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鶴聲 李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鶴聲 李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鶴聲 李氏
鶴城李氏
나라 韓國
貫鄕 蔚山廣域市
時調 이예 (李藝)
集姓村 蔚山廣域市 蔚州郡 청량면
蔚山廣域市 南區
蔚山廣域市 北區
蔚山廣域市 蔚州郡 웅촌면
慶尙南道 梁山市 州南東
釜山廣域市 機張郡
慶尙北道 포항시 흥해읍
京畿道 抱川市
主要 人物 이관술 , 이후락 , 이철환 , 이한호 , 이채익 , 이채필 , 이병욱
人口(2015年) 16,460名

鶴聲 李氏 (鶴城李氏)는 蔚山廣域市 의 옛地名人 鶴聲을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歷史 [ 編輯 ]

時調 이예 (李藝, 1373年 ~ 1445年 3月 31日 ( 陰曆 2月 23日 ) [1] )는 朝鮮 前期의 文臣이자 日本 류큐國 科의 外交를 專擔한 代表的 通信社였다.

元來 그의 先代는 高麗時代부터 代代로 鄕吏의 役을 맡은 집안으로 蔚山 有力 土着 9個 姓(姓)氏 中 하나였다. [2]

1396年(太祖 5) 이예는 倭敵에게 잡혀간 지蔚山軍事 이은(李殷) 等을 시종한 공으로 鄕里의 驛에서 免除되고 벼슬을 받았다. 1401年(太宗 1) 처음으로 이키國 에 使臣으로 가 砲로 50名을 데려온 공으로 左軍副司直에 除授되었다. 1410年까지 해마다 通信社가 되어 三道에 往來하면서 砲로 500餘 名을 찾아오고, 護軍으로 昇進하였다. 1416年 류큐國 에 使臣으로 다녀오면서 砲로 44名을 찾아왔고, 1419年(世宗 1) 中軍病魔部搜査(中軍兵馬副帥使)가 되어 三軍都體察使 이종무 를 도와 對馬島 征伐 을 施行하였다. 1422·1424·1428年·1432年에 廻禮府使(回禮副使)·通信府使·廻禮情事(回禮正使)가 되어 무로마치 幕府 에 다녀왔다. 1438年 僉知中樞院使(僉知中樞院事)로 昇進한 뒤 對馬島敬差官이 되어 對馬島에 다녀왔다. 1443年에는 倭敵에게 잡혀간 捕虜를 찾아오기 위해 自請해, 大馬主體察使(對馬州體察使)가 되어 다녀온 공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이르렀다. [3]

時調 이예의 功勞로 학성이氏 家門 一員들은 朝鮮 個國時期에 鄕里層에서 빠르게 離脫하여 士族士族으로 轉換하였으나 一部 一員들은 鄕里層으로 活動하였다.

時調 이예 (李藝)의 長男인 大護軍(大護軍) 이종실(李宗實)의 後孫들을 中心으로 조선초에  無關 들을 排出해내며 蔚山의  士族 士族이 되었고, 이예(李藝)의 次男인 양근郡守 李鍾根(李宗根)의 後孫들 亦是 壬辰倭亂에서 여러 專攻들을 세워서 사족士族으로 成功的으로 轉換을 하며 鄕里層에서 빠르게 離脫하였다.

壬辰倭亂 時期에 家門의 많은 一員들이 蔚山에서 義兵을 일으키거나 官軍에 從事하며 軍功을 세운 武官들을 多數 輩出하였다. [4]

壬辰倭亂 以後 학성이氏의 一員들은 蔚山에서 國王의 賜額을 받은 書院建立을 主導하는 等 [5] 蔚山에서 影響力이 剛한 재지 士族 士族으로 자리잡았다.

行列字 [ 編輯 ]

分派 [ 編輯 ]

  • 縣令公派(淸凉派)
  • 參奉公派(月殄破)
  • 鳳사공파(書面派)
  • 부정공派(弄소파)
  • 判事公派(곡강派)

文化財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世宗實錄》 卷107, 世宗 27年(1445年) 2月 23日(丁卯) 2番째 記事
  2. 土星(土姓) 9個는 朴(朴), 金(金), 李(李), 목(睦), 前(全), 오(吳), 尹(尹), 文(文), 임(林)이다(《세종실록》 卷150, 地理誌 慶尙道 蔚山郡).
  3. 世宗實錄 107卷, 世宗 27年 2月 23日 丁卯 2番째記事
  4. 이인상(李仁常,1577~1598) 이경연(李景淵 1565~1643) 痢疾백(李質白,1567~1642) 이경용(李景溶,1554~1654) 이한남(李翰南,1565~1629) 이謙益(李謙益,1575~1645) 이길(李吉,1541~1601) 이謙益(李謙益,1575~1645) 이경양(李景洋,1563~?) 等 宣撫原從功臣에 책록
  5. 1694年에 肅宗의 賜額을 받은 口腔서원(鷗江書院) 等.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