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의 歌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 歌曲 (韓國歌曲, Korean lyric song)이란 時調 와 같은 文學性을 띤 노랫말에 讚頌歌 비슷한 旋律을 붙여 피아노 또는 管絃樂 編成에 依한 伴奏로 부르는 藝術歌曲 을 말한다. 한便 傳統 歌曲 은 小規模 國樂 管絃 伴奏에 맞추어 男性과 女性이 부르던 韓國의 傳統 聲樂을 일컫는다.

歷史 [ 元本 編輯 ]

西洋의 歌曲은 大槪 7世紀頃의 <그레고리오 聖歌>에서 由來하였고, 浪漫時代의 프란츠 슈베르트 에 依해 本格的인 藝術歌曲 ( 獨逸語 : Lied )으로 發展하였다. 大韓民國에서의 歌曲은 大韓帝國 末期에 輸入된 基督敎 의 普及에 따른 讚頌歌 와 當時 일기 始作한 窓가 에서 비롯되었다. 唱歌는 1890年代부터 1920年代까지 <愛國歌>, <勸學歌>, <독립가> 等에서 보듯이 時代精神을 反映하여 널리 愛唱되던 노래였다. 이를테면 新詩, 愛國歌, 流行歌, 藝術歌曲 , 童謠 等의 모든 機能을 同時에 아우르고 있었다. [1]

이러한 窓가 는 1920年代 들어 새로운 樣相을 띠기 始作했다. 1919年 日本 留學을 떠났던 홍난파 關東大地震 으로 歸國하면서, 當時 植民支配 를 받고 있던 겨레의 슬픔과 苦惱를 그린 김형준의 詩 <鳳仙花>에 自身이 前에 作曲한 바이올린曲 <哀愁>의 旋律을 붙여 歌曲 <鳳仙花>로 發表한 것이다. [2] <鳳仙花>는 이내 全國 坊坊曲曲에 울려 퍼지게 되었고, 바로 韓國 歌曲의 始發點이 되었다. 이 曲은 窓가 와 같은 4·4條의 노랫말을 지녔지만, 音樂的인 水準과 內容은 豐富한 藝術性을 지닌 作品으로 從來의 窓가에서 昇華된 새로운 것이었다. 1922年 李殷相의 市에 박태준 이 曲을 붙여 만든 새로운 스타일의 노래인 <祠宇(思友, 동무생각)>가 선을 보였다. [3]

時代別 代表的 歌曲 [ 元本 編輯 ]

日帝 强占期 [ 元本 編輯 ]

홍난파 는 <鳳仙花> 以後 <금강에 살으리랏다>, <봄處女>, <沙工의 노래>, <사랑>, <成佛寺의 밤>, <옛 동산에 올라>, <長安寺> 等을 잇달아 發表하여 韓國 歌曲의 길을 開拓하고, 이를 더욱 넓혀 나갔다. <봄處女>의 境遇 처음으로 이은상 時調 (時調)에 홍난파 가 曲을 붙인 것으로. 亦是 두 사람이 만든 <成佛寺의 밤>에서도 韓國의 傳統的인 가락이 西洋音樂 過度 훌륭하게 어울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李元壽 가 지은 童謠 홍난파 가 曲을 붙인 <故鄕의 봄>은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 依해서도 불릴 수 있는 水準 높은 曲임을 立證하였다.

1929年 美國에서 受學하고 온 현제명 이은상 作詞 <故鄕생각>과 自作詩인 <黃昏의 海邊>, <새벽 鐘소리>에 曲을 붙여 發表하였다. 곧 이어 이은상 作詞 <그집 앞>, 정인섭 作詞 <산들바람>, 김형준의 <나물 캐는 處女>, 그리고 自身이 歌詞를 지은 <가을>, <寂寞한 가을>, <希望의 나라로> 等 20餘 曲을 發表하였다. [4]

1930年代 初에는 獨逸 留學에서 돌아온 蔡東鮮 이 <故鄕>, <追憶>, <冬柏꽃>, <그리워>, <갈매기>, <모란>, <東海> 等의 歌曲을 내놓았다. 李興烈 은 1931年 元山에서 上京하여 自作詩 <바우고개>, <자장歌> 等을 收錄한 作曲集을 出版하였다. 그 中에서 널리 愛唱되는 歌曲으로는 <어머니의 마음>, <코스모스를 노래함>, <故鄕그리워>, <봄이 오면>, <꽃구름 속에> 等이 있다.

1933年에는 조두남 이 <先驅者>를 作曲하였고, 그 뒤 <그리움>, <山>, <山村>, <또 한송이 나의 모란>, <새타령>, <靑山別曲>等을 發表하였다. 한便, 平壤숭실전문학교에서 工夫하던 김동진 은 1933年 馬山 出身 이은상 이 지은 時調 <가고파> 10修 가운데 4首에 曲을 붙였는데 解放 後 敎科書에 실리면서 全國民이 愛唱하는 國民歌曲이 되었다.

  • 김세형 - <沃沮(玉笛)>, <찢어진 피리>, <追憶>, <뱃노래>
  • 金聖泰 - <가시덤불>, <꿈길>, <동심초>, <산유화>, <離別의 노래>, <진달래꽃>, <한송이 흰 百合花>
  • 김순애 - <그대 있음에>, <牡丹이 피기까지는>, <네잎클로버>, <물레>, <4月의 노래>
  • 이유선 - <새가 되어 倍가 되어>, <故鄕>, <입다문 꽃>, <가는 길>, <파랑새>, <4月에는>

光復 後 [ 元本 編輯 ]

光復 後에는 ‘韓國 歌曲’이라는 이름으로 本格的인 歌曲 作曲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音樂家들에 依해 韓國 歌曲은 量的 擴大를 가져왔다. 경희學院의 設立者 조영식 博士가 지은 詩에 1974年 같은 大學 김동진 敎授가 曲을 붙인 <木蓮花>가 代表的이다.

  • 최영섭 - 한상억 時 <그리운 金剛山>
  • 장일남 - 한명희 時 <비목>
  • 구두회 - 사우월

現代 [ 元本 編輯 ]

現代 에는 韓國 歌曲이 質的으로 向上되었으나, 從來 傳統 和聲學 에 依하여 作曲되던 것이 現代的인 火星과 旋律 技法으로 創作되면서 西洋 音樂의 盲目的인 收容으로 國籍 없는 歌曲의 量産, 한글 歌詞의 抑揚을 無視한 노랫말, 지나친 商業性의 追求 等이 問題點으로 指摘되고 있다. [5] 노랫말에 曲을 붙여 有名 聲樂家 가 함께 부르는 歌曲의 實驗도 成功的으로 進行되었다. [6] 또한 K-pop 이 世界的으로 脚光을 받으면서 韓國의 젊은 詩人들의 노랫말에 크로스오버 傾向의 멜로디를 붙여 有名 聲樂家 가 부르는 새로운 形態의 歌曲이 登場해 人氣를 끌고 있다. [7]

各州 [ 元本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歌曲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2. 이정식, ?歌曲의 誕生?- 興味津津한 韓國 歌曲 이야기, 반딧불이, 2017.
  3. 이지연 外, 韓國 藝術歌曲 嚆矢에 關한 硏究 ", 韓國思想과 文化, 第85輯, 2016.
  4. Newsis, " 親日音樂家 作詞 '希望의 나라로' 市民의 날에 合唱", 2018. 3. 28.
  5. 네이버 知識百科 歌曲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6. YTN 사이언스, 김효근 敎授와 바리톤 송기창의 “아트팝‘ 對談 2013. 12. 11.
  7. 김종섭, “ ‘韓國歌曲’ 에관한 討論會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韓國歌曲硏究所), 月刊 리뷰, 2019年 2月號; 장혜선, “ 韓國歌曲, 第2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 (고성현, 최진, 김효근, 길병민 外), 客席, 2020年 10月 12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