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討論:古事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討論 : 古事記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지막 意見: 14年 前 (Singleheart님) - 主題: 標題語 變更 提案 (고지키->古事記)

標準 日本語 外來語 表記法에 따르면, 單語 처음에 나오는 로 씁니다. 고지키로 옮길 것을 提案합니다. 엉망 2004年 7月 31日 (土) 07:58 (UTC)

標題語 變更 提案 (고지키->古事記) [ 編輯 ]

日本書紀와 古事記를 大體 어떤 基準인지는 모르겠지만 該當 學界는 勿論이러니와 各種 媒體의 引用에서도 相對的으로 接하기 어려운 '니혼쇼키' '고지키'라는 標題語로 登載한 것은 뭔가 不合理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韓國이 아닌 日本의 것이기 때문인가요? 그렇다면 中國의 것은 어떻습니까? 니혼쇼키라고 부르는 마당에 宋書는 '쑹쉬'라고 해야 하는것 아닙니까? 日本의 固有名詞이기 때문이라면, 天皇은 '덴노'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大體 어떠한 基準으로 命名된 標題語인지부터 納得할만한 說明을 듣고 싶군요.

-- 北極웅 2008年 1月 1日 (火) 00:13 (KST)

古事記로 標題語를 變更하는 것에 提案합니다. 中國 辛亥革命 以後의 人物과 指名에 對해서 現代語 發音으로 表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日本의 境遇 명치維新 以前의 名稱에 對해서는 그 前까지는 韓國語 漢字音으로 表記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 케骨 ( 討論 ) 2009年 9月 22日 (火) 23:39 (KST) 答辯

日本의 境遇는 메이지 維新을 基準으로 表記를 바꾸지 않습니다. 豐臣秀吉을 쓰시자는 건 아니시죠? -- ChongDae ( 討論 ) 2009年 9月 23日 (水) 03:44 (KST) 答辯
日本을 니혼으로 쓰자는 것도 아니지요. -- 케骨 ( 討論 ) 2009年 9月 23日 (水) 07:44 (KST) 答辯
이미 굳어진 漢字音 表記를 現代 日本語의 陰을 따르는 表記로 바꿀 必要는 없다는 뜻입니다. -- 케骨 ( 討論 ) 2009年 9月 23日 (水) 10:14 (KST) 答辯

니혼쇼키 의 例를 따랐으면 합니다. 人命이면 모르겠으되, 地名이나(도, 現, 鄭 等을 日本 發音으로 쓰지 않지요), 韓國式 發音이 많이 認定되는 것에 굳이 日本式 發音을 쓸 必要는 없을 듯 합니다. adidas ( 討論 ) 2009年 9月 23日 (水) 10:55 (KST) 答辯

古事記에 한 票 步탭니다. 日本을 니혼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처럼, 外來語 表記法 適用의 例外 事項에 該當한다고 봅니다. 專門用語라는 觀點에서도 學界에서 古事記라고 부르고 있으니 이쪽에 무게가 실립니다. -- 싱글·하트 ( 討論 ) 2009年 12月 26日 (土) 04:48 (KST) 答辯

저도 古事記가 맞다고 생각하는데요. 古事記와 日本書紀 모두 韓國의 古代史를 硏究하는데 重要한 資料이고 國史敎科書를 비롯해 韓國史 冊에서 大部分 고지키가 아닌 古事記로 表記하고 있습니다. 좀 더 一般的으로 널리 쓰이는 表記를 쓰는게 맞을 것 같네요. -- EurasianMaster™ ( 討論 · 寄與 ) 2010年 3月 11日 (木) 11:1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