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피아노 소나타 5番 (베토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피아노 소나타 5番 (베토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피아노 소나타 5番
루트비히 版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젊은 베토벤
(1801年, 카를 트라우고트 리델의 肖像畫)
造成 다短調
作品番號 10-1
장르 피아노 소나타
作曲 1795年  ( 1795 ) ?97年頃
憲政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伯爵夫人
出版 1798年  ( 1798 )
樂章 3

피아노 소나타 5番 다短調, 作品 番號 10-1》는 루트비히 版 베토벤 에 依해 쓰인 피아노 소나타 로, 세 個의 소나타(5番, 6番, 7番)로 이루어진 作品 番號 10 세트의 첫 番째 作品이다. 國內에서는 드물지만, 全體的으로 悲劇的이고 緊張感을 가진 것이 같은 다短調의 8番 소나타 "비창"과 類似하다고 하여, " 작은 비창 "(Little Pathetique)이라는 別稱을 갖고 있기도 하다.

槪要 [ 編輯 ]

세 個의 소나타, 作品 番號 10 세트의 作曲 鳶島는 完全히 特定되어 있지는 않으나, 구스타프 노테봄의 硏究에 따르면 1796年부터 1798年에 걸쳐 作成된 것으로 推定되고 있다. [1] [2] 初版은 1798年에 作品 番號 10으로 세 個의 作品이 모아져서 에데르 社를 통해 刊行되었다. [3] 세 個의 소나타는 모두 베토벤을 熱心히 擁護한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伯爵夫人에게 獻呈되고 있다. 브로우네 伯爵夫人은 作品 番號 10 세트 以外에도 브라니츠키의 발레 音樂 《숲속의 아가씨 中 러시아 舞曲 主題에 依한 열두 個의 變奏曲, WoO 71》도 憲政받고 있지만, 1803年 5月 13日에 世上을 떠나게 되는데, 그女의 죽음에 가슴 아파한 베토벤은 겔레트레의 詩를 基盤으로 한 《여섯 個의 歌曲, 作品 番號 48》을 그女의 男便으로 그의 後援者이기도 한 요한 게오르그 폰 브로우네 伯爵에게 獻呈하고 있다. [週 1]

이 5番 소나타의 第1樂章과 第2樂章은 1796年에 行해진 유럽 演奏旅行 前에는 이미 쓰여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5] 처음에는 스케르초 또는 미뉴에트의 樂章도 구상되고 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最終的으로는 破棄되었고, 피아노 소나타 장르의 一連番號를 갖고 있는 作品으로서는 作曲者에게 있어 처음이 되는 3樂章制로 쓰여졌다. [6] 前3樂章에 安着함으로서 빈의 4樂章 形式의 傳統을 脫出함과 同時에 作品의 힘과 內容의 凝縮度를 높이고 있으며, [7] 산뜻해진 構成을 取하면서 느슨해지는 일 없이 알찬 內容을 담는 것에 成功하고 있다 [3]

樂章 構成 [ 編輯 ]

作品은 全3樂章으로 構成되어 있고, 演奏 時間은 約 18分 程度 所要된다.

第1樂章. 알레그로 몰토 에 콘 브리오 [ 編輯 ]

3/4 拍子, 다短調, 소나타 形式.

書頭의 첫 番째 主題는 決然한 主和音에 이은 만하임 樂派風의 上昇音型 및 應答樂句로 이루어져 있다(악보1). 곳곳에 揷入되는 休否는 劇的인 效果를 낳고 있다.

樂譜1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 \key c \minor \time 3/4 \tempo "Allegro molto e con brio."
    \override Score.NonMusicalPaperColumn #'line-break-permission = ##f
    <c' g es>4. r16 g([ es'8. c16] g'8.[ es16 c'8. g16] es'4-.) es-. r4 <c, g>4 <c g>2( <b g>4)
    <b aes f>4. r16 g([ f'8. d16] b'8.[ f16 d'8. b16] f'4-.) f-. r <d, b> <d b>2( _\( c4) \)
   }
   \new Dynamics {
    s4\f s2 s2. s2 s4\p s2. s2.\f s s2 s4\p
   }
   \new Staff { \key c \minor \time 3/4 \clef bass
    <c, g es c>4. r8 r4 R2*3/2 r4 r \clef treble <es c> <es c>2( ^\( <f d>4) \) \clef bass
    <d b aes f d>4. r8 r4 R2*3/2 r4 r \clef treble <aes' f d> <aes f d>2( ^\( <g es>4) \)
   }
  >>
 }

1마디의 休紙를 사이에 두고 4城으로 쓰여진 經過部로 들어가 알베르티 베이스 위에 平行調의 내림마장조로 제2주제가 提示된다(악보2).

樂譜2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3/4
    \override Score.NonMusicalPaperColumn #'line-break-permission = ##f
    g'2.~ g4.( bes8 es4) es2.( d4-.) r r bes2. bes4.
    ^\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1
        \teeny \center-column {
         \musicglyph #"scripts.turn"
         \natural
        }
       }
    f'8-. aes!4-. aes2.( g4-.) r r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3/4 \clef bass
    es,,8 bes' g bes f bes es, bes' f bes g bes f bes g bes aes bes f bes g bes aes bes
    d, bes' f bes es, bes' | d, bes' es, bes' f bes | es, bes' f bes g bes | es, bes' f bes g bes
   }
  >>
 }

第2主題가 發展하여 포르테媤母에 到達하면 제1주제의 附點 리듬이 登場하고, 以後 코데타에서 氣勢를 거두고 차분한 語調로 提示部를 마무리한다. 提示部의 反復을 마치면 樂譜1을 다長調로 옮겨 展開部가 開始된다. 이어 바短調가 되어 새로운 素材가 導入된다(악보3).

樂譜3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3/4
    \override Score.NonMusicalPaperColumn #'line-break-permission = ##f
    <f' f,>2. <c' c,>2 <c c,>4 <c c,>( <b b,> <des des,> <c c,> <bes! bes,!> <g g,>)
    <e e,>2( <g g,>4 <c c,>2 <g g,>4) <bes bes,>2.( _\( <aes aes,>4) \)
   }
   \new Dynamics {
    s2.\p s s s s\< s2\> s4\!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3/4 \clef bass
    f,,8 c' aes c f, c' | f, c' aes c f, c' | g c bes c g c | e, c' g c e, c' |
    c, c' e, c' g c | e, c' g c bes c | f, c' aes c f, c' | f,[ \set stemRightBeamCount = 1 c']
   }
  >>
 }

以後 推移를 거쳐 再現部에 到達한다. 첫 番째 主題에 이은 두 番째 主題는 먼저 마長調로 再現되지만, 形式에 따른 다短調로 轉換되어 다시 演奏된다. 마지막에는 새로운 코다를 두지 않고 最强音으로 主和音을 쳐서 힘차게 끝낸다.

第2樂章. 아다지오 몰토 [ 編輯 ]

2/4 拍子, 내림가長調, 展開部의 省略된 소나타 形式.

잔잔한 樂想 속에 豐富한 情感이 담겨 있으며, 作曲者의 作品 中에서도 손꼽히는 매우 아름다운 緩徐樂章으로 完成되었다. 樂章은 樂譜4의 첫 番째 主題로 始作한다.

樂譜4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 \key aes \major \time 2/4 \tempo "Adagio molto."
    <<
     {
      \override TextScript #'avoid-slur = #'inside
      \override TextScript #'outside-staff-priority = ##f
      aes'4^\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4
        \small \musicglyph #"scripts.turn"
        }
       ( c8. bes16) aes4.( a8) bes4^\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6
        \teeny \center-column {
         \musicglyph #"scripts.turn"
         \natural
        }
       }
      ( des8. c16) bes4.( b8)
      c8.. aes32 es'8.. c32 f8.. des32 <aes'~ des,~ aes~>4*7/8\arpeggio \hideNotes <aes des, aes>32
     }
    \\
     { c,,4 des c4. d8\rest es4 es8 aes! g4. e8\rest es4 <aes es> <aes f> s4 }
    >>
   }
   \new Dynamics {
    s4\p s s2 s s s8\cresc s\! s4 s s\fp
   }
   \new Staff { \key aes \major \time 2/4 \clef bass
    <<
     {
      \stemDown <aes, es aes,>4( \stemUp <g es g,> \stemDown <aes es aes,>4.) d,8\rest
      \stemUp des'8[( bes aes c)]
     }
    \\
     {
      s2 s g4 aes <es' es,>4. d,8\rest
      aes'4 <c aes c,> <des aes des,> <f~ des~ aes~ f~>4*7/8\arpeggio \hideNotes <f des aes f>32
     }
    >>
   }
  >>
 }

樂譜4街 變奏되면 裝飾音으로 彩色된 經過句가 된다. 에드빈 피셔 는 이것과 바흐 파르티타 6番 사이에 搜査的 類似性을 發見했다. 두 番째 主題는 내림마장조로 나오고(악보5) 極히 細細한 音標에 依해 變奏된다.

樂譜5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aes \major \time 2/4
    \override TextScript #'avoid-slur = #'inside
    \override TextScript #'outside-staff-priority = ##f
    d'4~
    d8^\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4
     \tiny \musicglyph #"scripts.turn"
     }
    ( es16. f32) f8( es4 e8) f4~
    f8^\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4
     \teeny \center-column {
      \musicglyph #"scripts.turn"
      \natural
     }
    }
   ( g16. aes32) aes8( g16) r r4
   }
   \new Dynamics {
    s4\pp s s2 s4 s8\< s16. s32\! s8\> s16\!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aes \major \time 2/4 \clef bass
    <<
     { s2 s s4. g,,16.( f32) s2 }
    \\
     {
      <bes aes>8[ <bes aes> <bes aes> <bes aes>] | <bes g>[ <bes g> <bes g> <bes g>]
      <bes aes d,>[ <bes aes d,> <bes aes d,> <bes d,>]
      <bes fis es>[ <bes g es> <bes g es> <bes g es>]
     }
    >>
   }
  >>
 }

이어지는 樂想은 附點音標로 提示되고 3年賦로 變奏되어 高調된다. 展開部가 있어야 할 個所에서는 아르페지오로 포르테시모의 딸림7화음 이 한 番만 울리고 卽時 再現部가 된다. 再現部에서 두 主題는 變奏의 形態로 演奏되고, 第1主題를 素材로 하는 코다를 거쳐 조용히 닫힌다.

第3樂章. 프레스티시모 (다短調) [ 編輯 ]

2/2 拍子, 다短調, 소나타 形式.

매우 짧은 樂章이면서도 創意가 功들여져 있어 알찬 內容을 자랑한다. 單獨 樂章으로는 採擇되지 않았던 스케르초의 要素가 담겨져 있다는 視角도 있다. 도널드 프랜시스 토비는 이 樂章의 拍子와 急速한 템포 指定이 招來하는 어려움을 指摘하고 있고, 카를 체르니는 如前히 完璧하게 演奏되었을 때만 엄청난 유머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書頭부터 섬뜩하고 緊迫感 있는 第1主題가 演奏된다(악보6). 피아노 삼중주 3番 이나 피아노 協奏曲 3番 等과 마찬가지로 作曲者의 다短調 作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니즌에 依한 弱音으로부터의 始作이다.

樂譜6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 \key c \minor \time 2/2 \partial 4*5/2
    \tempo \markup {
     \column {
      \line { FINALE. }
      \line { Prestissimo. }
     }
    }
    \override TextScript #'avoid-slur = #'inside
    \override TextScript #'outside-staff-priority = ##f
    c8( b c) f-. f-. es4 r8 c( b c) aes'-. aes-. g4 r8
    c,( b c) c'-. c-. c4^\markup
    \override #'(baseline-skip . 1) {
     \halign #-4
     \teeny \center-column {
      \musicglyph #"scripts.turn"
      \natural
      }
     }
    ( es8 d f es d c) b4
   }
   \new Dynamics {
    s4\p
   }
   \new Staff { \key c \minor \time 2/2 \clef bass
    c,,8( b c) f-. f-. es4 r8 c( b c) aes'-. aes-. g4 r r2 <fis' c aes>1 <g d g,>4
   }
  >>
 }

第1主題가 發展한 經過에서 16分 音標의 흐름이 일어나 單숨에 氣勢를 올린 後 페르마타에 依해 區分된다. 두 番째 主題는 내림마장조로 나오는 樂譜7이며, 첫 番째 主題와는 對照的인 性格을 가지고 있다.

樂譜7


 \relative c' {
  \new PianoStaff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2/2 \partial 2
    <<
     {
      b'8\rest bes,-. c-. d-. es-. f-. g4-. <f d bes>-. <es bes>-. <aes d, bes aes>2 \clef bass
      d,,8\rest bes'8-. c-. d-. es-. f-. g4-. \stemDown <f c f,>-. <es c f,>-. <bes f d>2
     }
    \\
     { s2 <bes g>2 s s1 <bes g>2 }
    >>
   }
   \new Dynamics {
    s8 s4.\p
   }
   \new Staff \with { \remove "Time_signature_engraver" } { \key c \minor \time 2/2 \clef bass
    r2 <es, es,>2 <aes aes,>4-. <g g,>-. <f bes, f>2 r <es es,> <aes, aes,>4-. <a a,>-. <bes bes,>2
   }
  >>
 }

이윽고 第1主題가 低音으로 나오면 絢爛한 패시지가 反復되어 極히 簡素한 코데타를 두고 提示部의 反復이 된다. 不過 11마디로 이루어진 展開部는 樂譜6 書頭의 素材로만 構成되며, 그 끝에는 交響曲 5番 의 運命 同期와 비슷한 動機가 登場한다. 再現部에서는 다短調의 第1主題 뒤에 제2주제가 다長調로 나온다. 코다에서는 먼저 내림라장조의 두 番째 主題가 演奏되지만, 漸次 速度를 줄여 아다지오에 到達하면 後年의 피아노 소나타 17番 (템페스트)을 떠올리게 하는 아르페지오가 揷入된다. 여기에서 元來 速度로 復歸하면 제2주제 要素에 제1주제가 組合되고, 마지막에는 潛潛해지면서 前 曲이 幕을 내린다.

各州 [ 編輯 ]

內容主 [ 編輯 ]

  1. "TROIS SONATES pour le Clavecin ou Piano Forte" [4]

出處週 [ 編輯 ]

  1. 큰나무 1980 , 333쪽.
  2. (英語) 피아노 소나타 5番 - 올뮤직 . 2016-05-29에 確認.
  3. 큰나무 1980 , 334쪽.
  4. “Beethoven, Piano Sonata Op.10 first edition” (PDF) . Eder. 1798. 2016年 9月 21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5月 29日에 確認함 .  
  5. Angela Hewitt . “Piano Sonatas Opp 2/2, 10/1, 78 & 110” . Hyperion Records . 2016年 9月 11日에 確認함 .  
  6. “Andras Schiff lecture recital: Beethoven's Piano Sonata Op 10 no 1” . The Guardian . 201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7. “Beethoven, Piano Sonatas” (PDF) . CHANDOS . 18쪽 . 2016年 9月 11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