桶身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桶身體 (通信體)는 컴퓨터 를 통해 發達한 韓國語 의 獨特한 文體와 그 形態를 의미한다.

通信體의 歷史 [ 編輯 ]

1980年代 말에서 2000年代 ~ 2000年代 말까지 PC通信 李 널리 쓰이던 때에는 字板 을 한 番 치는 時間도 電話料金으로 청구되었다. 그래서, 時間과 돈, 努力을 節約하는 手段으로 通信體가 脚光받으며 널리 퍼졌다. 當時 流行하던 '桶身體'로는, '어솨요(어서오세요), 리하이(리下)(다시 만나서 반갑습니다), ^_^/^-^(재미있네요)', '房가방가(반가워요, 반가워요)'등이 있었다.

그 以後, 리니지 等의 게임이나, 디시인사이드 같은 유저逋脫의 生成으로 , 願츄 , 아햏햏 , 等의 새로운 單語가 생겨났다.

定額制 超高速 인터넷 이 普及되고 料金 걱정이 相對的으로 줄어들면서, 거꾸로 時間과 努力을 들여 自身의 글字를 꾸미기 始作하여 外界어 가 생겨났다. [ 出處 必要 ]

種類 [ 編輯 ]

文化관광부 硏究報告書人 “바람직한 通信 言語 確立을 위한 基礎 硏究”에 따르면, 通信 言語는 다음과 같이 分類된다.

  • 運營者 言語: 사이트 等의 運營者들이 公知글 等에서 쓰는 言語.
  • 揭示板 言語: 인터넷·通信 利用者들이 揭示글에서 쓰는 言語.
  • 對話房 言語: 對話房이나 揭示글에서 보이는, 口語體에 가까운 言語.
  • 携帶電話 文字 電送 言語: 携帶電話 文字에서 쓰이는 言語.

기타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이정복(2000), “바람직한 通信 言語 確立을 위한 基礎 硏究”, 文化관광부 硏究報告書.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