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 오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콜드 오픈 (Cold Open) 또는 티저 시퀀스 (Teaser sequence) [1] 텔레비전 放送과 映畫 에서 使用되는 내러티브 技法이다. 프로그램이 始作하자마자 스토리에 바로 뛰어들어서 짤막하게 이야기를 進行시킨 뒤, 타이틀 시퀀스 오프닝 크레딧 을 그 다음으로 띄우는 것이다. 콜드 오픈을 이야기의 導入部로 삼는 用途와 더불어, 이電話의 事件이나 이番禍의 앞선 줄거리를 要約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美國 等 北美 放送界에서는 視聽者를 可能한 限 빨리 이야기에 끌어들여, 오프닝 後에 내보내는 廣告時間 동안 다른 채널로 轉換할 可能性을 줄일 수 있다는 理論에 따라 많이 이뤄지고 있다. [2]

映畫에서도 가끔 使用되는 技法인데 이때는 '콜드 오프닝' (Cold Opening)이라 부른다. 映畫의 始作을 여는 瞬間이나 씬을 뜻하지만, 타이틀 카드 를 始作하자마자 넣는 境遇도 있으므로 반드시 타이틀이 뜨기 前까지를 콜드 오프닝이라 부르지는 않는다.

日本 放送에서는 아반타이틀 ( アバンタイトル ), 줄여서 我方 ( アバン )이라 부르며, 中間廣告 가 活性化된 放送業界 特性上 자주 찾아볼 수 있다. 韓國에서는 오프닝을 于先 내보낸 뒤 본 프로그램을 進行하기 때문에 一般的이지 않은 技法이다.

歷史 [ 編輯 ]

콜드 오픈의 起源은 美國으로, 1950年代 後半부터 여러 드라마 시리즈, 特히 워너브라더스에서 製作한 77 선셋 스트립 等의 드라마에서는 에피소드 中盤의 어느 한 時點에서 登場하여 視聽者들의 耳目을 끌 場面의 콜드 오픈으로 始作된다. 이야기가 該當 地點에 到達하더라도 省略하는 일 없이 그 場面은 反復되었다.

그러나 1960年代 初만 하더라도 美國 드라마에서 콜드 오픈을 쓰는 일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特히 分量이 30分에 不過한 시트콤 의 境遇 콜드 오픈을 使用하게 된 것은 1965年에 이르러서였다.

旣存에는 타이틀 시퀀스에 正規 登場人物이나 드라마의 시놉시스를 要約 紹介해야 했으나, 콜드 오픈이 導入됨으로써 그로부터 벗어나 줄거리를 쉽게 設定할 수 있는 經濟的인 方法이라는 點이 發見되면서, 1960年代 中盤부터 美國 放送業界에 자리잡기 始作하였다. 이 時期의 美國 드라마들도 後記 시즌에 이르러서 콜드 오픈을 採擇했다. 1960年代~1970年代에 콜드 오픈을 많이 使用한 프로그램은 週間 連續劇 이었으며, 콜드 오픈을 使用하지 않는 連續劇은 보기 드물었다.

英國에서는 美國보다 좀 더 늦게 登場했다. 프로듀서 流 그레이드 (Lew Grade)가 美國 市場 進出을 目標로 自身이 製作한 여러 프로그램에 콜드 오픈을 導入한 것이 첫 事例中 하나다. 以後 더 뉴 어벤져스 (1976年~1977年), 더 프로페셔널 (1977年~1981年) 等의 여러 英國 액션 어드벤처 드라마에서 콜드 오픈을 採擇하기 始作했다.

1970年代 末~1980年代 初에는 콜드 오픈을 이電話의 하이라이트로 始作하는 프로그램이 생겨났다. 70年代~80年代에 걸쳐서는 여러 美國 시트콤 이 프로그램 始作과 同時에 오프닝 主題가 를 띄우는 것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다만 2000年代~2010年代 들어 大多數 美國 시트콤은 各 에피소드에서 오프닝 電話 前에 最小 1~2分, 最大 3~4分間 持續되는 콜드 오픈을 採擇하고 있다.

日本에서는 1970年代부터 드라마에 아반타이틀 (콜드 오픈)을 使用하기 始作하였으며 太陽에 짖어라 , 候樓하타 닌자部로 等이 代表的인 例示다. 反面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거의 使用되지 않았으나, 2000年代부터 여러 作品에서 採擇되어 普遍化되었으며 分量에는 差異가 存在한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콜드 오픈이 거의 쓰이지 않는다. 例外的으로 쓰인 例示 中 하나로 1973年 다큐멘터리 더 월드 앳 워 가 있는데, 强烈한 瞬間이 始作부터 몇 分 間 紹介된다. 타이틀 시퀀스를 내보낸 뒤 이番火를 說明하는 事件이 보다 確實히 紹介되는 構成이다.

오늘날의 쓰임새 [ 編輯 ]

뉴스 프로그램 [ 編輯 ]

24時間 뉴스 放送을 비롯한 오늘날 뉴스 프로그램들은 該當 時間에 報道할 이야기를 要約 含蓄해 紹介한 뒤 타이틀을 띄우는 方式을 取하고 있는데 이 亦是 콜드 오픈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方式은 北美는 勿論 日本, 韓國 等 여러 國家에서 찾아볼 수 있는 方式이기도 하다.

드라마 [ 編輯 ]

美國의 SF 드라마와 犯罪 드라마에서는 콜드 오픈이 普遍的으로 자리잡았다. 單 2部作으로 構成되어 連달아 放映되는 에피소드나, 스페셜 에피소드 放映 時에는 콜드 오픈을 省略하는 境遇가 있다. [3] [4] 콜드 오픈을 잘 活用하기로 好評받은 드라마로는 베터 콜 사울 브레이킹 배드 를 꼽을 수 있다.

連續劇 [ 編輯 ]

美國의 境遇, 2000年代 初盤에 여러 連續劇 드라마 에서 콜드 오픈 없이 一般的인 오프닝을 試圖한 적이 있었으나 묻혔고, 오늘날 美國의 週間 드라마는 모두 콜드 오픈을 使用하고 있다. 연속극에서 使用되는 콜드 오픈은 移轉 回次의 마지막 場面이 끝나는 地點에서 始作하며, 때로는 마지막 場面 全體를 다시 보여주기도 한다. 이番 禍에서 어떤 줄거리가 進行될지 充分히 說明될 만큼의 여러 씬을 보여준 뒤 오프닝 크레딧이 標示되는 것이 普通이다.

英國에서는 美國과는 正反對로 大部分의 連續劇이 콜드 오픈 없이 一般的인 오프닝 타이틀을 띄운 뒤에 始作한다.

코미디 프로그램 [ 編輯 ]

美國에서는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도 콜드 오픈을 活用하기도 한다. 代表的으로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SNL)은 1975年 첫放送 以來 콜드 오픈을 하나의 스케치 (進行劇)로 使用하고 있다. 이밖에도 오피스 , 빅뱅 理論 , 두 男子와 1/2 , 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等의 여러 시트콤에서 콜드 오픈을 使用한 바 있다. 深夜 토크쇼와 諷刺 프로그램 等의 다른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도 콜드 오픈을 使用한다.

다른 媒體 [ 編輯 ]

映畫 [ 編輯 ]

映畫에서는 오프닝 크레딧 以前에 띄우는 部分을 프리크레딧 (Pre-credit)이라 부르며, 그냥 콜드 오픈이라는 이름으로 製作되기도 한다. 代表的인 例로는 007 映畫 시리즈가 있는데, 劇的인 葛藤이나 追擊 씬 을 보여주는 것으로 始作한 뒤에 타이틀을 띄우는 傳統을 이어가고 있다.

一部 映畫에서는 映畫가 끝나고 나서야 타이틀 카드 가 뜨는 境遇가 있다. 이런 境遇에는 平素의 區分法대로 映畫 全體를 導入部라 부를 수는 없으며, 오프닝이 始作되는 場面만을 '콜드 오픈'이라 부르게 된다.

게임 [ 編輯 ]

게임 中에서도 콜드 오픈을 採擇한 境遇가 많다. 오프닝 시퀀스를 길게 잡으며 始作하거나, 타이틀이 뜨기 前에 穩全한 한 레벨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日本에서 製作된 RPG에서 많이 採擇되며,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가 그 始初 中 하나다.

같이 보기 [ 編輯 ]

出處 [ 編輯 ]

  1. Pollick, Michael (2013年 6月 10日). “What is a Cold Open?” . 《WiseGEEK》. WiseGEEK. 2019年 6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 Whitfield, Stephen E.; Roddenberry, Gene (1968). 《The Making of Star Trek》 . Ballantine Books. ISBN   978-0-345-27638-4 .  
  3. Qualey, Erin (April 2017). “Vince Gilligan is the Undisputed Master of the Cold Open” . hiddenremote.  
  4. Carp, Jesse (2014). “The Art Of The Tease: The Best Breaking Bad Cold Opens” . cinamablend.