된다. 過去 大韓民國에서 言及되었던 王冠海馬( H. coronatus )와 信徒海馬( H. sindonis )는 日本 太平洋 海域에서만 發見되는 것으로 確認되었고, [4] 그리고 진질海馬( H. aterrimus )란 種은 복海馬의 同種異名으로 歸屬되었다. [7] 國內 所安島를 中心으로 新種候補로 發掘되었던 小安해마(가칭)와 小안깃털海馬(假稱) [11] 는 硏究進行機關에서 未記載種( Hippocampus sp.)과 信徒海馬( H. sindonis )로 再分類 하였으나, [12] 이들 둘은 海馬( H. haema )의 記載 [4] 와 겹치기 때문에 再檢討가 要求된다. 一部 文獻에서 H. kelloggi (國內種으로써는 國名없음, 海外種으로써 켈로그海馬, 極氏해마로 불림) 가 國內種으로 包含되어 있으나, [12] [17] 이것은 硏究進行中인 체크리스트 目錄이며 또한 形態學的 記錄이 報告되지 않아, 正式登錄을 위한 再起裁可 要求된다.

海馬 (종) [ 編輯 ]

海馬 ( Hippocampus haema ) 수컷個體 (左) 와 암컷個體 (郵)

分類 및 棲息地 [ 編輯 ]

좁은 意味의 海馬는 Hippocampus haema 란 學名을 가진 鐘 하나를 指稱한다. 色은 棲息環境의 影響과 個體別로 灰色, 褐色, 검정, 흰色의 수수한 色에서 노랑, 朱黃, 粉紅 等의 華麗한 色으로 色깔의 範圍가 넓으며, 또한 個體마다 머리와 몸에 털과 같은 附屬肢들이 나타나거나 없을 境遇도 있다. [4] 棲息地는 모자반 이나 잘避 等으로 18 m 까지의 얕은 水深의 海草와 水草에 숨어 棲息하며, 때로는 떠다니는 海草무더기에 꼬리를 감은채 發見되기도 한다. [4] [13] 過去 該當種은 韓國海域에서 國內해마류들 中 가장 흔하게 發見되기 때문에 國內사람들에게서 土種海馬란 別稱으로 흔히 불렸었으며, 2017年에 新種發表로 記錄이 생기기 前까지는 가까운 이웃種인 王冠海馬 ( Hippocampus coronatus ) 와 信徒海馬 ( Hippocampus sindonis ) 等으로 종이 誤認되어 取扱되었었지만, 實際 세 種은 서로 形態的, 遺傳的으로도 다르다는 것이 糾明되었다. 分布 地域은 韓國과 日本으로, 韓國海域에서는 東海 南部, 南海 鬱陵島 , 日本海域에서는 東海 , 혼슈 東北部 太平洋 沿岸 그리고 東中國海 大麻暖流 에 影響을 받는 곳에서 發見된다. [4] [18] [19]

成長 [ 編輯 ]

正確한 壽命은 調査된 것이 없지만 大略 壽命은 2年 假量으로 推定되며, 크기는 11 cm까지 자라지만 實際 어른海馬는 6cm에서 8cm 程度의 크기가 흔하다. 수컷 어른海馬로부터 出芽 直後의 유어 크기는 1 cm 假量이며, 育兒囊의 與否와 抱卵이 可能한 性成熟 判斷 基準으로 보았을 때는 어른個體는 約 5 cm 크기에서 始作되는 것으로 判斷이 되지만, [4] [20] [21] [22] [23] 解剖했을 때 腹部의 生殖素 를 檢査한 結果로는 2 cm 크기에서 암컷과 수컷으로 性이 決定되는 것으로 보인다. [22] 크기는 수컷이 암컷보다 若干 더 크며, [20] [22] 새끼海馬와 어른海馬 間에는 成長으로 인해 全體크기와 머리의 定款 (coronet) 길이가 달라진다. 成長하면서 수컷은 꼬리 길이, 암컷은 몸통 길이로 置重하여 成長한다. [20]

生態 [ 編輯 ]

中型크기의 海馬임에도 不拘하고, [22] 該當種은 最小 6 마리에서 最大 75마리 (平均 39마리)의 새끼海馬를 出産하며 이는 百單位의 다른 海馬종들과는 越等히 적은 個體數를 낳는다. [23] [24] 自然環境에서는 地域에 따라 4月에서 10月까지 또는 5月에서 11月까지 繁殖期이며, [20] [24] 室內環境에서는 年中 繁殖이 可能하나 가장 活潑한 時期는 4月에서 6月의 傾向을 보이며, 卽 따뜻한 時期에서 繁殖傾向을 보인다. 自然採集한 海馬로부터 攝食調査 結果, 該當種은 옆새우類 (gammarids), 凹角類 (copepods), 곤쟁이류 (mysids) 順으로 主로 작은 動物性 플랑크톤 等을 먹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25] 現在 이 鐘은 CITES 에서는 直接的으로 目錄에 提示되어 있지 않지만, 基本的으로 해마속 ( Hippocampus spp.) 에 包含되기 때문에 CITES 附屬書 II 에 該當되며, 이는 國際去來에 制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IUCN 赤色目錄 에서는 아직 評價가 施行되지 않은 狀態이다. (2019年 10月 基準)

이 動物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 編輯 ]

各州 [ 編輯 ]

  1. Rafinesque, C. S.; Costanza, B.; Costanza, L.; Vaincher, Pietro (1810). 《Caratteri di alcuni nuovi generi e nuove specie di animali e piante della Sicilia : con varie osservazioni sopra i medesimi /》 . Palermo :: Per le stampe di Sanfilippo,.  
  2. Duvernoy, HM (2005). 《The Human Hippocampus》 3 . 1쪽. ISBN   3-540-23191-9 .  
  3. LOURIE, SARA A.; POLLOM, RILEY A.; FOSTER, SARAH J. (2016年 8月 1日). “A global revision of the Seahorses Hippocampus Rafinesque 1810 (Actinopterygii: Syngnathiformes): Taxonomy and biogeography with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 《Zootaxa》 (英語) 4146 (1). doi : 10.11646/zootaxa.4146.1.1 . ISSN   1175-5334 .  
  4. Han, Sang-Yun; Kim, Jin-Koo; Kai, Yoshiaki; Senou, Hiroshi (2017). “Seahorses of the Hippocampus coronatus complex: taxonomic revision, and description of Hippocampus haema, a new species from Korea and Japan (Teleostei, Syngnathidae)” . 《ZooKeys》 (英語) 712 : 113?139. doi : 10.3897/zookeys.712.14955 . ISSN   1313-2970 .  
  5. ZHANG, YAN-HONG; QIN, GENG; WANG, XIN; LIN, QIANG (2016年 9月 23日). “A new species of seahorse (Teleostei: Syngnathidae) from the South China Sea” . 《Zootaxa》 (英語) 4170 (2). doi : 10.11646/zootaxa.4170.2.11 . ISSN   1175-5334 .  
  6. Short, Graham; Smith, Richard; Motomura, Hiroyuki; Harasti, David; Hamilton, Healy (2018年 8月 2日). “Hippocampus japapigu, a new species of pygmy seahorse from Japan, with a redescription of H. pontohi (Teleostei, Syngnathidae)” . 《ZooKeys》 (英語) 779 : 27?49. doi : 10.3897/zookeys.779.24799 . ISSN   1313-2970 .  
  7. Sara A. Lourie, Amanda C.J. Vincent and Heather J. Hall (1999). 《Seahorse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orld's Species and their Conversation》. London: Project Seahorse.  
  8. 金仁泳. “海馬(海馬) 百科 事典. 海馬의 모든 것” . 《魚類圖鑑 - Fish Illustrations - 世界 물고기 細密畫 도감》 . 2017年 11月 22日에 確認함 .  
  9. Scales, H. (2009). 《Poseidon's steed: the story of seahorses, from myth to reality》. Penguin.  
  10. “Rare seahorse found in the Thames” . 《BBC News》 (英國 英語). 2011年 10月 7日 . 2017年 11月 23日에 確認함 .  
  11. 國立公園管理工團 國立公園硏究院 (2011年 12月). “國際的 主要 關心資源 分布에 關한 硏究” (PDF) . 國立公園管理工團 國立公園硏究院. 2017年 12月 1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12. 國立公園管理工團 國立公園硏究院 (2015年 12月). “海上·海岸國立公園 내 海馬의 分布特性 및 棲息地 硏究” (PDF) . 國立公園管理工團 國立公園硏究院.  
  13. KIM, Tae-Il; HAN, Won-Min; LEE, Geun Eui; LEE, Ki-Won. “Taxonomical Reexamination and Distribution of Sea horse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 (4): 1159?1170. doi : 10.13000/jfmse.2016.28.4.1159 .  
  14. Han, Sang-Yun; Kim, Jin-Koo; Tashiro, Fumihito; Kai, Yoshiaki; Yoo, Joon-Taek (2017年 10月 13日). “Relative importance of ocean currents and fronts in population structures of marine fish: a lesson from the cryptic lineages of the Hippocampus mohnikei complex” . 《Marine Biodiversity》 (英語): 1?13. doi : 10.1007/s12526-017-0792-2 . ISSN   1867-1616 .  
  15. Short, Graham; Claassens, Louw; Smith, Richard; De Brauwer, Maarten; Hamilton, Healy; Stat, Michael; Harasti, David (2020年 5月 19日). “Hippocampus nalu, a new species of pygmy seahorse from South Africa, and the first record of a pygmy seahorse from the Indian Ocean (Teleostei, Syngnathidae)” . 《ZooKeys》 934 : 141?156. doi : 10.3897/zookeys.934.50924 . ISSN   1313-2970 . PMC   7253503 .  
  16. “日本돼지海馬 最初 發見” . 《이웃집科學者》. 2018年 8月 22日 . 2018年 8月 23日에 確認함 .  
  17. 環境部, 國立生物資源館 (2011). 《國家 生物種 目錄集 「脊椎動物」》. 環境部, 國立生物資源館.  
  18. 俊洋, 相澤; ?, 池田 (2023). “日本列島の太平洋側で採集されたヒメタツHippocampus haemaの形態的および遺?的特?” . 《水生動物》 2023 : AA2023?5. doi : 10.34394/aquaticanimals.2023.0_AA2023-5 .  
  19. Min, Won Gi; Woo, Minsu; Park, Joo Myun; Kim, Yun Bae (2020年 11月 6日). “鬱陵島 海洋保護區域 王冠海馬 出現 및 棲息地 特性” . 《2020 韓國海洋學會 秋季學術發表大會》.  
  20. Kim, Myung Joon; Kim, Hyung Chul; Lee, Won Chan; Park, Joo Myun; Kwak, Seok Nam; Oh, Younggeun; Kang, Min Gu; Lee, Sang Heon (2018年 5月).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Recorded Seahorse (Hippocampus haema) in Geoje-Hansan Bay, Korea” . 《Journal of Coastal Research》 (英語) 85 : 351?355. doi : 10.2112/SI85-071.1 . ISSN   0749-0208 .  
  21. Choi, Young-Ung; Rho, Sum; Park, Heung-Sik; Kang, Do-Hyung (2012年 7月).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wo seahorses, Hippocampus coronatus and Hippocampus mohnikei, around seagrass bed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Ichthyological Research》 (英語) 59 (3): 235?241. doi : 10.1007/s10228-012-0285-z . ISSN   1341-8998 .  
  22. Park, Joo Myun; Kwak, Seok Nam (2015年 2月 7日). “Length?weight relationships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rowned seahorse ( Hippocampus coronatus ) in eelgrass beds ( Zostera marina ) of Dongdae Bay, Korea” . 《Marine Biology Research》 (英語) 11 (2): 209?213. doi : 10.1080/17451000.2014.902536 . ISSN   1745-1000 .  
  23. 老京言; 李永敦; 정민민; 老蟾; 최영웅 (2006/05). “韓國産 海馬, Hippocampus coronatus의 出産과 初期成長” . 《韓國良識學會誌》 19 (2): 109?118. ISSN   1226-0193 .  
  24. 조현근, 안중관, 김형수. (2022). “所安島에 棲息하는 海馬(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의 棲息地 特性 및 産卵生態.” . 《韓國環境生態學會誌》 36 (6): 615-626.  
  25. Huh, Sung-Hoi; Park, Joo Myun; Kwak, Seok Nam; Seong, Bong Jun (2014). “Abundances and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coronat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50 (2): 115?123. doi : 10.3796/KSFT.2014.50.2.115 . ISSN   1225-827X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海馬 關聯 미디어 資料가 있습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