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學祖 (學祖, 1431~1514)는 朝鮮 時代 電氣의 佛敎 僧侶이다. 世祖때부터 연산군까지 局社(國師)였다. 法名은 學祖(學祖), 도호(道號)는 등곡(燈谷) 또는 황악산인(黃岳山人), 本名은 令兄(永衡)이며 本貫은 (新) 安東 (安東)이다. 삼한壁上功臣(三韓壁上功臣) 太史公 김선평 (金宣平)의 11代孫으로 祖父는 飛雁 縣監 (比安縣監) 김삼근(金三係), 아버지는 漢城府 判官 (漢城府判官) 김계권(金係權)이며, 司諫院 大司諫 成均館 大司成 都承旨 症吏曹判書 보백당 김계행(金係行)은 그의 三寸이고, 侍講院 文學과 平壤 庶尹 을 지낸 김번 (金?)은 그의 조카이다. 令兄(學祖),榮轉,영균,迎秋, 領袖 5兄弟中 첫째아들이다. 世祖 佛敎 에 歸依한 以來 王室의 後援으로 받아 世祖 以後 中宗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佛事를 管掌하였으며, 學德이 뛰어난 當代의 名僧이었으며 雄文巨筆(雄文巨筆)의 文豪로 稱頌되었다.

그러나 王室과 가까운 關係를 利用하여 腐敗, 越權行爲를 恣行하여 士林派 의 指彈을 받았으며, 軍장사(窘長寺)의 住持로 있을 때는 영응대군 의 寡婦 帶方郡夫人 宋氏 와 姦通하여 物議를 빚기도 했다.

生涯 [ 編輯 ]

出家 過程 [ 編輯 ]

어린나이에 일찍이 安東 학가산(鶴駕山) 重大事와 哀憐社(艾蓮寺)에서 出嫁하였으며, 現 안양시所在 삼성산(冠岳山) 三幕寺 등곡臺(燈谷臺)에서 得道하였다.

  • 學祖大師가 僧侶가 된 緣由로 所産마을에 다음과 같은 傳說이 傳해온다. 집에서 熱心히 글을 배우고 있었는데 어느날 풍산 錦山村(소산리) 마을을 지나가던 어떤 老僧이 學祖의 觀相을 보고는 學祖의 아버지에게 말했다. "이 아이를 제게 주시어 절로 보내야 할것 같습니다." 깜짝놀란 學祖의 아버지 김계권은 "어찌 그리 말하십니까" 하고 그 까닭을 물으니 老僧은 어린 學祖를 가리키며, "제 말이 미심쩍으시면 이 아이의 足相(발바닥의 金)을 보십시요. 이대로 俗世에 두면 이 아이뿐만 아니라 온 집안이 큰 禍를 면치 못할것 입니다." 하였다. 이에 學祖의 아버지가 老僧의 말대로 발바닥을 보니 果然 임금王(王)字가 쓰여 있었다. 그래서 學祖의 父母는 13歲의 어린 學祖를 出家시켜 僧侶가 되게 하였다고 傳한다.

業績 및 王室 布敎活動 [ 編輯 ]

斷種 의 죽음 以後 罪責感을 느끼고 佛敎 에 歸依한 世祖 를 만났으며, 辛未 (信眉)· 瘧熱 (學悅) 等과 함께 禪宗의 僧侶로서 世祖의 두터운 信任을 얻었다. 1459年(世祖5年) 신미대사(信眉大師), 瘧熱(學悅)스님과 함께 月印釋譜 (月印釋譜)을 刊行하는 等 여러 高僧들과 함께 많은 佛經을 國語로 飜譯 刊行하였다. 特히 스승 신미대사를 도와 訓民正音 創製 및 한글活用에 寄與하였다.

1464年(世祖10年) 俗離山 福天使(福泉寺)에서 임금을 모시고 辛未·瘧熱 等과 함께 大法會를 열었다. 1467年(世祖13年) 世祖 의 命을 받고 金剛山(金剛山)에 보내어 楡岾寺(楡岾寺)를 重建하였다. 1468年에는 신미대사, 瘧熱스님과 함께 說法을 하여 兩班 士大夫들 亦是 佛敎 에 歸依하거나 信奉하는 者가 나타났다. 그해 1月 驛말(驛騎)을 받고 高聲(高城)의 楡岾寺(楡岾寺)로 派送되었으며, 그가 데리고 가는 匠人(匠人) 15人에게도 또한 王室에서 驛말을 내려 주었다.

그해 4月 王命을 받아 僧侶 瘧熱과 함께 使臣 接待를 準備하였다. 1476年 《千手經 千手經》을 諺解, 校正하였으며, 1482年(成宗13年) 정현왕후 의 名으로 世宗 때부터 始作되었다가 中斷된 《證道歌南冥界송(證道歌南明繼頌)》의 名으로 飜譯, 完成하였다. 1488年(成宗19年) 仁粹大妃 의 名으로 海印寺 中搜 및 八萬大藏經 을 保管하는 大藏經板黨을 重創하였다. 學祖스님의 最高 功績은 八萬大藏經 을 守護한 一等功臣이라는 點이다. 이때 海印寺 境內에 世祖의 원당(願堂)이 設置됨으로써 海印寺는 朝鮮王朝가 亡할 때까지 王室로부터 保護받을 수 있게 되었다.

洪吉童과 因緣 [ 編輯 ]

家出하여 떠돌던 義賊 洪吉童 (洪吉童)은 金泉 황악산 직지사( 四溟大師 가 出嫁한 節)에서 學祖大師를 만나는데, 洪吉童의 挫折과 억눌린 꿈, 그리고 希望을 본 學祖大師는 學問과 武藝에 남다른 洪吉童을 직지사에 머물게 하면서 兵法과 武術을 가르쳤다. 황악산인(黃岳山人) 이란 도호는 이때 使用한 것으로 보인다.

生涯後半 및 入寂 [ 編輯 ]

1500年(燕山君6年) 王妃 신氏 의 名으로 海印寺 의 大藏經 3部를 刊行, 印刷하고 直接 그 跋文을 지었다. 여러 腐敗와 利權行爲 介入 等으로 物議를 빚었으나 甲子士禍 戊午士禍 의 칼을 被害 中宗 反正 때까지도 살아 남았다. 그 뒤 1520年(中宗15年) 王命으로 다시 海印寺 大藏經 1部가 間印 되었다. 그가 國譯한 佛殿(佛典)을 살펴 보면, 《地藏經諺解 地藏經諺解》가 初期에 諺解된 것으로 推定되며, 首陽大君에 依하여 完成된 《金剛經三家解諺解(金剛經三家解諺解)》를 自省對備(慈聖大妃)의 命에 依하여 矯正, 引出하였다.

世祖 때부터 中宗 때까지 王과 王室의 後援으로 無償으로 宮闕에 出入하였으나, 利權請託과 宮女와 下人들을 私的으로 利用하여 物議를 빚기도 했다.

末年에는 스님이 出嫁한 寺刹인 학가산 哀憐社(艾蓮寺)로 다시 돌아와 入寂 (入寂)하였다.

學祖大師의 不渡는 忠淸北道 報恩 俗離山 法住寺 福泉庵에 스승 신미대사(혜각존자) 不渡와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學祖의 不渡는 신미대사 不渡(1480年)를 세우고 34年後 신미대사 不渡 옆에 1514年(中宗9年) 5月에 建立했다. 塔의 八角中臺石 頭面에 ‘正德九年甲戌五月日立(정덕구年甲戌五月일립)’그리고 ‘學祖燈谷和尙塔(學祖등곡和尙塔)’이란 5行의 名文이 있어 1514年(中宗9年)에 建立 되었음을 알게 한다. 地方文化財 13號로 되어 있던 것을 2004年 4月 5日 寶物(寶物 第1418號)로 指定되었다

腐敗 및 越權 行爲 [ 編輯 ]

世祖와 呈戱王后의 寵愛를 받던 學祖에 對한 醜聞은 士林派 의 佛敎 批判의 主要 素材가 되었다.

學祖가 王室의 威勢를 업고 海印寺 住持를 自身의 手下로 갈아치운 事實을 記錄한 것이 問題가 된 것이었다. [1] 또한 學祖가 世宗 의 아들인 광평대군 영응대군 의 땅과 百姓들을 詐取한 事實도 問題가 된 記錄이었다. [1] 이는 論難거리를 불러왔으나 王室의 撫摩로 없던 일이 된다. 學祖의 腐敗, 越權行爲가 問題가 된 것은 여러 件이었고, 士林派 는 이를 根據로 腐敗한 僧侶와 政界의 癒着, 王室의 庇護를 물고 늘어졌다. 王室의 壓力으로 一時的으로 問題를 덮었지만, 이 問題는 다른 問題와 함께 연산군 때 가서 다시 터지게 된다.

영응대군 否認 宋氏 는 軍將사란 절에 올라가 說法을 듣다가 계집종이 깊이 잠들면 學祖와 四通을 했다. [2] 戊午士禍 當時 이 事實도 史草에 들어 있었다. [2]

그가 영응대군 의 否認 帶方郡夫人 宋氏 와 자주 接觸하다가 姦通하게 되자, 平素 그를 嫌惡하던 김종직 은 이를 批判, 嘲弄하였다. 이 事件은 後日 김종직 의 弟子들이 王朝實錄에 記錄함으로써 後日 戊午士禍 의 原因을 提供한다.

世祖 정희왕후 의 寵愛를 받던 僧侶 學祖에 對한 史草의 記錄도 重要한 追窮事項 中의 하나였다. [3] 學祖가 大妃의 威勢를 등에 업고 海印寺 의 住持를 自身의 手下 人物로 갈아치운 事實을 記錄했던 것이다. 學祖가 世宗의 아들인 광평대군 영응대군 의 땅과 百姓들을 詐取한 事實을 記錄한 것도 問題가 되었다. [3]

世祖 末年부터 官職에 進出한 士林派 는 그의 活動을 못마땅하게 여겼는데, 學祖스님이 活動하던 時期는 世祖代부터 中宗代까지로, 士林들의 政界進出이 本格化된 時點이었다. 士林들은 性理學을 통해 支配權을 强化해가고자 했지만, 世祖와 정희왕후, 仁粹大妃, 仁惠對備 等 호불(護佛) 性向의 王과 王妃들로 인해 대놓고 王室佛事를 反對할 수가 없었다. 이에 朝廷의 官僚들은 大君 夫人들의 査察 出入을 스님과의 스캔들로 遁甲시킴으로써 이들의 佛事를 막고자 하였다.

王子빈과 姦通 [ 編輯 ]

박경 김일손 과 奇脈이 통하여 홍인문 밖에서 ' 영응대군 (永膺大君) 夫人 宋氏가 中 學祖(學祖)와 四通(私通)을 했다'는 訪問(榜文)을 보고 알렸다가, 김일손 이 史草에 적는 바람에 박경이 잡혀와 호된 拷問을 當하고 겨우 살아난 적이 있었다. [4] 영응대군 의 否認 宋氏 軍장사 에 올라가 說法을 듣다가 是非가 잠들면 學祖와 四通을 했다는 것이다. [3] 이는 下女에 依해 發說되어 알려졌고 所聞이 播多하게 퍼졌었다. 學祖와 帶方郡夫人 宋氏 의 姦通事件은 後日 戊午士禍 의 原因을 提供한다.

家族關係 [ 編輯 ]

  • (祖父)奉化縣監 비안현감 김삼근(金三近)
  • (簿)漢城府판관 김계권(金係權) - 吏曹判書 藝文館大提學 第평공 권맹손 (權孟孫)의 사위
  • (三寸)成均館大司成 症吏曹判書 보백당 김계행 (金係行)
    • (동생)司憲府監察 陜川郡守 김영전(金永銓)
    • (동생)眞사 奉仕 김영균(金永鈞)
    • (동생)陜川郡守 水原府使 김영추(金永錘)
    • (동생)司憲府監察 永川郡守 司憲府掌令 金映洙 (金永銖)
      • (조카)同副承旨 江原道觀察使 三黨 김영 (金瑛)
      • (조카)侍講院 文學 平壤庶尹 症이판 김번 (金?)
      • (조카)察訪 刑曹佐郞 水軍節度使 김순(金珣)
        • (從孫子)信川郡數 證左贊成 김생해 (金生海) - 成宗(成宗)의 아들 경명군 (景明君) 이침(李?)의 사위
          • (從曾孫子)삼가현감 症映像 김대효(金大孝)
          • (從曾孫子)군기시정 症이판 김원효 (金元孝)
          • (從曾孫子)돈녕부道政 症映像 김극효 (金克孝) - 左議政 林塘 정유길 (鄭惟吉)의 사위

各州 [ 編輯 ]

  1. 이덕일, 士禍로 보는 朝鮮 歷史 (石筆, 2005) 312페이지
  2. 박홍갑, 士官 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 (嘉藍企劃, 1999) 114페이지
  3. 이덕일, 朝鮮 선비 殺害事件 (다산초당, 2006) 131페이지
  4. 말과 글로는 世上을 바꿀 수 없다 프레시안 2007-11-26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