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피피누스 2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피피누스 2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피핀 2歲 (Pepin II, 630年 ~ 714年 12月 16日 )는 프랑크 王國 의 貴族이자 아우스트라시아 王國의 궁재였다. 프랑크 王國 의 宮廷 行政官 피핀 1歲 의 딸 베가와 아르눌프 의 아들 안세기셀 의 長男이며, 레온 伯爵 마르틴의 兄이었다. 外할아버지 피핀 1歲 및 孫子 피핀 3歲 에 對하여 中 피핀 (中Pepin, Pepin the Middle)으로도 부르며, 페펭 드 에리스脫 , 페펭 데리스脫 , 피핀 드 헤르스탈 , 等으로도 부른다. 687年 부터는 프랑크 王國 全域의 實權을 掌握하고 스스로 프랑크의 王子이자 工作이라는 稱號를 使用했다.

679年 다고베르트 2歲 가 암살당하고 이듬해 아우스트라시아 王國의 實權을 掌握하였다. 그뒤 여러 番의 戰爭에서 勝利, 687年 네우스트리아 의 王 테오道理히 3歲 와 弓材 에브로人 과 戰爭을 벌여 最終 擊破하고, 네우스트리아 , 부르군트 의 弓材를 겸하여 프랑크 王國 全體의 實權을 掌握하였다. 뒷날 프랑크 王國 의 全權을 掌握하는 카를 마르텔 은 그의 庶子였다. 體軀가 肥大했던 그는 뚱보 피핀(Pepin le Gros, Pepin the Fat), 그밖에 젊은 피핀(Pepin le Jeune, Pepin the Younger)로도 부른다.

生涯 [ 編輯 ]

出生 年代는 다양하여 630年 生 설, 635年 生 설, 620年 生 說 等이 있다. 메츠 主敎 아르눌프 의 아들인 안세기젤 피핀 1歲 의 딸 베가의 아들이다. 그의 동생은 레온 伯爵 마르틴이고 女同生 클로틸드 도드 네우스트리아 의 王 테오道理히 3歲 의 王妃였다. 그는 벨기에 헤르스탈 地域에서 태어났고, 이때문에 헤르스탈의 피핀이라는 別稱이 붙었다. 體軀가 肥大했던 그는 뚱보 피핀(Pepin le Gros, Pepin the Fat)이라는 別名도 있었다.

662年 或은 669年 아버지 안세기셀 아우스트라시아 의 한 貴族에게 暗殺되었다. 피핀은 自身의 아버지의 暗殺에 關與한 貴族을 殺害하여 復讐하였다. [1]

쾰른 의 星 마틴 쾰른 修道院의 기둥에 浮彫된 피핀(오른쪽)과 아내 플렉트루데(왼쪽)

660年 에서 670年 사이에 피핀은 모젤 (Moselle) 地域의 大地主 집안의 딸인 플렉트루데 (Plectrude)와 結婚하였다. 플렉트루데는 그와 結婚하면서 모젤 地域의 土地 一部를 結婚 持參金 으로 가져왔다. 그女는 男便 피핀 2世와 結婚하면서 結婚 持參金 外에도, 아르눌핑 家門에 많은 量의 財産을 가져왔다. [2] 플렉트루데 는 피핀의 政治 活動과 政策 決定에 一定部分 목소리를 내고, 相當部分 影響力을 行使하였다.

678年 兄弟 마르틴 드 헤르스탈 과 함께 네우스트리아 의 弓材 에브로人 과 戰鬪를 벌였다. 679年 아우스트라시아 의 王 다고베르트 2歲 가 죽자 아우스트라시아 의 宮廷 行政官이 되어 몇年間 實力을 쌓았으며, 네우스트리아 테오道理히 3歲 와 그의 弓材였던 에브로人 에 對抗해 自治權을 지켰다.

680年 아우스트라시아의 弓材 불抛알트(Wulfoald)가 죽자 아우스트라시아의 單獨 궁재로서 實權을 掌握했다. 680年 레온 近處 壘코파誤 戰鬪에서 에브로人 에게 졌으며, 피핀은 에브로人 에게 사로잡혔다가 奇跡的으로 脫出했다. 그러나 그의 동생 마르틴은 레온 으로 돌아갔다가, 에브로人 이 보낸 刺客에게 암살당했다. 그러나 681年 或은 684年 에브로人 이 貴族 에르멘프로이(Ermenfroi)에 依해 逐出, 或은 暗殺로 사라지면서 狀況은 피핀에게 유리하게 展開되었다. 이듬해 피핀은 에브로人 의 後任으로 아우스트라시아 의 弓材가 된 바라土(Waratto)와 協商, 條約을 締結하였다.

686年 네우스트리아 弓材 바라토가 죽고 그 後繼者로 베르타르(Berthar)가 弓材가 되자 네우스트리아를 攻擊, 687年 페론 近處 테르트리의 戰鬪에서 네우스트리아 人들을 굴복시키고 霸權을 잡았다. 테오道理히 4世는 파리 로 물러났다. 그는 베르타르를 네우스트리아 弓材職에서 물러나게 하고, 네우스트리아의 弓材職도 차지했다. 그러나 테오道理히 3歲 를 廢位시키지 않고 繼續 王位에 앉혔고, 그가 죽은 뒤에는 메로빙거 王朝의 王 3名이 連달아 뒤를 잇게 했다. 이때 부르군트 아키텐 의 貴族들 亦是 形式的으로 服從, 피핀의 宗主權을 認定했다. 그의 攝政에 反撥한 테오道理히 3歲 네우스트리아 의 貴族들과 함께 여러番 그의 影響力下에서 分離獨立을 試圖했지만 피핀은 그때마다 霧散시켰다. 同時에 프랑크 王國의 南部 地方의 領主들 亦是 內戰을 틈타 獨立을 祈禱하였다.

687年 피핀은 프랑크의 王子이자 工作(Duke and Prince of the Franks, dux et princeps Francorum )이라는 職銜을 使用하기 始作했다. [3] 이 해에 自身의 追從者인 노르드베르트(Nordebert)를 네우스트리아 의 弓材로 追加 選任하였다. 베르타르가 다시 攻擊해와 交戰, 이때 베르타르는 自身의 丈母 안세필드(Ansfled)를 죽이고 逃亡쳤다. 이때 베르타르의 아내 安世트루드(Anstrude)는 피핀의 아들 상파뉴 伯爵 드로고 1歲 와 結婚했고, 그 해에 네우스트리아 를 掌握하는데 成功한다. 實權을 掌握한 피핀은 마르스 캠프(Champ de Mars)라는 會議를 召集, 여기에서 政治 事務를 處決했다. 마르스 캠프 會議에서 主로 論議되는 問題는 軍事 問題였다.

680年 臺 中盤부터 프랑크 王國 의 北東쪽 國境을 威脅하던 프리기아 ( 프리슬란트 ) 部族들을 攻略, 遠征하여 689年 에 물리치고, 朝貢關係를 形成하였다. 그 해 아들 그리모알트 2歲 프리기아 部族長 라드보트 의 딸 테오델린트 와 結婚시켰다. 또한 알레만니族 프랑코니아 프랑크 王國 에 服屬시켰고, 알레만니아와 바이에른 그리스도교 宣敎師 派遣과 遂行을 도와 基督敎 宣敎를 支援, 奬勵했다.

690年에서 692年 사이에 피핀은 위트레흐트 一帶를 占領하였다. 그리고 프리기아를 攻擊, 드루스테드(Wijk bij Duurstede) 戰鬪에서 프리기아 의 不足孔 라트보트 를 물리쳤다. 이로서 프랑크 王國 라인江 에서 北海 로 가는 重要한 貿易路를 統制할 수 있게 됐다. 691年 테우데理쿠스 3歲 가 죽자, 피핀은 그의 아들이자 自身의 外조카인 클로逃婢쿠스 4歲 를 王으로 허수아비 王으로 앉히고, 뒤에서 操縱하였다. 그러나 클로逃婢쿠스 4歲 亦是 694年/695年에 死亡한다. 피핀은 다시 테우데理쿠스 3世의 아들이자 클로逃婢쿠스 4歲의 兄弟이자, 피핀 自身의 外조카 킬데베르투스 4歲 를 王으로 앉혔다. 695年 아들 드로고 1歲 부르군트 의 弓材로 임명했고, 697年 노르드베르트가 死亡하자 피핀은 自身의 아들 그리모알트 2歲 네우스트리아 로 보내 弓材職에 임명했다.

그는 오랫동안 病을 앓고 있었다. 708年 長男 드로고 가 죽고 714年 4月 或은 7月 에는 마지막 살아남은 赤字인 그리모알트 2歲 가 그의 後繼者로 指名받으러 오다가 피레네山脈 近處 리에주 의 敎會에서 殺害되어 孫子들에게 繼承權을 넘겼다. 그러나 곧 카를 마르텔 의 쿠데타로 弓材 職位는 庶子인 카를 마르텔에게 넘어가게 된다. 그해 12月 16日 프랑크 王國 벨기에 리에주 近處의 쥐筆(Jupille)에서 갑작스럽게 死亡했다. 屍身은 리에주 의 쉐브르몽(Chevremont) 聖堂 바실리카에 埋葬되었다.

事後 [ 編輯 ]

死亡 直前 그는 情實 플렉트루데 蘇生 드로고, 그리모알트의 아들들을 法的 後繼者로 宣言했다. 그러나 當時 成年이었던 庶子 카를 마르텔은 이에 反撥했고, 이는 곧 內戰으로 이어졌다.

家族 關係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前任
(新設)
프랑크 工作
687年 - 714年
後任
카롤루스 마르텔
  1. Anselme de Sainte-Marie (Pere Anselme), Histoire genealogique et chronologique de la maison royale de France - Tome I, p. 22
  2. "Pippin II (d. 714) extended the family's influence further south by marrying Plectrude, whose family had founded the monastery at Echternach and controlled great tracts of land in the Ardennes and the middle Moselle region." Story, Joanna; et al. (2005). "Charlemagne's black marble: the origin of the epitaph of Pope Hadrian I". 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73. pp. 157?190. P. 183
  3. "Pepin de Herstal (687 a 714)", Histoire-f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