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페이브 포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페이브 포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레이시온 AN/FPS-115 페이브 포스
1986年 AN/FPS-115의 콘솔

페이브 포스 (PAVE PAWS, PAVE Phased Array Warning System)는 冷戰 時節, 美國 레이시온 이 開發한 早期警報레이다 시스템이다.

레이시온 AN/FPS-115 페이브 포스는 1980年 8月 15日 實戰配置되었다. 모두 1980年 2곳, 1987年에 3곳으로, 모두 5곳에 各 2臺씩 設置되었다. 1995年 2곳이 閉鎖되었다.

레이시온 AN/FPS-115 페이브 포스는 一部가 AN/FPS-123 , AN/FPS-132 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012年 알래스카에 設置할 레이시온 AN/FPS-132 를 契約했다. 美國 3곳, 英國 1곳, 그린란드 1곳에 AN/FPS-132 가 設置될 計劃이다.

2016年 基準으로, 中國, 臺灣, 日本( J/FPS-3 , J/FPS-4 , J/FPS-5 , J/FPS-7 )에 이러한 地上 建築物 形態의 位相 配列 早期警報 레이다가 設置되어 稼動中이다. 韓國, 北韓에는 없다.

臺灣 [ 編輯 ]

2000年 8月 19日, 홍콩 日刊 名寶 는 美國이 臺灣에 페이브 포스를 輸出한다고 報道했다. [1] 시스템 價格은 300億 臺灣 달러(8億 5,700萬 달러)이며, 强力한 電磁波로 인해, 美軍 操縱士는 이 시스템의 아래 300fm, 1.6 km 안에 近接 飛行하지 말라는 指示를 받고 있다. [2]

2013年 3月 8日, 3000마일(4,828 km)의 거리에서 發射된 彈道 미사일 과 戰鬪機 等 1,000個의 目標物을 同時에 追跡하여 早期警報할 수 있는 페이브 포즈가 臺灣 北部 山岳地域 正常인 르山 레이더 基地 에 設置돼 稼動을 始作했다고 美國의 디지털 媒體 와이어드 가 報道했다. 14億 달러(韓貨 約 1兆 5,230億 원)가 들었다.

建物 10層 높이(32.9m)인 페이브 포즈는 레이다 하나當 監視 角度는 120度이며, 2個가 同時에 設置되어 240度의 視野를 確保한다. 레이다 돔은 가로 세로 31m에 約 20度로 기울어져 있으며 빔을 쏘는 레이다의 直徑은 22.1m, 監視거리는 3000 海里(5,556km)에 達한다. [3]

臺灣은 레이더 시스템을 維持?補修하는 데 每年 2460萬달러(藥 267億원)를 美國에 支給하고 있다. 레이시온사의 레이더 核心 技術이 臺灣에 提供되지 않아 美國 技術者들이 整備 作業을 맡고 있고, 臺灣은 레이더를 통해 蒐集한 情報를 美國과 共有하고 있다. [4]

中國 [ 編輯 ]

2011年 中國은 페이브포와 비슷한 地上 建物型 位相 配列 레이다 를 設置했다. [5] 2013年 臺만 보다 2年 앞섰다. 러시아 接境地인 中國 헤이룽장省 솽야산 에 設置되었으며, 中國 官營言論들은 探知距離가 5,500 km라고 報道했다. 韓國, 日本, 臺灣까지 探知距離 안에 들어간다. [6] 캐나다 軍事評論地 칸와디펜스리뷰 (Kanwa Defense Review)는 헤이룽장省에 있는 X밴드 레이다 의 안테나 크기가 30x24m로 美國의 페이브 抛 레이다와 비슷한 크기라고 分析했다. 方向轉換이 可能하여 美國의 알래스카 全體도 이 레이다의 探知範圍에 있다. [7]

日本 [ 編輯 ]

2011年 日本은 中國, 韓國, 北韓을 探知距離에 두는 J/FPS-5 를 設置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美, 臺灣에 高性能 警報레이다 販賣, 聯合뉴스, 2000-08-19
  2. [美] 臺灣에 早期警報器 販賣키로, 韓國日報, 2002-02-03
  3. 臺灣,中國 彈道彈 探知 早期警報 레이다網 稼動開始, 아시아經濟, 2013-03-10
  4. 美·中 葛藤 속 注目받는 1兆5000億원짜리 '臺灣 레이더', 國民日報, 권지혜, 2020.12.07.
  5. [單獨] '韓半島 全域 監視' 中 超大型레이다 첫 捕捉, MBC, 2016-02-19
  6. 사드 反對하며 레이다 設置…"中國 二重的", 聯合뉴스TV, 2016-02-25
  7. 中國, 韓半島 隣接地域에 超大型 新型 레이다 運營...美 ‘페이브抛’와 類似, 아시아투데이, 2016. 0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