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脫外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脫外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文法에서 脫外格 ( 英語 : elative case , 縮約 ELA , 라틴語 efferre "가져오다"에서 由來)은 “밖으로”의 基本意味를 가지는 文法的 位置格이다.

쓰임 [ 編輯 ]

우랄語族 [ 編輯 ]

핀란드어 에서, 脫外格은 接尾辭 " sta/sta "로 實現된다. 에스토니아語 에서는 名詞의 俗格에 붙는 接尾辭 " -st " 로, 리노非我어 에서는 "-ost”로 脫外格이 實現된다. 헝가리語 에서는, " -bol/-b?l ”이 脫外格을 나타낸다. 다음은 그 例示이다.

  • 핀란드어:"talosta" - "집 밖으로" ( "talo" = "집")
  • 에스토니아語:"majast" - "집 밖으로" ( "maja" = "집")
  • 헝가리語:"hazbol" - "집 밖으로" ( "haz" = "집")

몇 콜로퀴얼 핀란드어 方言에서, 脫外格이 에스토니아語와 同一해질 때 “ talost ”와 같이 脫外格 接尾辭의 마지막 母音을 탈락시키는 일은 흔하다.

러시아語 [ 編輯 ]

17-18世紀에 더 많이 쓰였지만, 現代 러시아語에서도 드물게 脫外格이 나타난다.

и?з лес у (숲 밖으로), кровь и?з нос у (코에서부터 나온 피), из Яросла?вл ю (Yaroslavl에서부터).

같이 보기 [ 編輯 ]

다른 位置格들은 다음과 같다,

追加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