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트란실바니아 侯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트란실바니아 侯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트란실바니아 侯國
Principatus Transsilvaniae

1570 ~ 1765
국기
國紀
국장
國葬
1570년 당시 트란실바니아 후국
1570年 當時 트란실바니아 侯國
17세기 중반 후국의 행정 구역
17世紀 中盤 侯國의 行政 區域
수도 알바이울리아
시비우
人文
公用語 라틴語
獨逸語
헝가리語
壘테니아어
宗敎
宗敎 改新敎
가톨릭
東方 正敎會
유대敎
이슬람敎
기타
現在 國家 루마니아 루마니아
헝가리 헝가리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이슬람敎는 오스만 帝國의 占領 以後 들어왔다.

트란실바니아 侯國 ( 獨逸語 : Furstentum Siebenburgen ; Erdelyi Fejedelemseg ; 라틴語 : Principatus Transsilvaniae ; 루마니아語 : Principatul Transilvaniei or Principatul Ardealului )은 半獨立國으로 헝가리人 大公이 主로 統治했던 國家였다. [1] [2] [3] [4] [5] [6] 트란실바니아의 領土는 헝가리 東部 地域을 包含했고 파티움 이라 불리었다. 侯國은 1570年 슈파이어 條約 의 締結과 깊은 聯關이 있다. [7] [8] 그러나 스테판 바토리 가 폴란드의 王이라는 地位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트란실바니아 가 侯國이라는 名稱 下에 建國될 수 있었다. [9] 16世紀부터 17世紀까지 오스만 帝國 의 支配를 받기 始作한 以後 트란실바니아 侯國은 합스부르크 헝가리와 오스만 帝國 兩쪽의 服屬國이 되었다. [10] [11]

侯國은 헝가리 王國 의 領土로 남아 있었으며 [12] 헝가리의 自主的인 地位라는 것을 象徵했다. [13] 트란실바니아는 합스부르크 家門이 다스리는 헝가리 의 蠶食에 맞서 헝가리의 利益을 代表하기도 했다. [14] 傳統的인 헝가리 法이 侯國 內에서 維持되고 있었고, [10] 侯國은 改新敎 가 數的으로 優勢했다. [15]

各州 [ 編輯 ]

  1. Helmut David Baer (2006). 《The struggle of Hungarian Lutherans under communism》 . Texas A&M University Press. 36?쪽. ISBN   978-1-58544-480-9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2. Eric Roman (2003). 《Austria-Hungary & the successor states: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 Infobase Publishing. 574?쪽. ISBN   978-0-8160-4537-2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3. J. Atticus Ryan; Christopher A. Mullen (1998).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yearbook》 . Martinus Nijhoff Publishers. 85?쪽. ISBN   978-90-411-1022-0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4. Ivan Boldizsar (1987). 《NHQ; the new Hungarian quarterly》 . Lapkiado Pub. House. 41쪽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5. Marshall Cavendish (2009). 〈Greece and the Eastern Balkans〉. 《World and Its Peoples: Europe》 11 . Marshall Cavendish. 1476쪽. ISBN   978-0-7614-7902-4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6. Paul Lendvai (2003). 《The Hungarians: a thousand years of victory in defeat》 . C. Hurst. 106?쪽. ISBN   978-1-85065-673-9 . 2011年 7月 14日에 確認함 .  
  7. Richard C. Frucht,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Volume 1 , ABC-CLIO, 2004, p. 408
  8. Diarmaid MacCulloch, The Reformation , Viking, 2004, p. 443
  9. Katalin Peter, Beloved Children: History of Aristocratic Childhood in Hungary in the Early Modern Age ,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1, p. 27
  10. Dennis P. Hupchick, Conflict and chaos in Eastern Europe , Palgrave Macmillan, 1995, p. 62
  11. Peter F. Sugar, Southeastern Europe under Ottoman rule, 1354?1804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3, pp. 150?154
  12. Martyn Rady, Customary Law in Hungary: Courts, Texts, and the Tripartitu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p. 141, ISBN   9780198743910
  13. Karoly Kocsis, Eszter Kocsisne Hodosi,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Simon Publications LLC, 1998, p. 106
  14. Transylvania article of Encyclopædia Britannica
  15. Istvan Lazar, Hungary, a Brief History , 1989, ISBN   963-13-4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