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Transmedia Storytelling)은 하나의 이야기나 이야기 經驗이 여러 가지 플랫폼과 形態로 傳達하는 技術을 말하는 것으로, 한 가지 이야기를 冊, 映畫, 라디오等 다양한 形態로 再生産하는 OSMU(One Source Multi Use)와는 달리 統合的인 하나의 이야기가 여러 媒體와 포맷을 통해 獨立的이며 또 同時에 有機的으로 連結되어 합쳐질수록 더 立體感 있는 經驗을 提供하는 스토리텔링 方式을 말한다.

이는 헨리 젠킨스에 依해 2006年 著書 《融合 文化》( Convergence Culture )에서 처음 定義되었다. 여러 가지 다양한 미디어 포맷을 통해 이야기의 世界로 使用者를 집중시킬 수 있게 하는 端初를 創出하게 된다. [ 出處 必要 ]

現在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成長을 促進하고 있는 두 가지 要素 中 첫째는 비디오 게임, 인터넷, 모바일 플랫폼 等 새로운 미디어가 發展하고 있고, 이러한 미디어를 위한 콘텐츠 를 開發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必要하기 때문이다. 또한 두 番째로는 創造的 資産을 共有하는 것이 미디어의 創作者들로 하여금 經濟的 利得과 製作 費用의 節減 效果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 出處 必要 ]

트랜스미디어는 인터넷의 發展을 통해 成長한 社會的 인터랙션 關係網을 통해 使用者(或은 消費者)가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의 單純 消費에서 떠나 創作, 編輯, 消費의 過程에 直間接的으로 參與하게 되는 트렌드에 關聯이 깊다. 또한 어느 한 콘텐츠가 다양한 미디어 形態로 再編輯되어 傳達되는 單純한 多채널 方式에서 複雜하고 深度 있는 콘텐츠의 스토리가 다양한 미디어 形態로 만들어지는 멀티 某달 表現으로 더 發展하게 된다. [ 出處 必要 ]

한便 트랜스 미디어 作家 中 하나인 제프 고메즈는 이를 "藝術的으로 잘 計劃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使用하여 大衆에게 藝術을 傳達하기 위한 메시지의 테마를 담는 技術"이라고 定義하였다. [ 出處 必要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