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퉁구스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퉁구스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퉁구스 에서 넘어옴)

오늘날 시베리아의 퉁구스族
1914年 시베리아의 보로高普에서의 퉁구스族

퉁구스族 ( 英語 : Tungusic peoples )은 퉁구스어族 에 屬하는 言語를 使用하는 民族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동시베리아 東아시아 東部에 主로 分布한다.

이름 [ 編輯 ]

'퉁구스(Tungus)'라는 이름은 나중에 人爲的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퉁구스어族 (Tungusic languages)이라는 魚族을 想定한 名稱이다. 이는 러시아人들이 에벤키族 (Evenk, Ewenki)을 퉁구스(Тунгус)라고 부르던 데서 由來했는데, 그 語源은 明確하지 않다. 獨逸 하인리히 율리우스 클라프로트 (Heinrich Julius Klaproth)가 처음 獨逸語에서 試用했으며, 以後 1850年代에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 (Friedrich Max Muller)에 依해 英語에 導入되었다. 代案型인 滿洲-퉁구스('Manchu?Tungus' 或은 '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е')도 間或 使用되고 있다.

'퉁구스카(Tunguska)'라는 地域은 동시베리아(eastern Siberia)의 퉁구스카江 예니세이江 沿邊에 있으며 東으로는 太平洋 沿岸에 이른다. 이 名稱 亦是 퉁구스人(에벤키人)에게서 由來했다. [1] 러시아語로 '퉁구스'는 東部튀르크어의 'tunguz'에서 由來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멧돼지(wild pig)' 或은 '수퇘지(boar)'를 뜻하며, 古代 튀르크語 'tonguz'에서 由來했다. [2] 그러나 一部 學者는 中國語 ' 董狐 (東胡)'에서 由來했다고 본다. [3] 現代 發音에 있어서의 類似性에 따라 동호가 言語上 퉁구스어라는 家庭이 一般的으로 세워진 적도 있었지만 이에 對한 根據는 稀薄하다. [4]

歷史 [ 編輯 ]

퉁구스 제 民族은 滿洲 와 韓半島 北部 그리고 遼河 地域에 由來를 둔 民族 集團으로 생각된다. 그들의 言語인 퉁구스어族에 對해서는 韓國語族, 튀르크語族 , 몽골語族 等과 함께 알타이語族 에 屬한다는 主張이 있다.

시베리아의 퉁구스語族의 言語를 分析한 結果 滿洲族 이 퉁구스 言語와 비슷하다고 보고 便宜를 위해 滿洲族을 퉁구스어族으로 分類하고 있다. 하지만 現在 시베리아의 퉁구스 民族들은 滿洲族과 비슷한 퉁구스語族의 言語를 가지고 있는 理由가 移轉 滿洲族이 시베리아에 進出하거나 여러 氣候的 理由로 滿洲族이 시베리아에 移動하였고 시베리아 民族들이 滿洲族 社會에 編入되어 滿洲族 言語化된 것으로 現在 시베리아의 퉁구스 民族들과 滿洲族은 遺傳的으로 가깝다고 볼 수는 없다. 滿洲族은 韓民族의 支配를 오랫동안 받았고 滿洲族에 韓民族의 子孫이 많이 퍼트려졌기 때문에 滿洲族은 韓民族과 비슷한 系統이다. 現在 滿洲族은 그 數가 淸나라 時節보다 훨씬 줄어들어 約 1000萬名이다. 滿洲族은 1600年代에 中國을 征服하고 淸나라 를 建國했다. 두番째로 人口가 많은 시버族 은 선비족이라는 推測도 있으나 根據는 없으며 滿洲族系統으로서 滿洲族 言語的으로 影響을 받아 퉁구스語族에 包含되는 民族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어웡키인 (에벤키族)은 러시아의 豫벤키 自治區 및 地域에 살며 相當數가 如前히 傳統的 風習을 維持하고 있다. 以外에 日本 에도 오로크人 等 50~70名 程度의 퉁구스족이 산다. 또한 舊 蘇聯 地域 內에서 移住를 통해 다른 地域으로 人口가 擴散된 境遇도 있다.

分類 [ 編輯 ]

퉁구스語族의 分類와 民族別 人口(主로 2000年代 初 基準)는 다음과 같다:

北部 퉁구스諸語族

南部 퉁구스諸語族

  1. The Languages of the Seat of War in the East , by Max Muller, 1855
  2. Tungus. (n.d.)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ifth Edition . (2011). Retrieved May 2, 2019 from https://www.thefreedictionary.com/Tungus
  3. Marie Antoinette Czaplicka, The Collected Works of M. A. Czap p. 88
  4. Pulleyblank (1983), p.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