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폴리네시아어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폴리네시아어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폴리네시아어군
地理的 分布 폴리네시아
系統的 分類 오스트로네시아語族
  말레이폴리네시아語派
   오세아니아魚群
    中央太平洋魚群
    桐피지폴리네시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下位 分類
  • 통가語軍
  • 核心 폴리네시아어군
글로톨路그 poly1242 [1]
   폴리네시아어군 ( 라파누이語 는 標示되지 않음)

폴리네시아어군 ( 英語 : Polynesian languages )은 폴리네시아 와 그 隣近 地域 에서 쓰이는 여러 言語가 이루는 魚群 이다. 폴리네시아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오세아니아魚群 에 包含되며, 타히티語 , 사모아語 , 통가語 , 마오리語 , 하와이語 等 約 40個의 言語가 屬한다. 폴리네시아에 사람이 살게 된 지 오래되지 않아서 폴리네시아造語 로부터의 言語 分期가 겨우 2000年 前쯤에 始作됐기 때문에 폴리네시아 言語들은 아직 서로 類似한 部分이 많다. 特히 語彙 面에서 그러하다. 母音은 크게 變化가 없었으며 거의 모든 言語에서 / a e i o u /이다. 子音 變化 는 大體로 規則的이다.

分類 [ 編輯 ]

폴리네시아어군은 통가語軍과 核心 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 통가語 니우에어 가 통가語軍에 屬하고, 나머지는 全部 核心 폴리네시아어군에 屬한다. [2]

人稱代名詞 [ 編輯 ]

一般的으로 폴리네시아語의 人稱代名詞는 斷水, 雙手, 復讐의 세 가지 가 있다. 例를 들어 마오리語 에는 ia (그), r?ua (그 둘), r?tou (그들 셋 以上)와 같은 人稱代名詞가 있다. 雙手와 複數 代名詞의 語末에서 如前히 搜査 rua (2)와 toru (3)의 痕跡이 보이며, 따라서 復讐는 元來 三修 또는 小復讐였고 元來의 復讐는 사라졌다고 斟酌할 수 있다. (폴리네시아어군과 가까운 關係인 피지語 에는 斷水, 雙手, 소복수, 複數가 모두 있으며 오늘날 소복수는 3에서 10에 이르는 數를 나타낼 수 있다.) 또 폴리네시아語의 人稱代名詞는 靑瓷排除 1人稱, 聽者包含 1人稱, 2人稱, 3人稱의 네 가지 人稱을 區別한다. 例를 들어 마오리語의 複數 人稱代名詞는 m?tou (우리 셋 以上, 靑瓷 排除), t?tou (우리 셋 以上, 靑瓷 包含), koutou (너희 셋 以上), r?tou (그들 셋 以上)이 있다.

搜査 比較 [ 編輯 ]

[4] 1 2 3 4 5 6 7 8 9 10
니우에어 taha 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hiva hogofolu
통가語 taha ua tolu fa nima ono fitu valu hiva hongofulu
사모아語 tasi l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iva sefulu
투발루어 tasi l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iva agafulu
나누메아어 tahi lua tolu f? lima ono fitu valu iva toa
토켈라우어 tahi lua tolu fa lima ono fitu valu iva hefulu
왈리스어 tahi lua tolu f? nima ono fitu valu hiva hogofulu
푸카푸카어 tayi lua tolu wa lima ono witu valu iva laugaulu
렌넬어 tahi ŋgua toŋgu h? ŋgima ono hitu baŋgu iba katoa
필레니어 tasi rua toru f? lima ono fitu valu iva k?aro
티코彼我어 tasi rua toru fa rima ono fitu varu siva fuaŋafuru
아누他語 tai rua toru paa nima ono pitu varu iva puangapuru
서우베아어 tahi ?ua to?u fa lima tahia-tupu luaona-tupu toluona-tupu faona-tupu limaona-tupu
에마에어 tasi rua toru fa rima ono fitu βaru siβa ŋafuru
멜레필라어 tasi rua toru fa rima ono fitu βaru siβa siŋafuru
푸투나아니와어 tasi rua toru fa rima ono fitu varo iva tagafuru
시카이아나어 tahi lua tolu h? lima ono hitu valo sivo sehui
온통자바語 kahi lua kolu h? lima oŋo hiku valu sivo sehui
타쿠어 tasi lua toru fa rima ono fitu varu sivo sinafuru
카핑아마랑이어 dahi lua dolu haa lima ono hidu walu hiwa mada
누쿠오로語 dahi lua dolu haa lima ono hidu valu siva hulu
라파누이語 tahi rua toru ha rima ono hitu va?u iva ?ahuru
타히티語 tahi piti toru maha pae ?no hitu va?u iva h?e?ahuru
펜린어 tahi lua tolu h? lima ono hitu valu iva tahi-ngahulu
라로筒兒어 ta?i rua toru ? rima ono ?itu varu iva nga?uru
투아모투語 tahi rua toru f? rima ono hitu varu iva rongo?uru
마오리語 tahi rua toru wh? rima ono whitu waru iwa tekau
모리오리어 tehi teru toru tewha terima teono tewhitu tewaru teiwa meangauru
忘我레바어 tahi rua toru ha rima ono hitu varu iva rogouru
남마르키즈어 tahi ?ua to?u f? ?ima ono fitu va?u iva ?onohu?u
하와이語 kahi lua kolu h? lima ono hiku walu iwa ?umi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Polynesian〉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Lynch, John; Malcolm Ross; Terry Crowley (2002). 《The Oceanic languages》. Richmond, Surrey: Curzon. ISBN   978-0-7007-1128-4 . OCLC   48929366 .  
  3. Marck, Jeff (2000).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Canberra).  
  4. Source: The Numbers List http://www.zompist.com/numbers.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