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클로드 드뷔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클로드 드뷔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클로드 드뷔시
基本 情報
出生 1862年 8月 22日 ( 1862-08-22 )
프랑스 이블린週 생제르맹앙레
死亡 1918年 3月 25日 ( 1918-03-25 )
프랑스 파리週
性別 男性
國籍 프랑스
職業 作曲家
장르 印象主義 音樂
配偶者 爐잘리 텍視에(1899-1904), 엠마 바르닥(1904-)
家族 딸 클로드-엠마

클로드 아실 드뷔시 ( 프랑스語 : Claude Achille Debussy , 1862年 8月 22日 ~ 1918年 3月 25日 )는 프랑스 印象主義 音樂 의 代表的인 作曲家 다.

그의 主要 作品으로는 木神의 午後에의 前奏曲 , 바다 , 피아노 前奏曲 , 映像 1, 2輯, 어린이 차지 ,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모음曲<베르가마스크> 中 달빛 等이 있다.

生涯 [ 編輯 ]

1885年 드뷔시가 로마 에 있는 메디치 宮에서 찍은 寫眞 으로 中央에 흰 上衣를 입고 있다.

클로드 드뷔시는 1862年 日드프랑스 이블린 週 생제르맹앙레 에서 다섯 男妹 中 첫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陶瓷器 가게 主人이었고, 어머니는 裁縫師였다. 그는 7歲 때 그보다 나이가 많은 체루티라는 이름의 이탈리아 아이와 함께 피아노를 배우기 始作했다. 드뷔시의 레슨費는 그의 아주머니(aunt)가 支拂했었다. 1871年에 수줍고 怯많은 少年 드뷔시는 마리 모테 드 플레比喩(Marie Maute de Fleurville) 夫人에게 注目받았다. [1]

自身의 才能을 確實하게 보여준 德分에, 1872年 11살의 나이로 드뷔시는 파리 音樂院 에 入學하였고, 1872年 부터 1884年 까지 세자르 프랑크 , 에르네스트 岐路 ( 프랑스語 : Ernest Guiraud )과 함께 工夫하였다. 在學 中에 러시아 音樂과 무소르그스키 의 作品을 接한 것이 以後의 作品에 크게 影響을 주었다.

1883年, 칸타타 《戰鬪社(Le Gladiateur)》로 로마 大賞 (Prix de Rome) 2等賞을, 이듬해인 1884年, 亦是 칸타타 形式의 《蕩子(L' Enfant Prodigue)》로 1等賞을 受賞하였다. [2] 受賞 以後 1887年, 말라르메의 살롱에 出入하였다. 이때 象徵派 詩人 및 印象派 畫家와의 接觸에 依해 차츰 印象主義 音樂에의 意識이 깊어졌다. 말라르메 의 詩에 依한 《木神의 午後에의 前奏曲》으로 그의 印象派風의 作品 傾向은 確定되었다.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는 半 바그너 的 性格이 더욱 뚜렷해졌다.

1899年 10月 19日 爐잘리 텍視에(Rosalie Texier)와 結婚했지만 1904年 엠마 바르닥(Emma Bardec)과 사랑에 빠져 아내를 버리고 엠마 바르닥과 結婚하였다. 以後 드뷔시와 엠마 바르닥 사이에서 딸 클로드-엠마(Claude-Emma)가 태어나게 된다. 드뷔시는 1908年 딸인 클로드-엠마에게 피아노 小品인 어린이 차지 를 獻呈한다.

第1次 世界大戰 말인 1918年 3月 25日 午後 10時, 獨逸軍의 爆擊이 한창인 時期에 드뷔시는 파리 에서 10年 동안 苦痛 받아왔던 癌으로 死亡하였다. 그의 葬禮式은 3月 28日에 擧行되었고 페르 라셰즈 墓地에 埋葬되었다가 後에 只今의 파리 墓地로 移葬되었다.

作品 [ 編輯 ]

初期 作品, 1879?1892 [ 編輯 ]

드뷔시의 音樂的 發展은 더뎠으며 學生으로서 그는 保守的인 敎訓을 따르는 音樂院 作品을 作曲할 만큼 能熟했다. [3] 그의 初期 멜로디는 그의 後期 作品보다 性格이 더 技巧的이며, 無言의 發聲 이 廣範圍하다. Ariettes oubliees (1885?1887) 以後로 그는 보다 節制된 스타일을 開發했다. 드뷔시는 自身의 個人 스타일을 發展시켰다. 이 時期의 그의 音樂 大部分은 베르가마스크 모음曲 같이 小規模다. [4]

中期 作品, 1893?1905 [ 編輯 ]

드뷔시 時代 以後의 音樂家들은 木神의 午後에의 前奏曲 (1894)을 그의 첫 管絃樂 傑作으로 여겼다. 드뷔시가 가장 잘 알려진 大部分의 主要 作品은 1890年代 中盤에서 1900年代 中盤 사이에 쓰여졌다. [5] 絃樂 4重奏 (1893), 펠리아스와 멜리장드 (1893-1902), 오케스트라를 위한 녹턴 (1899), 바다 (1903-1905)가 있다. [6]

版畫 (1903)는 五音音階 構造에서 가믈란의 反響을 더하여 異國的인 場所에 對한 印象을 준다. [6] 드뷔시는 베토벤 以後로 傳統的인 交響曲 形式이 形式的이고 反復的이며 쓸모없게 되었다고 믿었다. [8] 그 影響은 바다 (1905)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준 交響曲 形式을 使用하며, 세자르 프랑크 方式의 循環 主題를 가진 巨大한 소나타 形式의 樂章 을 構成하는 세 部分이다. [9]

後期 作品, 1906?1917 [ 編輯 ]

後記 오케스트라 作品 中에서 映像 (1905-1912)李 遊戱 (1913)보다 더 잘 알려져 있다. [10] 前者는 녹턴 바다 에서 確立된 3部 形式을 따르지만, 英國과 프랑스의 傳統的인 民謠를 使用하고 中心 樂章인 "Iberia"를 바깥 樂章보다 훨씬 길게 만들고 세 部分으로 細分한다는 點에서 差異가 있다. 모두 스페인 生活의 場面에서 靈感을 받았다.

後期 피아노 作品 中에는 廣範圍한 主題를 描寫하는 짧은 作品인 前奏曲 (1909~10, 1911~13) 두 卷이 있다. 피아노를 위한 練習曲 (1915)은 意見이 紛紛하다. 1914年 드뷔시는 다양한 樂器를 위한 6個의 소나타로 構成된 計劃된 세트 作業을 始作했다. 그의 致命的인 病으로 세트를 完成할 수 없었지만 첼로와 피아노(1915), 플루트, 비올라와 하프(1915), 바이올린과 피아노(1917 ? 그의 마지막 完成 作品)는 모두 簡潔한 3樂章 作品으로, 그의 다른 後期 作品들보다 本質的으로 온音階 가 더 强하다. [11]

장르別 目錄 [ 編輯 ]

오페라 [ 編輯 ]

管絃樂曲 [ 編輯 ]

  • 交響曲 나短調
  • 交響 모음曲 '봄'(1887)
  • 交響詩 木神의 午後에의 前奏曲 (1894)
  • 夜想曲 (1897~9)
  • 交響詩 바다 (1903~5)
  • 리어 王(1904)
  • 管絃樂을 위한 映像 (1902~12, 1905~8, 1905~9)
  • 管絃樂 組曲 1番

발레 [ 編輯 ]

  • 遊戱 (1912~3)
  • 장난감 箱子 (1913)

協奏曲 [ 編輯 ]

  • 첼로와 管絃樂을 위한 間奏曲 (1882)
  • 피아노와 管絃樂을 위한 幻想曲 (1889~90)
  • 알토색소폰과 管絃樂을 위한 狂詩曲 (1901~11)
  • 클라리넷과 管絃樂을 위한 第1狂詩曲 (1909~10)

室內樂 [ 編輯 ]

  • 피아노 3重奏 사長調 (1879)
  • 絃樂 4重奏 사短調 (1893)
  • 시링크스 (플루트 獨走)(1913)
  • 첼로소나타 라短調 (1915)
  • 플루트·비올라·하프를 위한 소나타 바長調 (1915)
  • 바이올린소나타 사短調 (1916~7)

피아노 [ 編輯 ]

歌曲 [ 編輯 ]

  • 5個의 보들레르 (1887~9)
  • 별의 밤 (1880)
  • 아름다운 저녁 (1880)
  • 잊힌 노래 (1885~7)
  • 3個의 말라르메 時 (1913)

合唱 [ 編輯 ]

  • 칸타타 放蕩한 아들 (1884)
  • 選擇받은 女子 (1887~8)
  • 세 個의 노래(無伴奏 合唱, 1898/1908)

著書 [ 編輯 ]

  • 《안티 딜레탕트 크로슈 氏》(이세진 役, 포노, 2017). 韓國語版. 《Monsieur Croche, Antidilettante》 前篇과 《크로슈 氏 外 여러 글Monsieur Croche et Autres Ecrits》 가운데 두 篇을 뽑아 엮은 冊.

音樂 듣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Jean Barraque, Debussy (Solfeges), Editions du Seuil, 1977. ISBN   2-02-000242-6
  • Roy Howat, Debussy in Proportion: A musical analysi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ISBN   0-521-31145-4
  • Rudolph Reti, Tonality, Atonality, Pantonality: A study of some trends in twentieth century music.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1958. ISBN   0-313-20478-0 .
  • 20世紀 作曲家 硏究會, 20世紀 作曲家 硏究I , 音樂世界, 2003

圖書 [ 編輯 ]

  • Jane Fulcher (Editor), Debussy and His World (The Bard Music Festival),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ISBN   0-691-09042-4
  • Simon Trezise (Editor),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buss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ISBN   0-521-65478-5

各州 [ 編輯 ]

  1. Leon Vallas: "클로드 드뷔시-그의 삶과 作品"( Claude Debussy - His Life and Works )
  2. 20世紀 作曲家 硏究 I, 音樂世界, 20世紀 作曲家 硏究會, 66p
  3. Jean-Aubry, Georges. (trans. Frederick H. Martens). "Claude Debussy" , The Musical Quarterly , October 1918, pp. 542?554 (購讀 必要)
  4. Newman, Ernest. "The Development of Debussy" , The Musical Times , May 1918, pp. 119?203 (購讀 必要)
  5. Newman, Ernest. "The Development of Debussy" , The Musical Times , May 1918, pp. 119?203 (購讀 必要)
  6. Lesure & Howat, 2001
  7. Donnellon, p. 49
  8. He described the symphonies of Schumann and Mendelssohn as "respectful repetition" [7]
  9. Orledge, Robert. "Debussy, (Achille-)Claude" ,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retrieved 21 May 2018 (購讀 必要)
  10. Pasler, Jann. "Debussy, Jeux : Playing with Time and Form" , 19th-Century Music , Summer 1982, pp. 60?75 (購讀 必要)
  11. Lesure & Howat, 2001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