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하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하즈 ( 아랍語 : ???? )는 메카 의 聖地를 巡禮하며 宗敎的 儀禮에 參加하는 일로 모든 무슬림 (이슬람敎徒)에게 賦課된 基本的인 宗敎 義務 中 하나이다. 正規的인 巡禮를 마친 者를 하지 (????????)라고 부른다.

꾸란 》의 初期 部分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메디나 基(期)에 制度的으로 確立되어 메카의 카바 巡禮가 規定되게 되었다. 이것은 이슬람 以前의 아랍 제 種族에 依한 카바와 메카 近郊에 있는 聖地를 巡禮하는 意識이 繼承된 것이며 이는 古代 셈族 (族)의 習俗(習俗)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巡禮 意識은 신성월(神聖月)의 12月 7日에 카바 說敎를 始作으로 一齊히 開始되며, 日沒과 더불어 메카를 떠나 8日에는 아라派 에 集結하고 9日에는 그 언덕 위에서 擧行하는 儀式으로 最高潮에 達한다. 日沒과 함께 무즈달리派 에 急히 달려간다. 10日에는 미나 에서 세 기둥이 있는 돌무덤에 돌을 던지고 염소와 駱駝를 祭物로 바친다. 그 날은 '이드 쓰 弔賀'에 該當한다. 여기에서 行事는 一段落되고 巡禮者는 머리를 깎고 손톱을 자르며 全面的인 淸淨(淸淨) 狀態로부터 半쯤 解除된 狀態로 들어간다(타할르). 카바에서의 行事를 마친 다음 다시 淸淨의 狀態로 蛇巴, 마르와의 언덕에 巡禮(움라)를 한다. 이들 行事 中 카바에서 검은 돌을 만지는 行事, 미나에서 사탄 模樣을 한 碑石에 돌을 던지는 行事는 《꾸란》에 뚜렷하게 나와 있지 않으나 무함마드 가 巡禮할 때 擧行한 것으로 믿어져서 巡禮 行事에 넣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巡禮를 함에 있어서는 儀禮的(儀禮的)으로 淸淨(淸淨)의 狀態에 들어가지 않으면 안 되며 俗戒(俗界)에서 입는 옷을 벗어 버리고 무늬 없는 순례복을 입게 된다. 이 狀態에서는 狩獵, 손발톱을 자르는 일, 香水를 바르는 일, 帽子를 쓰는 것, 性交 따위는 禁止되고 이와 같은 터부 狀態는 巡禮 意識이 모두 끝나고 日常 生活로 되돌아갈 때까지는 解除되지 않고 그대로 維持된다.

18世紀에 이르기까지 巡禮 期間에 메카에는 큰 市場이 서고 全 世界의 産物이 모이게 되었다. 巡禮는 全 世界의 이슬람 敎徒가 一堂에 모이게 되는 機會이며, 異民族(異民族)의 이슬람 敎徒間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中間 役割을 하고 共通된 意識에 依한 交流와 結束 意識이 强化되고 새로워지는 것을 剛하게 實感할 수 있다. 또한 聖者(聖者)의 墓所 參拜는 '즈이야라'라고 부르며 앞서 말한 '下肢'와는 區別된다. 메카 巡禮가 끝난 뒤 巡禮者는 메디나에 있는 무함마드 墓에 參拜하는 것이 普通이다. 시아派 교도에겐 特히 이라크 南部에 集結되어 있는 이맘 殉敎地의 廟堂(廟堂)에 參拜하는 것이 메카 巡禮 못지않은 重要한 意味를 갖는다. 樹皮 性子猫(聖者廟)에 參拜하는 것도 宗敎的으로 같은 意味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聖者의 誕生日에는 聖地에 市場이 선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