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비 (歌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키비
Kebee
基本 情報
本名 배이삭
藝名 Kebee
Eluka
出生 1983年 5月 29日 ( 1983-05-29 ) (41歲)
大韓民國 全羅北道 全州市
性別 男性
國籍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職業 래퍼 , 作詞家 , 作曲家 , 프로듀서
장르 , 힙합
活動 時期 2003年 ~ 現在
레이블 Soul Company (CEO) (2003 ~ 2011)
Standart (2011 ~ 2013)
Brand New Music (2015 ~ )
Hyple Ent. (CEO) (2018 ~ )
所屬 그룹 이루펀트 , 페이퍼 메이커 (PAPER MAKER)
關聯 活動 臘티미스트 , 배치기 , 매드 클라운

키비 (Kebee, 本名 배이삭, 1983年 5月 29日 ~ )는 大韓民國 의 래퍼이자 비트메이커이다. 비트메이킹 및 DJing 을 할 境遇에는 Eluka라는 藝名을 使用한다. Minos 와 같은 이루펀트 의 멤버이며, 過去 소울 컴퍼니 의 CEO와 Standart 所屬이었고, 現在는 힙합 크루 엘레멘트리 멤버이자 프로듀싱 팀 "페이퍼 메이커 (PAPER MAKER)"의 一員이기도 하다. 過去 하자센터 에서 組織된 크루人 The Anthem People 의 멤버이기도 하였다.

生涯 [ 編輯 ]

全羅北道 全州市 에서 태어난 키비는, 2000年 音樂 創作 活動을 始作, [1] 2001年 靑少年 文化 센터 하자센터 에서 만들어진 Haja 0st Hiphop Project Album 에 〈始作의 始作〉라는 曲으로 데뷔하였다. 또 그해 7月, 曲 〈미운 오리의 새끼〉로 KBS 에서 열린 《힙합大激突 와우》라는 大會에서 大賞을 受賞하였다. 그리고 그즈음에 키비는 個人 사이트를 開設하고 自身이 집에서 製作한 노래를 업로드하여, 少數의 매니아들 사이에서 反響을 얻었다. 또 인피니트 레일로드(Infinite Railroad)라는 팀의 멤버로 活動하기도 하였다.

2003年에는 信義意志 에서 만들어진 앨범 People & Places vol.1 에 〈少年을 慰勞해줘〉, 〈두 番째 日記〉, 〈풋사랑 pt.2〉 세 曲으로 參與하였는데, 〈少年을 慰勞해줘〉는 버벌진트 와의 콜라보 로 話題를 모았고 이때부터 키비는 大衆에게 알려지기 始作하였다. 以後 키비는 소울 컴퍼니 의 創團 멤버이자 CEO가 되어, 아티스트로써 그리고 事業家로써 活動을 하기 始作하였다. 또 비슷한 時期에 《라임에게 묻는 나의 목소리》라는 힙합 講座를 열어, 래퍼가 되고 싶어하는 많은 이들에게 랩을 가르쳐주고 작은 앨범을 낼 수 있는 機會를 마련해주었다.

Soul Company의 活動이 活潑해지고 커짐에 따라 그의 音樂的인 活動은 漸次 줄어들었다. 그러나, 2006年 이루펀트 라는 프로젝트 팀을 Minos 와 結成한 것을 더불어, 2007年에는 두 番째 앨범을 發表, 좋은 反應을 얻었다. 또한 피쳐링 活動도 꾸준하게 이어가, Soul Company 안팎으로 많은 曲에 랩으로 參與하면서 다양한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2009年에는 세 番째 앨범을 發表하였다.

2011年 1月 現在 그는 二壘펀트의 두 番째 앨범을 準備 中에 있다. 한便, 그는 韓國 콘서바토리 에서 運營하는 音樂 敎育院 FnC 아카데미에서 랩/보컬 敎授陣에 特講 敎授로 合流하여 學生들을 가르치고 있다. [2] 또, 2011年 3月에는 이루펀트가 公式 팀으로 거듭나 그의 正式 所屬 팀이 되었으며, 4月에 두 番째 앨범이 發表되었다.

2011年 9月 키비는 訓鍊所에 入所하였으며, 4週 間의 訓鍊 後 公益勤務要員으로 配定되었다. 11月에는 소울 컴퍼니의 解體가 決定되면서 一時的으로 無所屬이었다가 팀 멤버인 마이노스와 餘他 同僚 뮤지션들과 함께 Standart 를 設立하였다. 그는 2013年 8月까지 服務한 後 召集 解除되었으며, 곧바로 그 달 新曲인 〈고래 안의 房〉을 無料 公開하였다. 이 曲은 2013年 下半期 發表될 4輯의 收錄曲이라고 밝혔으며, [3] 이 앨범은 Lost & Found 라는 이름으로 12月 發表되었다. [4] 앨범이 發賣된지 3週가 채 가기 前에 Standart가 解體하면서 키비는 다시 無所屬으로 轉換되었으며, 이에 따라 二壘펀트의 活動도 어떻게 될 것인지 팬들의 關心을 받고 있다.

디스코그래피 [ 編輯 ]

代表曲 [ 編輯 ]

  • 〈始作의 始作〉 - 2001年 Haja 0st Hiphop Album에 실린 曲으로, 現在 알려진 Kebee의 最初의 錄音物.
  • 〈미운 오리의 새끼〉 - 2001年 Kebee의 個人 홈페이지를 통해 公開되었으며, "힙합大激突"이란 힙합 競演에서 大賞을 受賞, 以後 Official Bootleg vol.1 에 재녹음되어 收錄됨.
  • 〈少年을 慰勞해줘〉 - 2003年 People & Places vol.1 收錄曲. Verbal Jint 參與.
  • 〈스물하나〉 - 2004年 發賣된 Evolutional Poems 앨범의 타이틀曲.
  • 〈아 맞다〉 - 2006年 公演을 통해 처음 公開되었으며 以後 2007年 Official Bootleg vol.2 앨범에 收錄.
  • Feeling You - 2007年 發賣된 Poetree Syndrome 앨범 타이틀曲. 뮤직비디오에는 전보람이 出演하였다.
  • Go Space - 2009年 發賣된 The Passage 의 타이틀曲.

音盤 外 活動 [ 編輯 ]

放送 [ 編輯 ]

  • 2017年 Mnet 《Show Me The Money 6》
  • 2023年 MBC 《소년 판타지》

프로젝트 그룹 活動 [ 編輯 ]

이루펀트 [ 編輯 ]

이루펀트 (Eluphant)는 Eluka와 Elephant의 合成語로, 키비와 바이러스 의 멤버인 마이노스 의 프로젝트 듀오이다. 이루펀트는 마이노스가 以前부터 써오던 이름은 아니고, 當時 무라카미 하루키 의 小說 "코끼리工場의 해피엔드"를 읽고 感銘을 받았던 마이노스가 '코끼리工場腸'이라는 別名을 自身한테 붙인데서 由來되었다. 이루펀트는 한 張의 앨범 Eluphant Bakery 를 發賣했으며 좋은 反應을 얻었다. 타이틀曲은 "코끼리工場의 해피엔드 : 卒業式"이었다. 2011年 3月에는 프로젝트 팀이 아닌 正式 팀으로 變하였다.

비 콰이엇 [ 編輯 ]

비 콰이엇 (Bee Quiett)은 Kebee와 The Quiett 의 프로젝트 듀오이다. 이 듀오는 소울 컴퍼니가 만들어지기 前부터 存在했으나, 이들의 이름을 내세운 活動은 그리 많지 않고, 조용한 對話 에서 發表된 벙개송 "No More 廢人", People & Places vol.1 의 收錄曲인 〈두 番째 日記〉를 리믹스韓 〈두 番째 日記 (Hawaiian Remix)〉, 소울 컴퍼니 컴필레이션 앨범 The Bangerz 收錄曲인 "Interview"와, 키비 2輯 Poetree Syndrome 의 "마부" 그리고 버벌진트의 陋名 에서의 "Favorite Rmx"等의 曲이 있다. 하지만 둘은 비 콰이엇이란 이름을 굳이 쓰지 않아도, 多樣한 앨범에서 콜라보 를 하고 있다.

可觀 [ 編輯 ]

可觀은 래퍼 키비, 보컬 있다 , 기타 리頃, 베이스 嚴社長, Didgeridoo 서울, 키보드 보라, 드럼 벨로 이루어진 밴드이다. 소울 컴퍼니가 結成되기 前부터 存在했으며, 正式으로 이름을 내세우고 發表한 作業物은 많지 않고 公演 時 旣存의 曲들을 編曲하여 라이브 演奏로 들려주는 等의 活動을 해왔다. 한때 앨범이 企劃되었으나, 어떤 事情으로 인해서 結局 앨범을 내지 못했다.

作詞 스타일 [ 編輯 ]

키비의 家事는 매우 感受性이 짙게 드러나는 歌詞로 評價받고 있다. 實際로 그의 歌詞의 令監은 래퍼보다는 文學 作家에게서 받는다고 하며, 키비 自身도 한때 래퍼가 아니면 童話作家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을 程度로 그의 感受性은 남다르다. "Twisted Words"라는 曲에서 自身은 感性힙합이 아니다라고 밝혔으나 그의 스타일은 여러모로 感性的인 便이다. 하지만 "Be Quiet", "Twisted Words", 〈馬夫〉 等의 曲에서 攻擊的인 스타일도 亦是 보여주는 便이다.

初期에는 라임 을 많이 쓰는 便이었으나 The Bangerz 앨범이 發賣될 즈음에는 內容의 重要性을 위해 라임을 犧牲하였고, [5] 다시 Eluphant 結成 時期 즈음에 와서 라임이 더욱 豐盛해졌으나, 如前히 라임보다는 內容을 더 重視하는 作法을 보여주고 있다.

비트메이킹 스타일 [ 編輯 ]

그가 비트메이킹을 始作한 것은 데뷔 때부터이나, 〈少年을 慰勞해줘〉 때 즈음부터는 비트메이킹이 뜸했다. 그 後 그의 비트메이킹은 《라임에게 묻는 나의 목소리》 앨범 製作 詩에 몇 個에 들어갔으나 이 앨범은 매우 制限된 流通 過程을 거쳤으므로 實質的으로 그의 비트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以後, 첫 番째 앨범 Evolutional Poems 의 인트로에 그의 비트가 실렸으며, 이루펀트 앨범에 〈當身이 漸漸 궁금해집니다〉 等 인터루드 의 비트로 실리기도 했다. 그리고 Official Bootleg vol.2 의 〈아, 맞다〉를 비롯, Poetree Syndrome 의 多數의 曲에 그의 비트가 실렸다.

初盤의 그의 비트는 샘플링에 基盤을 둔 典型的인 언더 힙합 스타일이었다. 이때 그의 샘플로는 Stevie Wonder , Jamiroquai 等의 曲이 쓰였다. 以後 이루펀트 때부터는 일렉트로니카 와 힙합을 넘나드는 그루브를 들려주는 스타일을 確立하였다. 이는 以後 Poetree Syndrome 에서 더 確立되었다.

이슈 [ 編輯 ]

K의 正體 [ 編輯 ]

2008年에 發賣된 Loptimist 의 2輯 Mind-Expander에 收錄된 <Ghostwriter>라는 曲에 키비가 參與했는데, 이 曲의 歌詞가 한동안 힙합界를 떠들썩하게 했다. 內容인 즉슨, 키비와 親分이 있던 수수께끼의 人物 K가 그에게 고스트라이팅을 依賴했고 키비는 마지못해 그 付託을 들어줬는데 나중에 TV에서 K가 自身이 쓴 歌詞를 가지고 有名稅를 타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이 曲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K가 누구인가?'라는 疑問을 던졌고 다양한 推測들이 나왔다. 2009年 5月에 發賣된 키비의 3輯 The Passage 收錄曲인 <그림자>는 Ghostwriter의 後續曲으로 K의 立場에서 歌詞를 써서 다시 한 番 K의 正體에 關한 이슈를 탄생시켰다. 여기서는 K가 네티즌들의 아우聲에 상관없는 척하다가 歌詞가 나오질 않자 다시 키비를 만나서 아예 露骨的으로 고스트라이팅을 注文하는데 키비는 이를 받아들이면서 이 이야기를 曲으로 만들겠다고 하는 內容을 담고 있다.

한동안 네티즌들은 'K는 키비 本人이다' 아니면 'K는 實際 다른 사람이다'로 나누어 論爭을 벌였으나, 結局 Kebee가 한 舞臺에서 픽션이라고 밝혀 論爭은 終結되었다.

InnoVator의 디스 [ 編輯 ]

3輯 The Passage 가 發賣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Jiggy Fellaz 의 InnoVator가 〈키비를 宇宙로〉라는 曲으로 키비를 디스 했다. InnoVator는 나중에 힙합플레이야 더블 트러블 인터뷰 때 키비 디스의 理由를 질문받자 '一種의 배틀의 意味이며, 소울컴퍼니의 音樂을 자주 듣는데 키비의 音樂을 들어보니 몇 年째 같은 音樂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自己 스타일을 지키는 건 重要하지만 發展이라는 것이 必要하고, 키비의 音樂을 처음 接한 사람들이 소울컴퍼니에 對한 偏見을 가질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들어서 디스했다'고 밝혔다. [6]

키비는 이 디스曲에 아무 反應이 없었으나 以後 나온 이루펀트 의 싱글 Superstar 에서의 랩에 關해 一部에서는 디스曲에 刺戟 받아 變化를 試圖한 것이 아니냐는 主張을 하였다. 以後 InnoVator가 믹스테입 Lab #1 을 發表할 때 트위터 로 믹스테입 發賣 祝賀 메시지를 보내 둘의 사이에 現在 별다른 問題가 없음을 示唆했다.

기타 [ 編輯 ]

  • 1輯 Evolutional Poems 의 9番 트랙인 〈自炊日記〉의 歌詞가 光化門 近處 敎保生命 글板에 文句로 選定되었다. 그 內容은 다음과 같다.

너와 난 各自의 花盆에서 살아가지만 햇빛을 함께 맞는다는 것

 
— 自炊日記 中 / 키비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