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파리 講和 會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파리 講和 會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파리 講和會談 에서 넘어옴)

파리 講和 會議 ( 英語 : Paris Peace Conference )은 第1次 世界 大戰 以後 聯合國 이 敗北한 同盟國 에 關聯하여 平和를 保障하기 위해 1919年 1月 18日 파리에서 열린 會談이었다. [1] [2] 32個國에서 온 政治家들과 民族主義 勢力이 參與한 가운데 國際聯盟 創立과 같은 重要 決定을 비롯하여 敗北한 5個國과의 條約 締結, 그리고 오스만 帝國과 獨逸 帝國의 海外 領土를 英國과 프랑스가 委任統治下는 國際聯盟 委任統治領 樹立, 獨逸에 對한 報復, 그리고 民族境界를 反映한 國境 再樹立 等이 이 會談에서 論議되었다.

主要 結果는 1919年 6月 28日에 獨逸과의 베르사유 條約 締結이었다. [3] 條約의 第231條에 따르면 獨逸과 그 同盟國의 攻擊性이 戰爭에 對한 罪로 認定되었다. 이러한 視野는 獨逸에게 屈辱感을 주고, 獨逸에 對한 廣範圍한 報復措置에 對한 基盤이 되었다. 프랑스 第3共和國 , 英國 , 이탈리아 王國 , 日本 帝國 , 美國 이 會談을 統制했다. 프랑스 總理 조르주 클레망소 , 英國 總理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 美國 大統領 우드로 윌슨 , 이탈리아 總理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가 會議를 主導했다. 이들은 非公式的으로 145回 以上 만나 모든 主要 決定을 내렸고, 以後 다른 사람들이 이를 承認했다. [4] 會談은 1919年 1月 18日에 開催되었고, 마이클 네李베르크 敎授의 말을 빌리자면 "公式的인 平和 過程은 로잔 條約 이 締結되던 1923年 7月이 되어서야 完了되었다. [5]

全般的인 結果 [ 編輯 ]

會談은 1919年 1月 18日에 열렸다. [6] [7] 이 날짜는 象徵的인 意味를 지니는데, 그 理由는 1871年 1月 18日에 獨逸 皇帝 였던 빌헬름 1歲 가 프랑스 베르사유 宮殿 거울의 房 에서 獨逸 皇帝임을 宣布한 날이었기 때문이다. [8] 또한 이 날은 1701年 프로이센 王國 이 樹立된 날짜이기도 했다. [9] 5個의 民族主義者 代表團이 參席했으나 이들 大部分은 無視되었고, 27個國에서 온 使節團이 52番의 委員會에 配定되었는데 이들은 戰爭 捕虜에서 海底 케이블, 國際 航空法, 戰爭에 對한 責任에 關해 수많은 專門家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報告書를 作成하려고 準備中이었다.

重要한 勸告는 獨逸과의 베르사유 條約 으로 15個의 條項과 440個의 項目이 包含되어 있었다. 불가리아 王國 , 오스만 帝國 ,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같은 다른 敗戰國에 對한 條約도 重要하게 여겨졌다. 프랑스, 英國, 이탈리아 王國, 日本 帝國, 美國이 主要 5個國으로써 會議를 統制했으며, 5個國 中 日本만이 옛 總理를 派遣해 작은 役割만을 遂行했다. 그리고 빅 4의 指導者들이 會議를 支配했다. [10] 빅 4街 이미 決定한 意見들은 公式 會談의 參席者들에게 承認받았다. 1920年 1月 21日 會談은 國際 聯盟 總會 첫 開回路 마무리 되었다. [11] [12]

5個의 主要 條約이 締結되었다.

中國의 산둥 問題 [ 編輯 ]

파리 講和會談에서 中華民國 代表는 西方 列强과 日本이 中國에서 强奪한 第權益의 返還을 要求하는 다음과 같은 7個 條項의 要求條件을 提示했다.

  1. 中國에 設置된 勢力範圍의 抛棄
  2. 中國에 駐屯하는 各國 軍隊의 撤收
  3. 各國이 中國에서 經營하는 郵便電報事業의 廢止
  4. 領事裁判權의 撤回
  5. 租借地의 返還
  6. 租稅의 返還
  7. 關稅 自主權의 承認.

그리고 여기에 日本이 第1次 世界 大戰에서 奪取한 各種 權益의 返還을 要求하는 條目이 附加되어 있었다. 이 要求 條件 속에는 敗戰國인 獨逸이 산둥 內에서 차지하고 있던 植民地的 權益을 中國이 돌려받아야 한다는 點도 包含되어 있었다. 파리 講和會談에 앞서 美國 大統領 우드로 윌슨 은 民族自決主義 原則을 强調하여 中華民國의 要求를 贊成, 支持함으로써 中國 國民에게 큰 期待를 주었다. 그런데, 日本은 21個組 要求 가운데 산둥 問題에 關한 것과 돤치루이 政權이 1918年 에 日本과 交換한 산둥 問題에 關한 公文을 根據로 산둥 問題는 中·日 間의 問題라고 主張했다. 文書上의 證據가 있었던데다가 英國·프랑스 等의 聯合國이 1918年의 中일협약을 支持해주기로 日本과 約束했었으므로, 4月 21日의 會談에서 結局 日本 側의 主張이 承認되었다. 日本은 英國, 프랑스와의 祕密協定을 통하여 이에 舊 獨逸 權益은 完全히 日本에 讓渡하기로 되어 있었다. 勿論 우드로 윌슨은 이에 反對하였으나 英國, 프랑스의 强力한 主張에 屈服하게 되었고 中國에 對한 約束을 저버린 것이었다. 산둥 半島 問題에 關한 파리講和會談의 決定을 알리는 電報가 1919年 4月 30日 베이징(北京)에 퍼졌고, 이어 5月 1~3日 베이징의 新聞에 산둥의 權益을 日本에게 빼앗긴 消息과 그 理由가 報道되었고, 이는 5·4 運動 의 始發點이 된다. (→ 5·4 運動 )

베트남의 請願 [ 編輯 ]

1919年 파리 講和會談이 열리고 있는 베르사유 事務局에 베트남의 靑年 호찌민 이 찾아왔다. 그는 "베트남人과 프랑스人을 法的으로 同等하게 待遇할 것, 프랑스 議會에 베트남 代表가 參席할 수 있는 權利를 保障할 것" 等 8個 項으로 이루어진 《베트남 人民의 要求書》라는 請願書를 提出하였다. [13] [14] 그러나 朝鮮의 代表團이 그랬던 것처럼 이 要求書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15] 호찌민은 會談場 複道에서 쫓겨났다. [14]

大韓民國 臨時政府 [ 編輯 ]

파리講和會談에 參席한 金奎植과 韓國代表團. (앞줄 왼쪽 첫 番째가 여운홍 , 오른쪽 끝이 김규식 , 中央은 代表團 顧問 블레베氏 夫婦. 뒷줄 서 있는 사람 中 왼쪽에서 두 番째가 이관용 , 세 番째가 趙素昻 , 맨 끝이 황계환 .)

1918年 8月에 상하이를 中心으로 活動하던 獨立運動家들은 新韓靑年黨을 結成하였다. [16] 이들은 協議를 통해 英語 에 能熟한 김규식 을 入黨시킴과 同時에 理事長에 推戴하여 新韓靑年黨 代表이면서 韓國代表로 파리講和會議에 派遣키로 決定하였다. [17] 그 經費는 장덕수 를 極祕裡에 國內에 派遣하여 調達하였고, 1919年 2月 1日 배便으로 상하이 를 出發하였다. 新韓靑年黨이 파리講和會議 에 韓國民族代表로서 김규식 을 派遣했다는 事實은 그 後 3.1 運動 에 重大한 것이었다.

이 事實은 國內의 國民들과 獨立運動家, 在日本 留學生들에게 密使들을 통하여 通報되었고, 韓國民族은 파리에서 金奎植의 主張과 宣言이 韓國民族 全體의 意思를 世界에 明確히 알리는 目的을 包含해서 3.1運動에 蜂起한 것이었다. 新韓靑年黨의 韓國代表 김규식 의 파리講和會議 派遣은 3.1 運動 에 매우 決定的인 重要한 契機와 求心點을 提供한 것이었다. [18]

김규식 1919年 3月 13日 目的地인 프랑스 파리시 에 到着하여 中央 샤토당거리 38番地의 집을 세내어 平和會議 韓國民代表官(韓國民代表館)을 設置하고 韓國獨立에 關한 請願書를 强化會議에 提出하였다. [18] 그러나 프랑스 當局은 김규식 이 政黨 代表 資格임을 問題삼아 ‘政府代表가 아니면 參與할 수 없다’며 金奎植과 韓國 代表團을 門前薄待했다. 이에 金奎植은 上海로 電報를 보내 自身에게 政黨 代表가 아닌 政府代表로서 資格을 附與해 달라고 要請했다. 1919年 4月 11日, 上海臨時政府가 樹立되자 臨時政府는 金奎植을 '平和會議 大韓民國委員 兼 파리委員'의 正委員으로, 이관용 을 部位원으로 임명하였다. [19]

金奎植은 뒤이어 代表團에 合流한 美國人 호머 헐버트 , 이관용 , 김복 , 황기환 , 조용은 [註解 1] , 여운홍 等의 도움을 받으며 1919年 5月 10日 '韓國獨立 港高서(抗告書)'를 强化會議에 提出하였다. [18] 또한 代表團은 '韓國獨立과 平和'라는 冊子를 비롯하여 多數의 獨立運動 弘報文書를 作成하여 各國代表들 및 言論人들에게 配布하여 韓國人의 獨立 熱望을 全 世界에 널리 알렸다. [18] [2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미야자키 마사카츠 <하룻밤에 읽는 世界史> 中央M&B 2001.5.10 p290
  2. [네이버 知識百科] 第1次 世界大戰과 베르사유조약 (두산百科) .....第1次 世界大戰을 終結시키는 講和會議는 1919年 1月 18日부터 파리에서 開催되었다. 獨逸과의 講和條約을 審議하는 이 會議를 主導한 理念은 美國 大統領 T.W.윌슨의 ‘14個組’의 原則이었으나, 이것은 世界 民衆의 平和에의 願望(願望)을 代表함과 同時에 世界政治에서 主導權을 잡으려는 美國의 帝國主義 要求의 表出이기도 하였다.
  3. EM번즈外 <西洋 文明의 歷史> 소나무, 1996年 4月 5日, p1130
  4. Rene Albrecht-Carrie, Diplomatic History of Europe Since the Congress of Vienna (1958) p. 363
  5. Michael S. Neiberg (2017). 《The Treaty of Versailles: A Concise History》 . Oxford University Press. ix쪽. ISBN   978-0-19-065918-9 .  
  6. Erik Goldstein The First World War Peace Settlements, 1919?1925 p49 Routledge (2013)
  7. Nelsson, compiled by Richard (9 January 2019). "The Paris peace conference begins - archive, January 1919" . The Guardian . ISSN 0261-3077. Retrieved 27 April 2019.
  8. Goldstein, Erik (2013年 10月 11日). 《The First World War Peace Settlements, 1919-1925》 (英語). Routledge. ISBN   9781317883678 .  
  9. Ziolkowski, Theodore (2007). 〈6: The God That Failed〉. 《Modes of Faith: Secular Surrogates for Lost Religious Belief》 . Accessible Publishing Systems PTY, Ltd (2011에 出版됨). 231쪽. ISBN   9781459627376 . 2017年 2月 19日에 確認함 . [...] Ebert persuaded the various councils to set elections for 19 January 1919 (the day following a date symbolic in Prussian history ever since the Kingdom of Prussia was established on 18 January 1701).  
  10. Meehan, John David (2005). 〈4: Failure at Geneva〉. 《The Dominion and the Rising Sun: Canada Encounters Japan, 1929-41》 . Vancouver: UBC Press. 76?77쪽. ISBN   9780774811217 . 2017年 2月 19日에 確認함 . As the first non-European nation to achieve great-power status, Japan took its place alongside the other Big Five at Versailles, even if it was often a silent partner.  
  11. Antony Lentin, "Germany: a New Carthage?" History Today (2012) 62#1 pp. 22?27 online
  12. Paul Birdsall, Versailles Twenty Years After (1941) is a convenient history and analysis of the conference. Longer and more recent is Margaret Macmillan, Peacemakers: The Paris Peace Conference of 1919 and Its Attempt to End War (2002), also published as Paris 1919: Six Months That Changed the World (2003); a good short overview is Alan Sharp, The Versailles Settlement: Peacemaking after the First World War, 1919?1923 (2nd ed. 2008)
  13. [네이버 知識百科] 호찌민 (時事常識事前, pmg 知識엔진硏究所).....그는 1919年 6月 베르사유 平和會議에 '베트남 人民의 8項目의 要求'를 提出하였다. 이는 仲裁者들에게는 反應을 얻지 못했으나 많은 베트남 知識人들에게 그의 이름이 알려지는 契機가 되었다.
  14.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世界史敎科書2/完決: 21世紀, 希望의 未來 만들기》휴머니스트(2005) 46쪽 ISBN 89-5862-071-4
  15. 임채홍 <베트남 見聞錄> 김영사 2010.11.10 p129
  16. [네이버 知識百科] 新韓靑年黨 [新韓靑年黨] (두산百科).....신한청년단이라고도 한다. 第1次 世界大戰의 終熄을 앞두고 韓國의 獨立을 準備하기 위해 1918年 獨立運動家들이 상하이에 모여 組織한 團體로서, 海外 獨立運動團體 中 가장 오래 된 것이다. 國內에서 亡命한 김규식(金奎植)·서병호(徐丙浩)·呂運亨(呂運亨)·선우혁(鮮于爀)·文一平(文一平)·신규식(申奎植)·申采浩(申采浩) 等이 勃起했다.
  17. [ EBS ] 도올이 본 韓國獨立運動史 第10部 -- 黃布의 눈물
  18. “1910年代 國外抗日運動Ⅱ-中國·美洲·日本 - 第1部 1910年代 中國管內 抗日運動 第3張 大同團結宣言과 新韓靑年黨 p99” . 2013年 10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5月 3日에 確認함 .  
  19. 《新韓靑年黨의 獨立運動과 臨時政府 樹立》,김희곤 저. p94
  20. 김창훈 <韓國 外交, 어제와 오늘> 다락원 20027.13 p17
內容主
  1. EM번즈外 <西洋 文明의 歷史> 소나무, 1996年 4月 5日, p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