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프랑코프로방스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프랑코프로방스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프랑코프로방스語
Franco-Provencal
patous, gagaer, arp?ttan
使用 國家 이탈리아 , 프랑스 , 스위스
使用 地域 이탈리아 발레다오스타州 , 피에몬테주
프랑스 프랑슈콩테 , 사보이 , 브레스 , 뷔第 , 동브 , 보졸레 , 도피네 , 리요네 , 포레 ,
스위스 로만디
言語 人口 157,000名 (2013年)
프랑스 80,000名, 이탈리아 70,000名, 스위스 7,000名
文字 로마字
言語 系統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語派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語群
     이탈리아西部魚群
      西部로망스語群
       갈리아로망스語群
        프랑코프로방스語
初期形態 初期 라틴語
續라틴語
先로망스語
古代 갈리아로망스語
公用語 및 標準
少數言語로서
쓰는 나라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方言 逃避누아어
派이타르어
쥐라시앙어
리요네어
社報이어
발도탱어
보두아어
言語 富豪
ISO 639-3 frp 프랑코프로방스語
프랑코프로방스어의 사용 지역 청색: 공용어 / 하늘색 : 지역어 / 옥색: 사멸
프랑코프로방스語의 使用 地域
靑色: 公用語 / 하늘色 : 地域語 / 玉色: 死滅

프랑코프로방스語 ( 英語 : Franco-Provencal , 프랑코프로방스語: francoprovencal, 이탈리아語 : francoprovenzale )는 南部의 오크語 (옥시타니아어)와 北部의 오일어 (프랑스語) 사이에서 몇가지 獨特한 方言 으로 區分되는 갈리아 로망스語群 의 言語學的 下位 그룹이다.

프랑스 東部~中部와 스위스 西部, 이탈리아 北西部의 高地帶에서 使用되는 地域語이며, 여러 個의 方言 으로 뚜렷히 分離된다. 이웃한 로망스語群 言語 (프랑스의 오일어 오크語 , 스위스와 이탈리아의 레토로망스語 )와도 區分되나 密接한 聯關性을 지니고 있다.

프랑코프로방스語의 言語學的 區分과 命名은 19世紀로 거슬러 올라간다. 20世紀 後半부터는 該當 言語 使用地域을 아르피타니아 라고 부르려는 地域民들의 움직임에 따라 아르피타니아어 (arpetan)라는 新造語 로도 불리고 있다. [1] 그러나 該當 新造語가 쓰이는 範圍는 極히 限定的으로, 學界에서는 '프랑코프로방스語'로 적는 것이 자리잡아 있다. 實際 原語民들 사이에서는 單純히 破鬪아 (patois)라고 하거나, 더 따지고 들어가서 自己가 쓰는 方言의 名稱 (社報이어, 리요네어, 가가어 等)으로 부른다. [2]

歷史的으로 사보이아 公國 에서 널리 쓰였던 言語였으며 오늘날 話者의 大多數는 이탈리아의 발레다오스타州 地域에 年集中 分布해 있다. [3] 스위스 프랑스語圈 地域 에볼렌 一帶에서도 普遍的으로 쓰이며, 그 밖의 地域에서는 話者의 規模가 적고 老齡層에 集中되는 樣相을 보인다. 한便 이탈리아 北部 토리노 와 南部 아풀리아週 派에토 첼레디비토 一帶에서도 옛날부터 使用되어 왔다. [4]

프랑스에서는 오일어 , 오크語 와 함께 主軸을 이루는 갈리아로망스語 中 하나이다. 프랑스의 代表 地域語 中 하나이지만 話者 規模는 크지 않은 便이다. 그럼에도 地域機關를 中心으로 文化行事, 敎育, 學界硏究, 出版 活動으로 꾸준히 保存하려는 努力을 이어가고 있다.

1995年 유네스코 에 따르면 프랑코프로방스語는 이탈리아에서 "潛在的으로 消滅 危機에 處한 言語"이고, 스위스와 프랑스에서는 " 消滅危機言語 "이다.

홀소리 [ 編輯 ]

傳說 모음 中說 모음 喉舌 母音
高母音 i iː y u
中古母音 e ø o oː
中母音 ?
重低母音 ? ?ː œ ?
低母音 a ? ?ː
코홀소리
傳說 모음 喉舌 母音
高母音 ? ?
中母音 ?? o
低母音 ??

닿소리 [ 編輯 ]

純音 齒音 /
齒莖音
後齒莖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
口蓋垂音
破裂音 無聲音 p t c k
有聲音 b d ? ?
破擦音 無聲音 ( t?s ) ( t?? )
有聲音 ( d?z ) ( d?? )
摩擦音 無聲音 f s ?
有聲音 v z ? ( ? )
비음 m n ? ( ŋ )
顫動音 r
舌側音 l ?
接近音 平音 j
純音 ? w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lain Pichard, Nos ancetres les Arpitans 保管됨 2011-07-15 - 웨이백 머신 , 24 Heures, Lausanne, 2 May 2009.
  2. Gasquet-Cyrus, Mederic (2018年 2月 14日), Auzanneau, Michelle; Greco, Luca, 編輯., “Frontieres linguistiques et glossonymie en zone de transition: le cas du patois de Valjouffrey” , 《Dessiner les frontieres》, Langages (Lyon: ENS Editions), ISBN   978-2-84788-983-3 , 2021年 4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11月 16日에 確認함  
  3. Site du Centre d'etudes francoprovencales : "Au temps de Willien : les ferments de langue" 保管됨 27 6月 2022 - 웨이백 머신 .
  4. Enrico Allasino; Consuelo Ferrier; Sergio Scamuzzi; Tullio Telmon (2005). “LE LINGUE DEL PIEMONTE” (PDF) . 《IRES》 113 : 71. 2022年 2月 16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3月 4日에 確認함 – Gioventura Piemonteisa 經由.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