限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限時 (漢詩)는 漢字 (漢字)로 쓰인 近代 以前에 만들어진 를 일컫는 말로서, 主로 中國 과 그 周邊 漢字 文化圈 韓國 , 日本 , 베트남 에서 만들어졌다.

古代 中國의 定型詩 樣式으로, 한나라 , 위진 , 唐나라 , 나라 때 主로 만들어졌으며, 當時의 事由 를 節制된 言語로 담아내어 時代性과 文學性을 같이 갖고 있는 文化遺産 이다.

歷史 [ 編輯 ]

現在 가장 오래된 漢詩는 中國에서 예로부터 傳해오는 노래나 詩 中에서 孔子 가 305篇을 골라 編纂하였다고 알려진 市警 (詩經)이다.

特徵 [ 編輯 ]

韓國, 中國, 日本 等 東아시아 漢字 文化圈의 古典 文學, 儒敎的 秩序의 文學, 當時 社會 上層部의 市 文化로 當時의 修辭的 表現法이나 故事成語 等의 原書 役割을 하고 있다. 또한 漢詩에는 한 사람의 글씨와 그림, 그리고 人品이 담긴다고 여겼다. 나아가 自然과 人間, 그리고 社會의 關係를 宇宙 속의 하나의 普遍的 原理 속에서 把握하면서 自然과 사람을 聯關지어 생각하였다. 또한 글씨, 그림과 그 藝術的 世界를 共有해사, 詩, 서, 畫家 共同의 文化的 基盤에서 만들어진 題畫詩(題畵詩)나 時義化(詩意畵)도 있었다.

自然 , 季節의 抒情 , 人生 , 離別 等 上流層의 個人的 趣味를 위해 즐기거나, 社會問題를 꼬집고 民衆의 삶과 現實을 다루는 等 自身의 社會的 哲學과 意志를 表現하는 노래도 있었다.

限時 是認 으로는 위진時代 曺植 , 유정 , 포조 , 思潮 , 陶淵明 , 韋應物 이 有名했고, 唐宋 文人으로는 韓愈 , 유종원 , 二百 , 杜甫 , 歐陽脩 , 白樂天 等이 있다.

形式 [ 編輯 ]

漢文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形式을 가진 定型詩로, 平仄 脚韻 에 嚴格하며, 한 는 네 字, 다섯 字, 일곱 字로 이루어진다. 古詩, 絶句, 律詩, 排律 따위가 있다.

古體詩(古體詩) [ 編輯 ]

平仄이나 字數에 制限이 없어 比較的 자유로운 形式이다. 한 區에 들어가는 글字繡에 따라 三言詩, 四言詩, 五言詩, 六言詩, 七言詩, 雜言視 等으로 다양하다. 考試(古詩), 固體(古體)라고도 한다.

  • 樂府詩(樂府詩) : 한무제 때 音樂을 管掌하는 樂府에서 쓰인 樂歌, 民家 等
  • 社언古詩(四言古詩): 한 句의 글字繡가 四言으로 된 詩 ( 市警 , 千字文 )
  • 五言古詩(五言古詩): 한 句의 글字繡가 五言으로 된 詩
  • 七言古詩(七言古詩): 한 句의 글字繡가 七言으로 된 詩
  • 雜言古詩(雜言古詩): 한 句의 글字繡가 일정하지 않은 市

近體詩(近體詩) [ 編輯 ]

口數, 字數, 平仄, 押韻 , 大將(對仗) 等에 對한 嚴格한 規則이 있으며, 南北朝 時代인 제나라 武帝 때 나타나 唐나라 때에 形式의 틀이 이루어졌고 律詩 및 絶句가 大量으로 나타났다. 根蔕(近體), 今體(今體), 今體詩로도 부른다. 無題의 年號인 영명(永明)을 따서 영명체라고도 부른다.

  • 절구(絶句) : 基(起)ㆍ勝(承)ㆍ前(轉)ㆍ결(結)의 네 句로 이루어졌는데, 한 가 다섯 字로 된 것을 五言 絶句, 일곱 字로 된 것을 七言 絶句라고 한다.
  • 律詩(律詩) : 五言律詩, 七言律詩 等 8句로 이루어진 詩
  • 倍率(排律) : 律詩와 같은 創作法이지만 10具 以上 長篇으로 된 詩, 長律(長律)이라고도 부른다.


꽃 속에 한동이 술을 놓고/ 親舊도 없이 홀로 代作한다/ 술盞 들어 밝은 달 招待하여/ 그림자와 더불어 셋이 되었네./ 달은 元來 술 마실 줄 모르고/ 그림자는 그저 내 몸을 따를 뿐.// 暫時 달과 그림자와 짝을 이뤄/ 봄철 맞아 한때를 즐겨 보려네/ 내가 노래하니 달이 徘徊하고/ 내가 춤추니 그림자 너울대네/ 깨어서는 같이 사귀어 즐기지만/ 取해서는 各自 나뉘어 흩어지네/ 無情한 이 만남 永遠히 맺고 싶어/ 아득한 저 銀河水에서 다시 만나세.

?  二百 이 쓴 월하독작(月下獨酌)

韓國 漢詩 [ 編輯 ]

古朝鮮 곽리자고 아내 여옥 公無渡河歌 , 高句麗 유리왕 黃鳥歌 , 을지문덕 의 與隋將于仲文詩, 政法司 의 英고석 等이 初期 作品이다. 또한 최치원 의 秋夜雨中 等 文集이 있고, 渤海時代는 樣態社의 野門壽衣性 等이 있다.

以後 高麗 , 朝鮮 時代 말까지 貴族, 兩班 層의 必須的 敎養人 同時 自己 表現의 抒情 樣式으로서 널리 자리잡았다. 文人 士大夫 들에게 있어서 漢詩의 創作은 身分的 威信의 確認 및 階層 內的 交流에 不可缺한 手段으로 여겼다. [1]

16世紀부터는 士大夫들에 依해 많은 漢詩가 時調 (한글)로 飜譯되어 불렸다.

前近代 時代에는 漢詩의 製作 能力이 士大夫 및 中間 階層의 敎養으로 매우 重視되었다. 特히 過去 眞사 市에서 賦課되는 詩나 誇示(科詩) 科目에 應하기 위해 어려서부터 漢詩의 製作 方法을 익혀야 했다. 文學을 道德 敎訓 을 위한 道具로 생각했던 朝鮮朝 士大夫 文人들은 漢詩를 적는 일이 原則的으로 男性들의 일로 儒敎 敵 秩序의 文學, 科擧에 合格하고 政治 를 하기 위한 文學이기도 했다.

規範的 삶으로부터 疏外된 消失 , 妓女 들이거나, 許蘭雪軒 申師任堂 等 一部 士大夫가 婦女子가 한時를 만드는 일도 있었다.

書籍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홍규. 《韓國文學의 理解》.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