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루이 (1729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프랑스의 루이
Louis Ferdinand de France
프랑스의 度烹(王太子)
이름
Louis de France
身上情報
出生日 1729年 8月 4日 ( 1729-08-04 )
出生地 프랑스 왕국의 기 프랑스 王國 베르사유
死亡日 1765年 12月 20日 ( 1765-12-20 ) (36歲)
死亡地 프랑스 王國 퐁텐블로
家門 부르봉 王家
父親 루이 15歲
母親 王妃 마리 레슈親스카
配偶者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작센 貢女 마리아 要제파
子女 마리 테레즈
루이 16歲
루이 18歲
샤를 10歲
사르디냐 王妃 클로틸드
엘리자베트 필리피네

프랑스의 루이 ( 프랑스語 : Louis de France , 1729年 9月 4日 ~ 1765年 12月 20日 )는 프랑스 皇太子 이다. 루이 15歲 와 그의 王妃인 폴란드 마리 레슈親스카 의 長男이다.

後日 프랑스의 國王을 歷任하는 루이 16歲 , 루이 18歲 , 샤를 10歲 兄弟의 아버지였다. 父王의 愛妾 퐁파두르 伯爵 夫人 과 갈등하였으며, 反(反) 오스트리아 的인 政治觀을 갖고 있기도 했다.

生涯 [ 編輯 ]

出生과 幼年期 [ 編輯 ]

마리 레슈親스카와
루이 페르디낭( 1730年 )
幼年 時節

1729年 베르사유 宮殿 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루이 15歲 는 오래 기다리다가 얻은 아들이라 남달리 期待가 컸다.

루이 페르디낭이 태어날 當時 프랑스 王室에서 王位 繼承權을 가진 루이 14歲 의 後孫은 스페인 합스부르크 王家의 代가 끊긴 뒤 祖母인 오스트리아의 마리 테레즈 를 통해 스페인 의 王이 된 펠리페 5歲 와 그의 子孫을 除外하면 오직 루이 15歲 한 名에 不過했고, 따라서 後繼者의 誕生이 몹시 時急한 狀況이었다. 廢位된 폴란드 王의 딸이라는 身分에도 不拘하고 但只 結婚 當時 卽時 妊娠할 수 있는 可妊期의 女性이라는 理由만으로 프랑스의 王妃가 된 마리 레슈親스카 는 10名의 子女를 出産했으나 大部分 살리카 法 을 따르는 프랑스 王室로서는 重要度가 떨어지는 公主들이었고, 그나마 태어난 두 名의 아들 中 次男인 앙주 工作 필리프(Philippe, duc d'Anjou)가이 夭折하면서 루이 페르디낭만이 唯一한 프랑스의 王位 繼承者가 되었다.

그런 理由로 그의 健康 狀態와 後嗣 問題는 위아래를 不問하고 宮廷 內에서 恒常 焦眉의 關心事였다. 이러한 過剩保護的인 環境에서 자라난 루이 페르디낭은 自負心 剛하고 多少 제멋대로의 性格을 갖게 되었으나,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篤實한 信仰心과 忍耐心, 타고난 차분한 學者 氣質로 이러한 缺點을 補完하였다.

두 番의 結婚과 死亡 [ 編輯 ]

첫 番째 夫人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두 番째 夫人 작센 貢女 마리아 要제파

1745年 펠리페 5歲의 딸이자 從姑母人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와 結婚하였다. 夫婦 琴瑟은 몹시 좋았으나 長女 마리 테레즈 를 낳은 뒤 며칠 만에 아내가 死亡하면서 루이 페르디낭은 큰 傷心에 빠졌다. 그러나 죽은 王太子妃를 追慕하는 일보다는 後繼者를 낳을 새 王太子妃를 찾는 것이 더 時急하다고 判斷한 王室은 1747年 루이 페르디낭과 폴란드의 王이자 작센의 選帝侯人 아우구스트 2歲 의 딸인 16歲의 작센 貢女 마리아 要제파 (Maria Josepha von Sachsen)를 結婚시켰다. 아우구스트 2歲 에 依해 廢位된 폴란드 王의 딸이었던 마리 레슈親스카는 怨讐의 딸을 며느리로 맞아들여야 하는 狀況에 驚愕하여 이 結婚을 끝까지 말리고자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새 新婦와 함께 新房에 들어서면서 눈물을 흘려 貴族들을 驚愕시켰을 만큼 如前히 첫 아내를 잊지 못하고 있었던 데다가 어머니의 反感에 感化되어 있던 루이 페르디낭은 結婚 初期 마리아 要제파를 意圖的으로 멀리하여 안팎의 憂慮를 샀다.

그러나 마리아 搖祭파는 이러한 狀況에 失望하지 않고 王世子를 비롯한 王族들의 마음을 열기 위해 꾸준히 努力하였고, 實際로도 篤實한 信仰心과 嚴格한 道德的 基準 等 많은 點에서 루이 페르디낭과 비슷한 性格을 가져 結局 두 夫婦는 서로를 信賴하며 좋은 結婚 生活을 維持할 수 있었다. 後嗣 問題도 成功的으로 解決되어 둘 사이에서 태어난 9男 4女 中 3男 2女가 살아 남았고, 이들 세 아들은 모두 後日 國王이 되었다. 그러나 루이 페르디낭 本人은 1765年 36歲에 퐁텐블로 宮殿 에서 結核으로 死亡하였다.

道德觀과 政治觀 [ 編輯 ]

度烹 루이 페르디낭

基督敎 信仰心이 透徹하고 道德的인 基準이 매우 높았던 루이 페르디낭 은 프랑스 宮廷의 墮落性을 恒常 慨歎하였고, 그 中에서도 特히 亂雜하기로 이름난 父王의 私生活에 對해 剛한 反感을 가졌다. 王과 王太子는 서로를 尊重했지만 닮은 點이 거의 없었고, 더욱이 道德的 問題에 있어서는 서로가 雙璧을 이루고 있었던 탓에 富者의 關係는 恒常 所願하였다. 대놓고 父王을 非難할 수는 없었던 루이 페르디낭은 代身 아버지의 政府들에 對해 나쁜 感情을 갖고 있다는 點을 숨기지 않았다. 그 中에서도 特히 餘他 政府들과 달리 루이 페르디낭과 거의 비슷한 時期를 살았던 마담 드 퐁파두르 는 王太子의 集中 砲擊 對象이었다. 루이 페르디낭은 누이들과 함께 露骨的으로 마담 드 퐁파두르를 "더러운 娼女"라 부르며 그女를 不快하게 여겼다. 이러한 王太子와 王의 政府 間의 對立은 마담 드 퐁파두르가 國政 運營에 本格的으로 參與하면서 더욱 深化되었다. 特히 親오스트리아 政策을 選好하였던 마담 드 퐁파두르의 性向은 傳統的으로 오스트리아를 敵國으로 여겼던 프랑스 貴族들의 剛한 反撥을 샀고, 이러한 反撥의 中心에는 바로 루이 페르디낭과 그의 아내인 마리아 要제파가 자리하고 있었다.

마리아 搖祭파는 神聖 로마 帝國 皇帝인 요제프 1歲 의 맏外孫女로 오스트리아와 緊密한 關係를 가지고 있었으나 요제프 1歲 의 뒤를 이어 皇帝가 된 그의 아우 카를 6歲 가 自身의 딸인 마리아 테레지아 로 하여금 皇位를 繼承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發表한 國本詔勅 에서 兄 요제프 1歲의 두 딸들과 그 後孫들의 皇位 繼承權을 剝奪하면서 오스트리아 皇室에 對해 强한 怨望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道烹 內外의 反 오스트리아的인 政治觀은 道彭의 未婚 누이 세 名을 비롯한 그들의 側近에게 剛한 影響을 끼쳤고 以後 루이 16歲 의 王妃가 되는 마리아 테레지아 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 의 評判과 人氣에도 影響을 미치게 된다.

特性 [ 編輯 ]

그 때까지 프랑스 王室에서 肥滿型 體型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었으나 母系로부터 그러한 體型을 물려받은 루이 페르디낭의 風采는 통통하였고, 이 같은 形質은 그의 後孫들에게도 고스란히 傳해져 살아남은 3男 2女 中 세 名의 子女들인 루이 16世와 루이 18歲 , 마리아 클로틸데 가 모두 甚한 過體重으로 分類되게 되었다.

子女 [ 編輯 ]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1745年 結婚, 1746年 死別)

이름 生日 死亡 기타
마리 테레즈 1746年 7月 19日 1748年 4月 27日 (1歲) 腰絶

작센 貢女 마리아 要제파 (1747年 結婚)

寫眞 이름 生日 死亡 기타
死産된 아들 1748年 1月 30日 1748年 1月 30日 腰絶
死産된 아들 1749年 5月 10日 1749年 5月 10日 腰絶.
마리 第被鱗 1750年 8月 26日 1755年 9月 1日 (5歲) 腰絶
브르高뉴 工作 루이 1751年 9月 13日 1761年 3月 22日 (9歲) 腰絶
死産된 딸 1752年 3月 9日 1752年 3月 9日 腰絶.
자비에 1753年 9月 8日 1754年 1月 22日 腰絶
루이 16歲 1754年 8月 23日 1793年 1月 21日 (38歲) 프랑스 國王. 프랑스 革命 에서 處刑. 膝下 2男 2女
루이 18歲 1755年 11月 17日 1824年 9月 16日 (68歲) 프랑스 國王, 子女 없음.
死産된 아들 1756年 1756年 腰絶
샤를 10歲 1757年 10月 9日 1836年 11月 6日 (79歲) 프랑스 國王, 膝下 2男 1女.
마리아 클로틸데 1759年 9月 23日 1802年 3月 7日 (42歲) 사르데냐 王國 카를로 에마누엘레 4歲 와 結婚.
死産된 아들 1762年 1762年 腰絶
엘리자베트 1764年 5月 3日 1794年 5月 10日 (30歲) 未婚. 프랑스 革命 期에 處刑.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Broglie, Emmanuel de. Le fils de Louis XV, Louis, dauphin de France, 1729-1765 . Paris: E. Plon, 1877.
  • Dechene, Abel. Le dauphin, fils de Louis XV . Paris: Librairie du dauphin, 1931.
  • Ducaud-Bourget, Francois. Louis, dauphin de France: le fils du Bien-Aime . Paris: Conquistador, 1961.
  • Hours, Bernard. La vertu et le secret: le dauphin, fils de Louis XV . Paris: Champion, 2006.
  • Huertas, Monique de. Marie-Josephe de Saxe: mere de nos trois derniers rois de France et de Madame Elizabeth . Paris: Pygmalion, 1995.
  • Proyart, Lievin-Bonaventure. Vie du dauphin, pere de Louis XVI . Lyon: Bruyset-Ponthus, 1788.
  • Rozoir, Charles du. Le dauphin, fils de Louis XV et pere de Louis XVI et de Louis XVIII . Paris: Eymery, 1815.
  • Zieli?ski, Ryszard. Polka na francuskim tronie. Warszawa: Czytelnik, 1978.
  • 엘리노어 허먼, 박아람 驛. 王의 政府 . 생각의 나무. 200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