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風土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風土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風土記 에 對해 說明한다.

  1. 中國 의 書籍名. 西晉의 평서將軍 주처(平西?軍 周?)에 依한 주처風土記(周?風土記)로 始作되어 노식(盧植)에 依한 寄主風土記(冀州風土記), 沁營(沈瑩)에 依한 臨海風土記(臨海風土記), 六工地(陸恭之)가 지었다고 傳해지는 風土記, 後衛風土記(後魏風土記)等이 있었다고 傳해진다. 邊境地域 生活相議 見聞을 整理하였다고 傳해지지만, 詳細한 內容은 분명하지 않다.
  2. 日本 나라 時代 의 地方 文化風土, 地勢 等을 各 國(?) 別로 記錄 編纂한 것. '風土記'는 正式名稱이 아니고, 다른 風土記와 區分하여 「 高風土記(古風土記) 」라고도 한다. 몇 個의 風土記가 日本 律令國家 體制下의 各 國(?)別로 記錄된 痕跡이 있고, 몇몇 現存하는 風土機가 있으나 가장 完全에 가까운 形態로 現存하는 것은 이즈모 (出雲)風土記, 또는 이즈모國(出雲?)風土記이다.
  3. 2項의 風土記들이 後代에 消失됨으로 因해, 以後에 再編纂된 것. 또는 地方의 歷史나 文物을 記錄한 書籍의 一般 名稱. 三河後風土記 , 東北後風土記, 斐太後風土記, 오늘의 風土記 (今日の風土記) 等.

高風土記 [ 編輯 ]

나라時代 初葉人 713年( 와도 (和銅) 6年) 5月, 겐메이 天皇 은 日本의 各 國(쿠니,?)에 風土記 의 編纂을 命하였다(이 時點에서는 風土記라는 名稱은 使用되지 않았다). 官撰의 支持(地誌). 皇命에 依해 칙眞(撰進)한 것은 各 國의 鞠廳(??). 漢文 체를 主로 利用한 文體 로 쓰여졌다.

속일본기 』의 와도 6年 5月 甲子(2日)組의 記事에 風土記 編纂의 命令이 실려 있는데, 風土記에 記錄해야 할 內容으로서,

  1. 軍餉(郡?)의 名稱(湖字[好字, 人命/지명용으로 利用되는 상서로운 글字]를 利用해서 表記)
  2. 産物(産物)
  3. 土地의 肥沃度
  4. 地名의 起源
  5. 傳해지는 옛이야기와 奇異한 事件.

이 提示되고 있다.

完璧히 現存하는 風土氣는 없지만, < 이즈모 國 風土記>가 거의 完本에 가깝게 남아 있고, 하리마國 風土記 (播磨?風土記), 히젠國 風土記 (肥前?風土記), 히타치國 風土記 (常陸?風土記), 分故國 風土記 (豊後?風土記)가 一部 損失된 形態로 남아 있다. 그 外 地域의 風土氣는 存在하였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오늘날에는 後世의 書籍에 引用되어 있는 當時 風土記의 內容들로부터 그 形態를 推測해볼 수 있을 뿐이다.

日本 各國(各?)의 風土記 [ 編輯 ]

「※」이外에는 모두 傳해지지 않는다.

基나이(畿?) [ 編輯 ]

도카이道(東海道) [ 編輯 ]

逃散度(東山道) [ 編輯 ]

호쿠리쿠度(北陸道) [ 編輯 ]

山印度(山陰道) [ 編輯 ]

山腰도(山陽道) [ 編輯 ]

난카이度(南海道) [ 編輯 ]

사이카이도(西海道)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