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太陽曆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太陽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太陽曆 (太陽曆, 英語 : solar calendar )은 地球가 太陽의 周邊을 1回轉하는 公轉 週期가 1年임을 基準으로 하여 만든 曆法 으로, 陽曆이라고도 한다. 現行 全世界 많은 國家들이 使用 中인 그레고리력 李 代表的인 太陽曆이다. 달(月,moon)의 變化와는 無關하게 太陽의 變化를 基準으로 하여 만들었으며, 따라서 太陰曆과 相對된다. 太陽曆의 起源은 이집트 에서 BC 18世紀頃 1年을 365日로 한 曆法을 만든 것이다. [1] BC 46年 부터 使用한 율리우스력 은 1年을 365日로 하되 4年마다 1日을 더하는 置閏法을 통하여 閏年을 366日로 함으로 偏差를 줄여 使用하였다. 1582年 부터 使用하고 있는 그레고리력 은 400年에 97回의 閏年만을 두는 方式으로 하여 율리우스력 이 가지는 誤差를 補强하여 現在에 이르렀다. 韓國에서는 1896年 高宗 때부터 陽曆을 使用하기 始作했다.

歷史 [ 編輯 ]

曆法의 必要性 [ 編輯 ]

歲月의 흐름과 季節의 變化를 認知하고 이를 基準으로 하여 變化된 氣候環境에 따라 一定한 行事를 進行하려면 曆法이 必要하여 자연스럽게 만들게 되었다. 曆法(曆法)은 歲月의 흐름, 特히 季節의 變化에 따른 氣候를 알아내기 위해서 自然現象(主로 天文現象)의 變化中 規則性을 가지는 要素를 찾아내서 이를 基準으로 하여 만들었다. 初期에는 달(月, moon)의 朔望(朔望) 週期를 基準으로 한 太陰曆이 使用되었을 것으로 본다. 産業化 以前에 農耕中心 社會에서는 播種時期等 農事를 짓는일에 季節의 變化를 把握하는 일이 매우 重要했기 때문에 달曆이 꼭 必要했다. 이뿐만 아니라 宗敎行事, 出漁, 航海, 放牧地 移動 等의 基準이 되어 왔다.

太陽曆의 起源 [ 編輯 ]

太陽曆이란 地球가 太陽의 周邊을 1回轉하는 公轉 週期가 1年임을 基準으로 하여 만든 曆法 이다. 通常 全世界 多數의 國家가 現行 使用中인 그레고리력을 말하는 것으로, 달(月, moon)의 變化는 無視하고 太陽運行을 基準으로 하여 만들었다. 起源은 이집트에서 BC 18世紀頃 太陽曆을 만든 것이다. [1] 나일江(江)李 汎濫할 때면 東쪽 하늘의 일정한 位置에 시리우스 (큰개자리 α별)가 나타난다는 事實을 알아냄으로써 太陽曆을 만들 수 있었다. [1] BC 18世紀頃 이집트人들은 1年을 365日로 하고, 이것을 30日로 이루어진 12달과 年末에 5日을 더하는 式으로 달曆을 만들었다.

율리우스력 [ 編輯 ]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집트로 遠征갔을 때, 그곳의 曆法이 簡單하고 季節에 잘 맞는 것을 알고, [2] 알렉산드리아의 天文學者 소시게네스(Sosigenes)의 忠告에 따라 로마력을 改正하였다. [3] 1年을 365.25日로 정한후 平年을 365日로 하고 4年마다 1回의 閏年을 두어서 366日로 하였다. 이 曆法은 BC 46年 1月 1日부터 實施되었는데 1,3,5,7,9,11月은 모두 31日씩이고, 다른 달은 30日로 하되 2月만은 平年 29日, 閏年 30日로 定했다. 그런데 율리우스의 甥姪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가 로마皇帝가 되었을 때, 율리우스의 달 율리(July)가 31日인데 비해 自己의 달 아우구스트(August)가 작으므로 이것을 31日로 하고 9月과 11月을 30日, 10月과 12月을 31日로 하였으며, 2月은 平年을 28日, 閏年을 29日로 만들었다.

그레고리력 [ 編輯 ]

달曆 改正을 위한 敎皇의 勅書.

1年 길이를 365.25日로 定한 율리우스력은 天文學의 回歸年 365.2422日보다 0.0078日(11分 14秒)李 差異가 發生한다. 이 錯誤가 每年 蓄積되어서 128年마다 1日의 偏差가 생겼다. [4] 實際로 AD325年 니케아會議가 開催된 해는 春分이 3月 22日이었지만, 1582年 로마敎皇 그레고리우스 13歲 때의 春分날이 3月 11日로 10日 差異가 있었다. [5]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이러한 問題點을 補完한 曆法이다. [6]

基督敎가 國敎였던 中世 유럽은 重要한 宗敎的 行事日인 復活節 이 달曆의 不正確性으로 인해 왔다 갔다 하는 일이 잦았다. 復活節은 春分 後 첫 보름을 지난 첫 日曜日 或은 첫 보름이 첫 日曜日과 겹치면 다음 日曜日로 定한 復活節이 不正確한 달曆으로 因해 春分이 당겨지면 復活竊盜 당겨지는 矛盾을 안고 있었다.

이에 敎皇 그레고리오 13歲 는 本來의 復活節 날짜로 되돌려 놓기 위해서 天文學者 루이지 릴리오에게 要請하여 새로운 曆法을 만들도록 했다. [7] 루이지 릴리오는 一年을 365日 5時間 49分 12秒(365.2422日)로 定했다. 그리고 羨道가 4로 나뉘는 해를 閏年으로 定하고 同時에 100으로 나뉘는 害를 平年, 다시 400으로 나뉘는 해를 閏年으로 定했다. [1] 이로써 400年에 97回의 閏年만 두게 되니 復活節이 비로소 제자리를 찾게 되었다.

敎皇 그레고리오 3世는 1582年 2月 24日에 勅令을 통해 그레고리력 을 發表했다. [8] [9] [10] 이에 따라 10月 4日의 다음날을 10月 15日로 하여 10日을 없애고 春分날이 3月 21日이 되게 하는 개力이 斷行되었다. [11] 當時 東方 正敎會 와 改新敎에서는 이 措置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이 曆法은 가장 季節에 잘 맞았기 때문에 16世紀末 以來 널리 普及되어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18世紀 初에 이 曆法을 採用하였다. [1] 오늘날에는 大部分의 國家들이 그레고리력을 使用하고 있다.


韓國의 陽曆 採擇 [ 編輯 ]

朝鮮 孝宗 5年 (1654年) 以來 太陰太陽曆人 時憲曆 (時憲曆)을 使用했는데, [1] [12] 1895年 金弘集 內閣에 依해서 甲午改革 次元에서 그레고리오力 採擇을 推進하였다. [13] 1895年 9月 9日子 《官報》에 太陽曆을 使用하라는 詔勅을 실었다. 高宗은 金弘集의 意見을 받아들여 陰曆 1895年 11月 15日에 公式的으로 개력을 頒布하였다. [14] 이로써 陰曆 1895年 11月 17日을 陽曆 1896年 1月 1日로 定하여 [13] 陽曆을 使用하게 되었다. [15] 太陽曆 採擇을 記念하며 年號 建陽 (建陽)으로 變更하였다.

太陽曆을 使用하게 되면서 그에 따른 業務를 管轄한 곳은 觀象監의 後身인 觀象所였다. [14] 觀象所에서는 새로운 冊曆을 配布하였으나 갑작스런 陽曆의 使用은 百姓들뿐만 아니라 行事가 많았던 宮闕에서 조차 매우 混亂스러웠다. 陰曆으로 農事를 짓던 農村의 村老들은 크게 反撥하며 冊曆을 내던지기도 했다고 한다. 現在까지 大韓民國 에서 使用하는 太陽曆 또는 陽曆은 그레고리력이다.

달曆의 分類 [ 編輯 ]

回歸年 基準:

恒星年 基準: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太陽曆 [solar calendar, 太陽曆] (두산百科)
  2. [네이버 知識百科] 曆法 [曆法]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3. [네이버 知識百科] 太陽曆 [Solar calendar, 太陽曆]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4. 피에르 제르마 <世上을 바꾼 最初들> 하늘연못 2006.8.24 p46
  5. [네이버 知識百科] 太陽曆 [solar calendar, 太陽曆] (두산百科)
  6. 그레고리력의 1年 길이는 365.2425日이므로, 天文學의 回歸年 보다 0.0003日(26秒)李 길고 約 3,300年마다 1日의 偏差가 發生하는 問題가 있다. 이 때문에 2088年 ( 閏年 )의 春分 3月 20日 이 아닌 3月 19日 이며, 2092年 2096年 에도 春分이 3月 19일이다가 그레고리력에 따라 平年 2100年 에 다시 3月 20日 로 調整된다.
  7. 피에르 제르마 <世上을 바꾼 最初들> 하늘연못 2006.8.24 p46
  8. 우문기 (2011年 2月 24日). “[歷史 속의 人物] 現在의 陽曆 만든 敎皇 그레고리오 13歲” . 每日新聞. 2016年 3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2月 24日에 確認함 .  
  9. Inter Gravissimas Bill Spencer's (in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ter Gravissimas , 1999, revised 2002, based on Rodolphe Audette's transcription of the (in Latin) text. Also includes Rodolphe Audette's translation into (in French).
  10.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405
  11.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604
  12. [네이버 知識百科] 曆法 [calendar, 曆法] (天文學百科)
  13. 김은신 <韓國 最初 101場面> 嘉藍企劃 1998.9.10 p216
  14. 김은신 <韓國 最初 101場面> 嘉藍企劃 1998.9.10 p217
  15. [朝鮮王朝 實錄] 高宗 實錄 33卷, 高宗 32年 陰曆 1895年 11月 15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