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Pepsi Global Star Craft II League July)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2011 GSL 투어의 10番째 리그로 2011年 6月 28日 임재덕, 박서용(棄權), 박성준, 서기수로 構成된 그룹A와 이정환, 한규종, 김동환, 김상철로 構成된 그룹B의 매치를 始作으로 約 한달 間의 日程에 突入하게 된다. 메인스폰서는 펩시콜라로 決定되었다. [1]

리그期間 [ 編輯 ]

리그方式 [ 編輯 ]

  • 이番 日程 變更에서 가장 注目할 點은 코드A, 코드S, GSTL이 每週 進行된다는 것. 月曜日부터 金曜日까지 세 個의 리그가 正規 編成되어 進行된다. 月曜日은 코드A, 火, 水曜日은 코드S, 木, 金曜日에는 GSTL이 펼쳐진다. 決勝戰 外에는 週末에 競技가 펼쳐지지 않는다. 週末에 日程을 비워둔 것은 海外 리그와의 日程 調律을 위한 것으로 단, 코드A의 32强과 16强은 月曜日부터 金曜日까지 고르게 나뉘어 열린다. 또한 코드S 競技는 32强 方式을 旣存 곰TV 리그 方式에서 "듀얼토너먼트" 方式으로 變更됐다. 1競技와 2競技는 조지明識을 통해 決定되며, 3競技는 1競技 勝者와 2競技 勝者가 맞붙어 勝利한 選手가 組 1位로 16强에 進出한다. 4競技는 1競技 沛者와 2競技 敗者가 맞붙는다. 이 競技에서 敗한 選手는 兆 4位가 되어 탈락하고, 勝利한 選手는 5競技를 치르게 된다. 最終戰이라 할 수 있는 5競技에서는 勝者戰(3競技)에서 敗北한 選手와 敗者戰(4競技)에서 勝利한 選手가 맞붙어 勝利한 選手는 組 2位, 敗北한 選手가 組 3位로 決定된다. 이로써 各 組의 1, 2位는 16强에 進出하고 組3位는 코드S에 殘留하며, 4位는 昇格降等前으로 탈락한다.
  • 코드S와 코드A의 位置를 決定하는 "昇格降等戰"도 大幅 變更된다. 于先 코드A 優勝者는 昇格降等展에 出戰하지 않는다. 그 동안 코드A 優勝者에게 돌아가는 惠澤이 너무 적다는 指摘을 積極 受容해 코드A 優勝者는 昇格降等展 없이 곧바로 코드S로 進出한다. 또한 MLG 優勝者에게 다음 달의 코드S 시드를 支給한다. 萬一 大會의 優勝者가 韓國 選手일 境遇도 시드를 支給하고, 優勝者가 시드를 拒否하거나 이미 코드S인 境遇에는 準優勝者에게 시드權이 돌아간다. 또한 MLG가 열리지 않을 境遇에는 와일드카드戰을 통해 코드S 直行 選手를 가리게 된다. 本格的인 昇格降等戰은 코드S 兆 4位 8名과 코드A 上位 7名이 出戰한다. 總 15名의 選手가 5名씩 3個의 그룹으로 나뉘어 組別풀리그를 進行한다. 各 組의 上位 1, 2位가 코드S에 昇格하며 나머지 3位부터는 다시 코드 A로 돌아간다. [2]

[ 編輯 ]

  • 金屬 都市
  • 젤나가 洞窟
  • 크레바스
  • 十字 砲火 SE
  • 終着驛
  • 脫다림 祭壇
  • 듀얼 사이트
  • 젤나가 要塞
  • 벨시르 海岸

賞金 [ 編輯 ]

Code S [ 編輯 ]

  • 優勝: 5000萬 원
  • 準優勝: 2000萬 원
  • 4强: 500萬 원
  • 8强: 300萬 원
  • 16强: 200萬 원
  • 32强: 150萬 원

Code A [ 編輯 ]

  • 優勝: 150萬 원
  • 準優勝: 100萬 원
  • 4强: 80萬 원
  • 8强: 60萬 원
  • 16强: 40萬 원
  • 32强: 20萬 원

放送 [ 編輯 ]

中繼陣 [ 編輯 ]

Code S [ 編輯 ]

32强 [ 編輯 ]

A組 (2011年 6月 28日) B組 (2011年 6月 28日) C組 (2011年 6月 29日) D組 (2011年 6月 29日)
이름 이름 이름 이름
임재덕 (Z) 2 0 한규종 (T) 2 0 정민수 (P) 2 0 황강호 (Z) 2 0
서기수 (P) 2 1 김상철 (T) 2 1 金正薰 (T) 2 1 崔鍾桓 (Z) 2 1
박성준 (Z) 1 2 김동환 (Z) 1 2 박준용 (T) 1 2 양준식 (P) 1 2
박서용 (T) [5] X X 이정환 (P) 0 2 김원기 (Z) 0 2 이정훈 (T) 0 2
E組 (2011年 7月 5日) F組 (2011年 7月 5日) G組 (2011年 7月 6日) H組 (2011年 7月 6日)
이름 이름 이름 이름
최정민 (Z) 2 0 이윤열 (T) 2 0 크리스 로랑줴 (P) 2 0 최지성 (T) 2 0
변현우 (T) 2 1 안홍욱 (P) 2 1 최성훈 (T) 2 1 장민철 (P) 2 1
정종현 (T) 1 2 金泳鎭 (T) 1 2 신상호 (P) 1 2 한준 (Z) 1 2
김승철 (T) 0 2 황규석 (T) 0 2 한이석 (T) 0 2 송준혁 (P) 0 2

16强 ~ 決勝 [ 編輯 ]

 
16强戰 8强戰 準決勝戰 決勝戰
 
                           
 
 
 
 
임재덕 (Z) 2
 
 
 
김상철 (T) 0
 
임재덕 (Z) 3
 
 
 
崔鍾桓 (Z) 0
 
정민수 (P) 0
 
 
 
崔鍾桓 (Z) 2
 
임재덕 (Z) 3
 
 
 
안홍욱 (P) 0
 
최정민 (Z) 0
 
 
 
안홍욱 (P) 2
 
안홍욱 (P) 3
 
 
 
장민철 (P) 1
 
크리스 로랑줴 (P) 0
 
 
 
장민철 (P) 2
 
임재덕 (Z) 4
 
 
 
황강호 (Z) 0
 
서기수 (P) 2
 
 
 
한규종 (T) 1
 
서기수 (P) 2
 
 
 
황강호 (Z) 3
 
金正薰 (T) 1
 
 
 
황강호 (Z) 2
 
황강호 (Z) 3
 
 
 
변현우 (T) 0
 
변현우 (T) 2
 
 
 
이윤열 (T) 0
 
변현우 (T) 3
 
 
 
최지성 (T) 2
 
최성훈 (T) 0
 
 
최지성 (T) 2
 

結果 [ 編輯 ]

Code A [ 編輯 ]

 
32强戰 16强戰 8强戰 準決勝戰 決勝戰
 
                                   
 
 
 
 
 
 
 
 
 
 
 
 
 
 
 
 
 
 
 
 
 
 
 
 
 
 
 
 
 
 
 
 
 
 
 
 
 
 
 
 
 
 
 
 
 
 
 
 
 
 
 
 
 
 
 
 
 
 
 
 
 
 
 
 
 
 
 
 
 
 
 
 
 
 
 
 
 
 
 
 
 
 
 
 
 
 
 
 
 
 
 
 
 
 
 
 
 
 
 
 
 
 
 
 
 
 
 
 
 
 
 
 
 
 
 
 
 
 
 
 
 
 
 
 
 
 
 
 
 
 
 
 
 
 
 
 
 
 
 
 
 
 
 
 
 
 
  3位 決定戰
 
 
 
   
 
 
 
   
 
 
 
   
 
 
 
 
 
 
 
 
 
 
 
 
 
 
 
 
 
 
 
 
 
 
 
 
 
 
 
 
 
 

結果 [ 編輯 ]


昇格/降等田 [ 編輯 ]

  • CODE A 選手는 굵은 글씨
A組 (2011年 7月 26日) B組 (2011年 7月 27日) C組 (2011年 7月 28日)
이름 이름 이름
김동원 (T) 4 0 彩度準 (T) 4 0 황규석 (T) 3 1
안호진 (T) 2 1 이대진 (T) 3 1 한이석 (T) 3 1
조중혁 (T) 2 2 김승철 (T) 2 2 송준혁 (P) 1 2
이정훈 (T) 1 3 金正薰 (P) 0 3 이동녕 (Z) 1 2
김원기 (Z) 0 3 이정환 (P) 0 3 서명덕 (P) 0 2

各州 [ 編輯 ]

  1. GSL July 메인 스폰서는 펩시 콜라!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SC2 - 디스이즈게임》 2011/06/28 10:39:13
  2. 새로워진 GSL 리그, 다양한 재미가 한가득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게임東亞》2011年 6月 21日
  3. 1 캐스터, 2 解說 體裁로 進行
  4. 1 캐스터, 1 解說 體裁로 進行
  5. 大會 參加 抛棄
곰TV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以前 作品 作品名 다음 作品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